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홍콩 과일 시장 동향
  • 상품DB
  • 홍콩
  • 홍콩무역관 RebeccaJiIn Hui
  • 2019-04-29
  • 출처 : KOTRA

- 경쟁력 있는 한국산 과일, 가격대비 품질 우수 -

- 치열한 과일 시장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




□ 상품 기본정보

 

 상품명 및 HS Code : 포도(HS0806), 배(HS080830), 딸기(081010)

 

 관세율 : 0%

 

 수입규제 및 인증 : 홍콩은 과일 수입에 대한 특정 규정은 없으나 홍콩 해관에 따르면, 바이어는 수입 시 수입 당국에서 발급한 위생 증명서를 받아서 운송될 수입품에 부착해야 함.

 

□ 시장규모 및 동향

 

  ○ 과일 소비 지속 증가

    - 홍콩은 도시 내 농작물을 생산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져있지 않기 때문에 농산물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이하 aT)에서 발간하는 'Korea Agra Food' 잡지에 따르면, 홍콩의 과일 및 식품의 해외 수입 의존도는 약 95%에 이름.

    - 홍콩 과일 시장 규모 및  수입 규모는 큰 변동 없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2018년 홍콩 과일 시장 규모는 75만 8000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3.1% 증가함.

    - 과일 품목의 경우, 한국산 신선 포도, 배, 딸기의 수입 규모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홍콩 과일 시장 규모

(단위 : 천 톤)


자료 : Euromonitor


  시장 동향

    - 홍콩은 과일 품목에 대한 수입 규제가 없어 많은 국가에서 다양한 과일이 수입되고 있음. 특히 한국에서는 보기 힘든 열대과일인 구아바, 망고스틴 등을 소비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음. 시장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치열해져 저가부터 고가까지 가격 폭이 넓음.

    - 중국산 제품은 가격대가 저렴하지만 농약이 과다 검출되는 사건이 잦아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낮은 편임. 반면, 일본 제품은 비싸지만 신선도가 높고, 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인식이 있어 수요가 끊이지 않음.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 국가

 

   2017년 총 159만 톤 과일 수입, US$26억 규모

    - Produce Report의 홍콩 과일 수입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의 2017년 과일 총 수입 규모는 169만 톤으로, 금액으로는 26억 달러임. 이 중 16억 달러는 재수출된 것으로 나타남.

     - 2017년 기준, 홍콩 과일 수입량 및 금액의 70%를 차지하는 과일은 오렌지, 포도, 두리안, 용안(龍眼), 드래곤 후르츠, 리치, 구아바, 사과, 체리, 바나나, 배, 레몬, 자두가 있음.


2017년 홍콩 과일 수입액

구분

수입액(US$억)

재수출 비율(%)

시장 점유율(%)

주요 수입 국가 비율(%)

포도

4.94

74

18.70

칠레 : 30.4

호주 : 23.2

페루 : 15.5

미국 : 13.9

남아프리카 : 10.1

체리

4.46

68

16.90

칠레 : 75.7

미국 : 16.2

오렌지

3.34

47

12.70

미국 : 34.7

남아프리카 : 27.9

호주 : 13.6

이집트 :  10.4

두리안

2.98

99

11.30

태국 : 98.3

사과

1.82

32

6.90

중국 : 33.8

미국 : 26.7

일본 : 13.4

뉴질랜드 : 12.8

용안(龍眼), 드래곤후르츠, 리치, 그라비올라 등

1.71

72

6.50

태국 : 70.4

베트남 : 7.1

에콰도르 : 5.1

자두

0.97

71

3.70

칠레 : 48.5

미국 : 38.8

호주 : 9.1

레몬

0.66

42

2.50

남아프리카 : 52

미국 : 27.5

딸기

0.62

 

1

2.40

미국 : 35.1

한국 : 28.5

일본 : 23.7

구아바, 망고, 망고스틴 등

0.58

43

2.20

태국 : 34.4

필리핀 : 32.8

호주 : 20.6

자료 : Produce Report


□ 수입규모 및 동향

 

  ○ 홍콩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과일 전체 수입 규모는 전년 대비 5.3% 증가한  342억 홍콩달러(43.6억 달러)임.


