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꿈틀거리는 중국 해충방제시장
  • 트렌드
  • 중국
  • 선양무역관
  • 2019-04-03
  • 출처 : KOTRA

- 2030년 잠재시장 100억 위안 추정, 현재 약 40억 위안 규모 추산 -

- 식당위생법 강화 및 인식 변화 등으로 해충방제 서비스 수요 대폭 증가 기대 -

 

 

 

□ 성장 배경 및 시장현황

 

  ㅇ 최근 몇 년 동안 대중매체를 통해 폭로된 식품안전 사고가 잇따라 나오면서 중국 국민의 요식업에 대한 신뢰가 크게 떨어지고 있음.

    - 올해 3월 19일 중국 전역에서 100여 곳이 넘는 매장을 운영 중인 프랜차이즈 업체 ‘와이포지아(外婆家)’는 주방 조리대에 쥐가 돌아다니는 비위생적인 모습이 공개돼 중국 전역을 충격에 빠뜨렸음.

    - 또한 지난해 중국 유명 레스토랑 체인 '샤부샤부(呷哺呷哺)'도 훠궈 냄비 안에서 죽은 쥐가 발견돼 네티즌들이 분노하면서 시총 15억 위안이 증발한 사건이 있었음.

 

최근 3년간 중국의 식품안전 사고

기간

업체명

식품안전 사고

2017년 8월

하이디라오

(海底)

매체의 잠입취재로 주방에 쥐가 들끓고, 음식에 사용하는 국자로 하수구를 청소하는 등 비위생적인 모습이 공개됨.

2018년 6월

하이디라오

(海底)

훠궈 소스에서 파리가 발견되면서 위생 논란이 재점화됐음.

2018년 9월

샤부샤부

(呷哺呷哺)

훠궈 냄비 안에서 죽은 쥐가 발견됨.

2019년 3월

와이포지아

(外婆家)

주방 조리대에 쥐가 돌아다니는 비위생적인 모습이 발견됨.

2019년 3월

월리스

(华莱士)

유통기간이 지난 음식을 판매하고 주방 곳곳에 바퀴벌레가 돌아다니는 등의 내용이 보도됨.

자료원: KOTRA 선양 무역관 정리

 

  ㅇ 중국 정부는 그동안 식품안전 사고에 대해 규제를 강화해왔으나 여전히 식품안전 사고가 빈번함.

    - <중국식품안전발전보고(中国食品安全发展报告)>에 따르면 2017년 중국에 발생한 식품안전 사고는 1만 9603건으로 하루 평균 53.7건으로 집계됐음.

 

중국 식품안전 사고 현황

(단위: 건)

 word_image

자료원: 중국 국가통계국

 

    -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불신이 고조되고 있으며 식품안전은 ‘중국에서 가장 주목받은 10대 핫이슈’에서 2012년부터 6년 연속 확고부동한 1위를 차지했음.

 

중국에서 가장 주목받은 10대 핫이슈(2012~2017년)

순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

식품안전

식품안전

식품안전

식품안전

식품안전

식품안전

2

물가

부패

부패

의료 개혁

양로

주택시장 개혁

3

부패

의료 개혁

물가

부패

부동산 가격

환경보호

4

의료 개혁

빈부 격차

부동산 가격

빈부 격차

의료 개혁

부동산 가격

5

부동산 가격

부동산 가격

의료 개혁

부동산 가격

부패

소득배분 개혁

6

빈부 격차

사회보장

빈부 격차

취업

환경보호

물가

7

사회보장

물가

환경보호

물가

공중보건

사회 시용

8

교육 개혁

환경 보호

취업

사회보장

물가

의료 개혁

9

소득분배 개혁

소득분배 개혁

사회보장

환경보호

취업

교육 개혁

10

주택시장 개혁

주택시장 개혁

사회도덕적 분위기

교육 개혁

사회보장

양로

자료원: 샤오캉(小康) 매거진

 

  ㅇ 최근 들어 일부 음식업소는 방역 전문회사에 의뢰해 해충방제 전담 관리를 받기 시작했으며 이에 중국의 해충방제 서비스시장도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임.

    - 중국유해생물방제협회(国卫生有害生物防制协会)에 따르면 2017년 중국의 해충방제시장은 약 6억 달러로 추정됨.

 

□ 중국의 해충방제산업

 

  ㅇ 과거에는 사회주의 체제를 걸어온 중국의 특성상 정부기관이 주도적으로 해충방제 업무를 수행해왔는데 90년대 이후 서서히 민영업체들이 출현하기 시작했고 아울러 외국계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 진입하기 시작해 현재는 매우 경쟁이 치열한 상태에 있음.

 

중국 해충방제산업 발전 연혁

기간

발전단계

특징

1990년대 이전

정부 주도 단계

국가 및 지방정부 차원에서 쥐약 및 살충제 살포를 실시하는 등 해충방제 회사의 역할 및 수요가 미미함.

1990년대~2002년

정부 주도에서

시장화로 전화

중국 국내시장 개방으로 일부 민영업체과 외국계 업체들이 해충방제시장에 진입하기 시작함.

2003년 이후

시장화 단계

2003년 일련의 개혁조치의 결과로 정부의 금전적 지원이 점차 감소하고 전면적인 시장화가 이뤄지면서 중국 전역에서 관련 산업이 태동하고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한 상태임.

