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폴리프로필렌(PP)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우한무역관
  • 2020-08-11
  • 출처 : KOTRA

- 중국 PP 수입시장에서 한국 점유율 1위 유지 -

- 코로나 19로 PP수요 늘어 공급 부족 -




제품개요 및 HS코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이하 PP)이란 성능이 우수한 열가소성 합성수지임

   - 다운스트림 제품으로는 마대자루, 사출성형, 박막, 섬유, 강관재료 등의 형태로 포장, 가전제품, 자동차, 의료방호제품 및 영유아용품 등에 널리 쓰이고 있음

 

PP는 멜트블로운 부직포 마스크를 생산하는 주요 원재료이기도 함

external_image

자료원polymirae홈페이지

 

   ○ 폴리프로필렌(HS CODE: 3902.10)MFN세율은 3~6.5%이며(2020년 한·FTA 세율은 6.5%) 제품 수입에 대해 특별한 인증은 필요없음

 

HS CODE

제품명(영문)

MFN RATE

필요한 인증서

390210

Polypropylene, in primary forms

3%~6.5%

인증 필요없음

자료원: 중국상무부


시장규모 및 동향


  의료설비, 자동차산업의 빠른 발전과 배송서비스, 전자상거래의 확대로 PP원료에 대한 수요는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

   - 2019 중국의 PP소비량은 2,550만톤으로 동기대비 9.2% 증가했으며 2012~2019 연평균복합성장률(GAGR) 6.8% 도달

 

external_image

자료원: 줘촹즈쒼(卓创资讯), 치엔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

 

  중국의 PP 소비구조에서 포장, 자동차, 가전업종은 PP의 최대 소비시장이며 편직물, 사출성형품, BOPP박막 등은 PP의 주요 응용분야임(편직물, 사출 성형품, BOPP는 각각 32%, 28%, 18%의 시장점유율 차지)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플라스틱공업 연감


  ○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마스크, 물티슈, 기저귀 등 위생방호용품 원료의 품귀현상이 나타났으며 PP의 공급부족으로 가격이 급등

   - 2020410, 중국 PP분말재료의 시장가격은 톤당 7,100~10,000위안이였으나 불과 2일후 톤당 13,000~15,000위안으로 폭등

 

  ○ 앞으로 중국의 신규 PP프로젝트가 생산에 반영되면 PP의 생산능력은 더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

   - 2023년 중국 PP생산능력은 3,500만톤을 초과하며 자급률은 90%에 달할 것으로 예상

   - 대체품이 없는 고급제품을 제외한 기타 제품은 기본적인 수급균형을 이루면서 시장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

 

국가별 수입규모 및 가격 동향


  ○ 2017~2019 중국의 PP수입 금액은 40억달러로 안정될것으로 전망

   - 2019 국가별 PP수입랭킹에서 한국은 24.3% 점유율로 1위를 차지

   - 다음으로는 사우디(13%) 싱가포르(10.1%)가 자리함

 

  ○ 2017~2019, 중국에 수입되는 한국의 PP비율은 2017년의 28.4%에서 2019년의 24.3% 줄어든 반면 중동 동남아시아 (아랍에미리트,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2017~2019년 중국 PP수입규모 및 국가별 순위(단위: 천달러,%)

랭킹

국가

2017

2018

2019

수입금액

점유율

수입금액

점유율

수입금액

점유율

 

World

3,843,963

-

4,191,398

-

4,044,476

-

1

Korea

1,091,087

28.4

1,127,314

26.9

981,615

24.3

2

Saudi Arabia

621,463

16.2

650,660

15.5

524,191

13

3

Singapore

429,581

11.2

456,237

10.9

409,354

10.1

4

Taipei

377,045

9.8

404,479

9.7

337,476

8.3

5

Arab Emirates

242,982

6.3

243,405

5.8

320,691

7.9

6

Thailand

181,754

4.7

239,416

5.7

278,212

6.9

7

Japan

179,675

4.7

209,582

5

219,329

5.4

8

Viet Nam

91,114

2.4

140,374

3.3

166,327

4.1

9

Malaysia

51,352

1.3

125,382

3

161,579

4

10

India

85,098

2.2

163,878

3.9

137,928

3.4

자료원: International Trade Centre (ITC)

 

  2019 중국에 수입되는 PP 상위 10개국 가운데서 대만 제품은 1,316달러/톤의 단가로 제일 높음

   - 한국은 1,255달러/톤으로 2

   -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의 제품 단가는 850달러/, 969달러/톤으로 제일 낮음


2019년 중국 PP수입 단가 국가별 랭킹

랭킹

국가

수입단가

달러/

수입금액

천달러

수입량

 