2014~2018년 홍콩 과일 수입 규모

(단위 : HK$ 백만, %)

자료 : 홍콩 통계청(2019.04.09)


  ○ 2018년 홍콩의 신선 포도, 배, 딸기 수입 규모는 각각 38.5억 홍콩달러, 3.7억 홍콩달러, 5억 홍콩달러로 상승세를 이어감.

 

신선 포도, 배, 딸기 수입 규모

(단위 : HK$ 백만, %)

HS Code

구분

2016

2017

2018

수입

증감률

수입

증감률

수입

증감률

080610

신선 포도

3,524

+4.1

3,801

+7.9

3,853

+1.4

080830

신선 배

408

-1.7

347

-14.8

371

+6.9

081010

신선 딸기

387

-1.2

484

+25.1

501

+3.7

자료 : 홍콩 통계청(2019.04.09)

 

  ○ 신선 포도 1위 수입국은 칠레로 전체 수입의 39.4% 차지

    - 포도 수입은 국가별로 큰 폭의 증감률이 있음. 2018년 태국으로부터의 포도 수입 증가율은 999.9% 이상임.

    - 한국은 2014년부터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으며 2016년에는 282% 증가함. (2014~2018년 증가율 : 38.4%, 37.7%, 282.0%, 65.3%, 58.2%)

    aT 홍콩 지사 관계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2016년에 포도 품종 중 하나인 샤인 머스캣이 시장에 출시되면서 한국산 포도 수입이 크게 확대됐음. 샤인 머스캣은 그동안 일본산 제품이 홍콩 시장에서 가장 인기를 끌었지만 한국산 샤인 머스캣이 홍콩에 소개되면서 당도가 높으며 일본산 대비 가격 경쟁력이 있어 바이어와 소비자 모두가 찾는 품목으로 자리잡았다고 함. 또한, 시설포도의 조기 출하, 품질 개선 등으로 한국산 포도 수입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

 

2016~2018년 홍콩 신선 포도(HS080610) 수입 규모

(단위: HK$ 백만, %)

순위

국가명

2016

2017

2018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1

칠레

1,334

+37.7

1,150

-13.8

1,519

+32.1

2

호주

722

+33.8

879

+21.7

763

-13.2

3

페루

557

-32.2

592

+6.4

499

-15.8

4

미국

512

-23.8

528

+3.2

432

-18.1

5

남아프리카

238

-13.3

385

+61.3

261

-32.2

6

일본

91

+75.7

120

+31.6

124

+3.8

7

태국

5

+24.0

5

-11.1

92

**

8

인도

16

-5.7

38

+132.8

40

+4.3

9

한국

12

+282.0

20

+65.3

32

+58.2

10

중국

2

-74.0

35

**

32

-9.1

: ** - 증감률 999.9% 이상

자료 : 홍콩 통계청(2019.4.10.)

 

  ○ 품질 보장, 가격 대비 합리적인 한국산 배  

    - 중국산 배 수입 규모는 전체 수입액 중 62%를 차지하고 있음. 다양한 크기의 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한국 배보다 작은 크기임. 하지만 최근에는 중국에서 한국산 종자를 수입하여 중국 본토에서 재배된 큰 배들이 나오기 시작했으며, 홍콩뿐만 아니라 동남아 지역에도 배 수출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음. 간혹 홍콩 바이어들이 중국산 배에 한국어 라벨을 붙여 유통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어 한국 수출업체는 홍콩 바이어들에게 주의시켜야 함.

    - aT 홍콩 지사 관계자는 “한국산 신고배는 과즙이 풍부해 과일로 즐기기도 하고, 특히 끓여 먹으면 감기, 목 보호에 좋다는 인식이 있어 환절기에 판매량이 증가한다”며 한국산 배가 홍콩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원인에 대해 분석함.

 

2016~2018년 홍콩 신선 배(HS080830) 수입 규모

  (단위: HK$ 백만, %)

순위

국가명

2016

2017

2018

수입액

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1

중국

192

+4.8

185

-3.6

230

+24.0

2

일본

32

+11.3

34

+4.3

47

+37.6

3

남아프리카

82

+26.4

54

-34.5

28

-48.8

4

네덜란드

14

-22.2

12

-17.0

18

+58.2

5

한국

8

+4.1

9

+21.4

13

+34.2

6

벨기에

22

-37.2

18

-16.3

12

-35.3

자료 : 홍콩 통계청(2019.4.10.)

