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인도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
  • 첸나이무역관 김태룡
  • 2017-12-07
  • 출처 : KOTRA

Make in India 정책으로 자국조달 비중이 높아져 -

- 한국 수입부품 점유율 1, 현지 기술력 한계로 고성장 시장 -

 



□ 상품명 및 선정 사유


  ㅇ 상품명: 자동차부품(HS Code 8708)

    - 자동차부품(HS Code 8708)은 자동차 제조 및 수리에 들어가는 구성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기어박스(HS Code 870840), 차체의 기타 부분품(HS Code 870829), 클러치(HS Code 870893), 제동장치(HS Code 870830)처럼 차량의 기본구조를 구성하는 품목에서부터 핸들(HS Code 870894), 안전벨트(HS Code 870821) 등 부가 구성 요소들까지 폭넓게 아우르고 있음.

 

  ㅇ 선정 사유

    - 인도 자동차 판매량은 연평균 5.9% 성장률을 기록하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생산량 기준으로는 한국을 제치고 세계 4위의 자동차 생산국으로 등극했으며, 국민소득 향상에 따라 자동차의 국내 소비계층도 점차로 넓어지고 있음.

 

인도 자동차 판매량(이륜자 포함)

(단위: 백만 대)

external_image

자료원: IBEF, Society of Indian Automobile Manufacturers(SIAM)

 

    - 생산 및 신차 판매뿐만 아니라 기존에 판매된 차량들의 노후화로 관련 자동차 애프터마켓의 성장이라는 변화 역시 인도 자동차부품시장의 확대에 기여하고 있음. 시장조사 전문기관 Frost & Sullivan의 분석에 따르면 인도의 애프터마켓의 경우 규모는 아직 작지만 2022년까지 30% 이상의 성장을 기록할 잠재력을 보유한 것으로 분석함.

 

2017년 지역별 자동차 애프터마켓 분석

external_image

자료원: Frost & Sullivan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인도 자동차부품시장

    - 2016~2017년 인도 자동차부품산업 매출액은 전년대비 14.3% 성장한 29조2000억 루피(390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2011~2012년 대비 42.75% 성장한 수치임. 인도 자동차부품 산업 매출의 경우 75%가 국내, 나머지가 해외 수출로 발생하며 수출보다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매출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인도 자동차부품산업 매출액

(단위: 백억 루피, %)

external_image

자료원: Automotive Component Manufacturers Association of India(ACMA)

 

    - 시장조사기관 Frost & Sullivan의 조사에 따르면 2017년 인도에서 운행 중인 차량의 약 60% 이상이 7년 이상 운행돼 보증기간이 지난 부품들에 대한 교체 및 추가 보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전망임. 운행 중인 차종을 살펴보게 되면 현대자동차가 15.7%로 향후 애프터마켓에서 현대자동차 관련 부품의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음.

 

2017년 인도에서 운행 중인 자동차 소유현황

  external_image

자료원: Frost & Sullivan

 

  ㅇ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 인도 상공부에서 발표하는 자동차부품(HS Code 8708) 수입액을 살펴보면 2014~2016년까지는 6% 이상의 성장을 기록했으나, 2016~2017년 큰 폭으로 감소해 2014~2016년의 수입규모보다도 작아짐. 이는 Make in India 정책에 따라 자국 자동차산업을 육성하려는 인도 정부의 다양한 노력의 결과로 자동차부품의 인도 내 조달 비율의 상승에 따른 현상임.

 

최근 3년간 인도 자동차부품 수입규모 및 성장률

(단위: 백만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원: 인도 상공부

 

    - 인도 자동차부품제조연합(ACMA)에서 자체적으로 산업군을 조사한 자동차부품 수입현황을 살펴보면, 상공부의 자료와 유사한 증감율을 보이고 있나 감소율이 훨씬 낮음. 이러한 차이는 인도 상공부 자료의 경우 단순 HS Code 기준으로 인도를 거치는 중계무역 수요 등이 포함된 반면, ACMA의 자료는 회원사들의 실소비를 기반으로 작성된 것에 따른 차이로 보임.