World

1,159

4,044,476

3,490,914

1

Taipei, Chinese

1,316

337,476

256,533

2

Korea

1,255

981,615

781,936

3

Singapore

1,204

409,354

339,928

4

Saudi Arabia

1,137

524,191

461,101

5

Thailand

1,108

278,212

251,002

6

Japan

1,102

219,329

199,054

7

India

1,076

137,928

128,136

8

Arab Emirates

1,004

320,691

319,486

9

Viet Nam

969

166,327

171,586

10

Malaysia

850

161,579

189,999

자료원: International Trade Centre (ITC)


시장경쟁 동향


  ○ 중국은 이미 70개의 PP생산업체를 보유 중

   - 현재 중국석유화공(Sinopec), 중국석유(CNPC), 중국해양석유(CNOOC) 국유기업과 SK-시노펙(SINOPEC-SK), 아람코-시노펙(SINOPEC-SABIC) 합자기업 헝리석유화공(恒力石化), 저장석유화공(浙江石化) 민영기업이 경쟁구도를 형성하고 있음

   - 그 중, 중국석유화공(Sinopec) PP생산능력은 가장 높은 26% 차지하며 다음으로는 중국석유(CNPC) 18% 차지


중국PP시장 경쟁구도

기업유형

대표기업

시장점유율

국유기업

중국석유화공(Sinopec)

중국석유(CNPC)

중국해양석유(CNOOC)

47%

합자기업

SK-시노펙(SINOPEC-SK)

아람코-시노펙(SINOPEC -SABIC)

-중국해양석유(CNOOC -Shell)

41%

민영기업

헝리석유화공(恒力石化)

저장석유화공(浙江石化)

12%

자료원: 중국플라스틱망(中国塑料在线)

 

  중국국내 PP생산원료를 놓고 보면 원유정제설비의 PP 생산력은 1,246만톤으로 전체의 58.3%를 차지

   - 메탄올/석탄분해설비(MTO,CTO)의 생산력은 671만톤으로 전체의 31.3%를 차지

   - 프로판 탈수소화설비(PDH)의 생산력은  230만톤으로 전체의 10.7%를 차지


  앞으로 신규 프로젝트가 가동됨에 따라 중국의 PP생산력은 빠른 속도로 발전할 것이며 2023년 산량은 3,500만톤을 초과하고 자급률은 90%에 달할 것으로 예측

   - 그러나 중국 국내에서 생산한 PP제품 중 고성능, 고부가가치를 지닌 특수소재의 생산량이 적기 때문에 일부 고급 혼합PP, 박막PP 및 섬유재료는 여전히 수입제품에 의존중임


  해외 석유화학업체들은 일반적으로 중국에 연락사무소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중국시장에 진출

   - 판매루트는 직접판매와 지역대리임

   - 직접판매는 다운스트림공장의 고객을 상대로 직접 판매하는 것이고 지역대리는 에이전트 또는 장기고객을 상대로 판매 후 에이전트가 다시 다운스트림공장에 판매하는 것임

   - 현재 시장을 놓고 보면 직접판매가 향후 대세가 될 것으로 전망

 

시사점


  향후 몇년간 생산력 증대에 따라 중국 PP시장은 점차 수급균형을 이루게 될 것이고 중,저급제품은 자급자족을 만족시킬수 있을 것으로 예상

   - 고급PP분야에서는 여전히 부족해 주로 한국, 일본 및 동남아시아 나라 등을 통해 수입할 것으로 예상

   - 현재 코로나19의 심각한 확산으로 일부 국가 봉쇄조치로 단기적으로는 고급PP제품의 공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X화학공업판매업체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중국 국내의 소비습관과 소비패턴에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

   - 멜트블로운(MB) 부직포, 복합성포장재료, 가전제품, 자동차내· 부품, 어린이 카시트 고강성·고광택기구, 온열캔식품포장용기 전형적인 분야에서 중고급PP제품의 활용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음


  ○ 같은 유형의 제품과 비교해보면 한국 PP제품은 기술력, 품질 가성비가 높아 다운스트림 공장내 시장점유률이

   - 즉, 가격이 비싸도 여전히 사용하려는 공장이 있음

   - 그러나 기존의 사우디, 태국,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연합 등dml 국가도 기술을 향상시키고 가격경쟁력도 높아지고 있어 앞으로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 중국상무부, 줘촹즈쒼(卓创资讯), 치엔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 International Trade Centre (ITC)중국플라스틱망(中国塑料在线), 즈옌즈쉰(), 우한 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폴리프로필렌(PP)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