 

  ○ 한국산 딸기를 찾는 홍콩 소비자들

    - 일본산 딸기가 2018년 기준, 홍콩 딸기 주요 수입국에서 1위를 기록함. 2017년에 큰 폭으로 수입이 증가했으며, 2018년에도 증가세를 이어감.

    - aT 홍콩 지사 관계자는 “최근 한국산 딸기 중 매향 딸기 외에도 과가 크고 당도가 높은 설향, 금실 딸기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고 하며 요즘 홍콩 소비자들이 찾는 딸기에 대해 설명함.

    - 2016년부터 3년간 미국산 딸기의 인기가 하락하고 있어 향후 한국산 딸기의 가격 및 품질이 원활하게 유지된다면 그 자리를 메꿀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됨.

 

2016~2018년 홍콩 신선 딸기(HS081010) 수입 규모

 (단위: HK$ 백만, %)

순위

국가명

2016

2017

2018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1

일본

52

+32.9

115

+121.3

153

+33.3

2

미국

194

-7.2

170

-12.3

147

-13.6

3

한국

89

-8.1

138

+54.3

132

-4.6

4

멕시코

11

+23.6

14

+24.8

16

+17.1

5

칠레

9

-52.7

13

+52.2

12

-8.3

자료 : 홍콩 통계청(2019.4.10.)

 

□ 유통구조

 

  ○ 수입과 유통을 동시에 책임지는 홍콩 과일 바이어

    - 한국의 공급 업자는 농업회사 법인, 지방 공기업이 출자하여 만든 무역회사 또는 개인 무역 회사 등을 통해 해외 바이어를 찾아서 제품을 수출함.

    - 홍콩 바이어들은 수입업자, 도매상, 에이전트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슈퍼마켓 유통도 같이 함. 홍콩은 작은 도시 특성상 주요 수입 도매상이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주요 수입 도매상들은 물류, 현지 창고, 슈퍼마켓으로 배달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함.

    - 이 밖의 수입 도매상들은 작은 규모로 운영되고 있으며 수입 후 재래시장 또는 대형 슈퍼마켓으로 소량 납품을 하고 있음. 이들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창고가 없기 때문에 슈퍼마켓 창고로 납품하는 형태임.

 

□ 시사점

 

  ○ 경쟁이 치열한 홍콩의 과일 시장

    - 홍콩은 관세 장벽이 없어 시장 진입이 용이한 만큼 전 세계 과일이 홍콩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문을 두드리고 있음.

    - 하지만 홍콩 소비자들의 인식에 좋은 이미지로 계속 자리 잡기 위해서는 수출국의 꾸준한 노력이 필요함. 일본산 과일은 홍콩 시장에 진출하면서 비싸지만 품질을 보장하는 상품 고급화 이미지로 자리매김하는데 성공함. 일본 경제 신문 닛케이신문에 따르면2018년 기준, 홍콩이 13년 연속 일본식품 수입국 1위를 기록함.

 

  ○ 한국산 과일이 인정받고 있는 시점

    - 홍콩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산 포도, 배, 딸기는 2018년 주요 수입국 중에서 각각 9위, 5위, 3위를 차지함.  

    - 한국산 포도는 일본산 샤인 머스캣의 유명세에 따라 거봉의 인지도도 같이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됨.

    - 건강 관리에 각별히 신경 쓰는 홍콩 소비자들에게 한국산 배는 감기 치유, 기관지에 좋다는 인식이 있어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최근에 일반 슈퍼마켓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한국산 딸기는 홍콩 소비자들에게 가격 대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

    - 현재 한국산 과일의 인지도가 높아지는 시점인 만큼 홍콩 바이어와 소비자에게  품질과 가격이 꾸준히 유지되는 것이 중요함.

 

 

자료 : 123RF, 홍콩 해관, 홍콩 통계청, Euromonitor, Produce Report, 닛케이신문, Top!ck, Korea Agra Food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홍콩 과일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