 

인도 자동차부품 수입액

(단위: 백억 루피, %)

external_image

자료원: Automotive Component Manufacturers Association of India(ACMA)

 

  ㅇ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 자동차부품의 대인도 수출액의 경우 2014년 이래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인도 전체 자동차부품 수입액이 6% 이상 감소함. 2016~2017년에도 한국의 수출은 증가해 수입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8.5%를 기록함. 이로써 중국, 독일을 제치고 인도 최대 부품 수입국으로 자리매김.

 

최근 3년간 자동차부품 대한 수입규모

(단위: 백만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원: 인도 상공부

 

한국 주요 수출품목

(단위: 백만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원: K-stat 무역통계

 

  ㅇ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과거 한국 부품의 경쟁상대는 일본, 중국 등의 해외 부품업체였음. 그러나 인도 내 자동차산업의 발전으로 인도 현지기업들과의 경쟁도 점차로 늘고 있는 추세

    - 중국산 저가부품의 경우 인도 내 자동차산업의 발달로 점차로 그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음. 고가부품의 경우에도 가격에 민감한 인도 소비자를 잡기 위해 인도 진출 글로벌 업체들이 자동차부품의 현지 조달 비율을 높이고 있어 정밀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은 분야를 중심으로 인도 현지 업체와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 인도 현지업체들의 경우 해외기업들과의 제휴를 통해 부족한 기술력과 자본을 조달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하지만 아직까지 엔진 및 안전 관련 핵심부품의 경우 인도 내 산업 수준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수입에 의존해야 함.

 

인도 자동차부품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단위: 백만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원: 인도 상공부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절차 및 제도


  ㅇ 자동차부품 주요 품목 관세율


external_image

자료원: 인도 관세청(CBEC), 인도 트레이드 포털

 

  ㅇ 수입규제

    - 자동차부품관련해 특별한 규제는 현재 특별한 규제가 진행되지는 않지만, 자국 자동차 산업보호를 위해 각종 비관세 장벽(인증, 규제 등)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어 주의가 필요함.

 

  ㅇ 관련 인증 및 제도

    - 자동차 관련 인증제도의 경우 인도표준(IS)과 자동차 산업표준(AIS) 인증이 대표적임. 차량의 유형에 따라 M1, M2, N1, N2, N3 카테고리로 나뉘며 각각에 대한 테스트 및 인증 확인이 필요


M1 카테고리 관련 인증 리스트

external_image 

주: 기타 인증  관련은 다음의 사이트를 참조할 것(https://www.araiindia.com/services_certification_vehicles.aspx)

자료원: Automotice Research Association of India(ARAI)

 

□ 시사점


  ㅇ 인도 정책 변화에 따른 시장 변화에 대비가 필요

    - 인도의 자동차 산업 정책은 크게 인도 내 자동차 제조업 발전과 친환경 자동차로의 전환 두 가지로 나뉨. 우선 Make in India로 대표되는 인도 제조업 발전정책은 수입관세와 인증제도 도입을 통한 기술장벽 등을 중심으로 수입을 억제하고 해외기업의 인도 내 생산시설 투자 등을 유도하고 있음. 자동차산업에도 같은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일본 등 해외 자동차업계의 대인도 투자 확대에 따라, 부품사의 동반 진출 및 현지 업체와의 기술제휴를 통합 협력이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인도 시장을 두고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 이에 장기적으로는 부품사 역시 단순 수출을 넘어 현지 생산 또는 제휴를 고민하는 것이 필요

    - 또 다른 자동차산업 정책인 친환경 자동차(전기차) 도입의 경우 인도 에너지부 장관이 싱크탱크기관인 NITI 보고서를 인용 2030년까지 판매되는 신차를 모두 전기차로 바꾸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밝힘. 관련 로드맵은 2017년 하반기 발표 예정이었으나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발표되지는 않았음. 하지만 인도 정부는 이미 현지 상용차 회사에 전기버스 1만 대를 주문하는 등 전기차로의 산업 이행을 위한 수순을 하나씩 밟아나가는 것으로 보임. 이와 관련해 기존 완성차 산업과 내연기관 관련 부품업계에 큰 영향이 미칠 전망으로 관련 동향을 면밀히 살펴야 함.

 


자료원: IBEF, Society of Indian Automobile Manufacturers(SIAM), Frost & Sullivan, Automotive Component Manufacturers Association of India(ACMA), Automotice Research Association of India(ARAI), 인도상공부, 인도관세청, 인도 트레이트 포털, KOTRA 첸나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인도 자동차부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