자료원: 동관시 유해생물방제협회(东莞市有害生物防治协会)

 

  ㅇ 중국의 해충방제시장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낙후한 상황이며 주요 고객층으로는 일반 음식점, 공장, 호텔 등으로 아직 일반 가정을 위한 시장 쪽은 제대로 형성돼 있지 않음.

 

중국 해충방제시장 분야별 점유율

 word_image

자료원: 동관시 유해생물방제협회(东莞市有害生物防治协会)

 

  ㅇ 중국유해생물방제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해충방제 전문업체는 약 1만 개사로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집중돼 있으며 회사 규모는 수십명에서 1~2명 수준까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남. 전체적으로 전문성이 낮은 편으로 업체 간 가격 경쟁이 치열한 상황임.


  ㅇ Rentokil, Ecolab 등 외국계 해충방제 전문 기업들은 현재 중국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출해있으며 전문·체계화된 서비스로 업계에 높은 평가를 받고 있음.

 

중국 시장에 진출한 외국계 해충방제 전문기업

업체명

진출시기

진출 현황

Ecolab

1987년

 - 중국 내 63개 지사 설립, 직원 수는 800여 명

 - 식품업, 요식업, 숙박업, 제약업 등 다양한 분야에 서비스 제공

Intertek

1989년

 - 중국 내 40여 개 도시에 실험실·사무소 설립, 직원 수는 9000여 명

 - 해충방제 외에도 시험·검사 및 종합 안전 솔루션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SGS

1991년

 - 중국 전역에 78개 사무소, 150개 실험실 설립

 - 중국 내 직원 수는 약 1만5000명에 달함.

 - 해충방제 외에도 시험·검사 및 종합 안전 솔루션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Rentokil

2005년

 - 중국 내 200여 개 도시에 서비스 제공

 - 2012년 외국계 기업 최초로 중국 유해생물방제서비스 A급 자격 취득

 - 2010년 상하이월드 엑스포에 해충방제 서비스 제공

Orkin

2011년

 - 중국 상하이, 하이난, 청두, 베이징, 샤먼 등 도시에 지사 설립

 - P&G, Carrefour, Walmart, 맥도날드 등 중국에 진출한 글로벌 대기업에 서비스 제공 중

자료원: KOTRA 선양 무역관 정리

 

□ 정책동향

 

  ㅇ 국민들의 식품에 대한 불안이 급증할수록 식품안전에 대한 관리강화는 정부의 주요 추진 과제로 부상함.

 

  ㅇ 중국 국가시장관리감독총국은 지난해 10월 요식업 식품생산과정에 대한 심사 강화조치인 ‘요식업 서비스 식품안전관리규범(餐饮服务食品安全操作规范)’을 시행함.

    - 이 규범에는 요식업 서비스 장소의 위생관리, 해충방제 등 요식업 서비스 관련 표준과 기본 규범이 포함되며 식품 제공자의 책임 이행과 식품안전관리 능력 향상 등을 강조하고 있음.

 

국가시장관리감독총국 발표문

 word_image

자료원: 국가시장관리감독총국 홈페이지

 

    - 이것은 지난해 10월 1일부로 시행된 중국 역사상 가장 엄격한 식품안전법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식품안전 확보를 위해 법제도 정비, 신규 규정 설립 등의 작업이 추진될 예정

 

□ 시사점

 

  ㅇ 최근 몇 년간 중국의 식품 안전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는 가운데 국민들의 ‘혀끝 안전’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음.

    - 소비자들의 식품에 대한 불안감이 급증할수록 안전사고는 식품업계에 치명적인 리스크로 부상하고 믿고 먹을 수 있는 안전 식품을 위한 기업들의 안전 관리 시스템이 중요해지고 있음.

    - 식당위생법 강화 및 음식업소 경영자의 인식 변화 등으로 중국의 해충방제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30년 시장 규모가 100억 위안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ㅇ 중국에는 미국바퀴, 시궁쥐, 검정파리과, 중국얼룩날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 곰개미(목개미) 등 한국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해충들이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방제업체가 진출할 만한 긍정적인 환경이라고 할 수 있음.

 

  해충방제 업계 관계자 인터뷰

Q1) 현재 중국 해충방제 서비스시장의 발전 현황이 궁금하다. 

A1) 중국의 해충방제시장은 선진국에 비해 늦게 형성돼 산업 자체는 초기 단계에 있지만 식품안전에 대한 규제 강화, 환경위생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수요가 계속 늘고있고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Q2) 중국의 해충방제 산업 발전에 가장 큰 장애요인이 무엇인가?

A2) 해충방제 업계의 전반적인 기술 수준이 낮은 관계로 업체 간 가격 경쟁이 치열하다. 사실은 원가에도 미치지 못하는 가격으로 거래가 이뤄지는 과당경쟁이 매우 심하다. 지나친 가격경쟁보다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품질 경쟁으로 나아가야 올바른 시장 질서가 확립될 것이다. 건전한 경쟁을 위해 합리적인 입찰 제도 연구,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 기업 간 소통 문화 정착 등이 시급한 과제이다.

 

Q3) 고객들이 해충방제 서비스 업체를 선택할 때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 조언을 부탁드린다.

A3) 단순히 가격이나 인맥을 통해 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회사의 배경과 잠재력 그리고 전문적인 역량을 우선시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신뢰성이 높고 편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업을 선택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자료원: KOTRA 선양무역관 자체 진행

 


자료원: 21世纪经济报道, 中国经济网, 国际金融报, 有害生物防治, 小康, 莞市有害生物防治协会, KOTRA 선양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꿈틀거리는 중국 해충방제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