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中 시안시 로봇산업 현황 및 발전 방안
  • 트렌드
  • 중국
  • 시안무역관
  • 2018-12-28
  • 출처 : KOTRA

- 서북지역 중심 도시 시안, 과학기술 인프라를 기반으로 로봇산업 연구개발생산 확대 중 -

- 제조, 물류, 의류, 생활공공 서비스 등 로봇기술+타산업 융합 분야에 진출 협력 기대 -




중국 로봇시장 개요


  ㅇ 로봇은 자동제어기기의 속칭으로 일체의 인간행위 혹은 사상을 모사하거나 기타 생물을 모사하는 기계임

    - 로봇산업의 발전 수준은 국가의 혁신 능력과 산업경쟁력을 가늠하는 중요 지표 중 하나임.


  ㅇ 중국 로봇 시장규모

    - 중국은 전 세계 최대 로봇시장으로 2017 판매액이 409억 위안에 달해 글로벌 로봇 시장규모의 27% 이상을 점유

    - 연도별로는 2014년 220억 위안에서, 4년간 평균 25% 증가율의 속도로 2017년에는 1.95배 규모로 성장함.

    - 2017년 중국 로봇시장은 공업로봇 275억 위안, 서비스로봇 86억 위안, 특종로봇 48억 위안으로 나눠짐.


2014~2017년 중국 로봇시장 현황(단위: 억 위안)

word_image 

자료원: 시안시로봇산업발전규획(2018-2021)


  ㅇ 중국 내 로봇산업 중점지역 현황


구분

지역

도시

로봇기업(개사)

총 생산액(억 위안)

1

장삼각 지구

상하이, 쿤산, 창저우, 쉬저우, 난징, 닝보

1,270

860

2

주삼각 지구

선전, 광저우, 둥관, 순더

740

750

3

환발해 지구

베이징, 톈진, 허베이

380

450

4

동북 지구

하얼빈, 선양, 푸순

260

430

5

중부지구

우한, 뤄양

450

600

6

서부 지구

시안, 충칭, 청두, 바오지

230

350

자료원: 시안시로봇산업발전규획(2018-2021), KOTRA 시안 무역관 자체 정리

 

중국 로봇산업 중점지역 분포도

word_image 

자료원: 시안시로봇산업발전규획(2018-2021), KOTRA 시안 무역관 자체 정리


□ 시안 로봇산업 현황


  ㅇ 시장 및 산업 현황

    - 현재 시안시 로봇 및 스마트 제조산업 총 생산액은 100억 위안 규모로, 로봇 연구개발생산기업 20여 개 종사인원이 5000명임.

    - 시안은 과학기술자원과 인력, 연구기관 등 기초 인프라가 풍부하고 로봇산업이 응용될 제조, 물류, 의료 등 산업조건을 구비

    - 시안교통대, 시안과기대, 시안이공대, 산시성 연구기관 등에서 전문로봇연구개발기관*을 설립

    * 스마트로봇혁신연구원, 인공지능과로봇연구소, 지능로봇연구센터, 로봇산업발전연구소 등

    - 시안 고신구, 경제개발구, 항천(우주)산업기지 등을 중심으로 로봇산업단지 조성 추진 중

    - 로봇 제품시장과 로봇 산업규모가 작고 산업체인망 미비, 핵심 기술의존도가 높은 문제점이 상존

 

  ㅇ 발전방향 및 목표

    - 로봇 완성체 제조  시스템 통합 솔루션 중점 육성, 핵심 부품 기술 수준 추격 돌파, 대표 브랜드기업을 발굴, 국제경쟁력을 갖춘 로봇클러스터 조성 통해 시안 국의 핵심 로봇연구개발 제조기지로 발돋움하도록 함.

    - 제조, 물류, 생활공공 서비스의 스마트화 추진을 계기로 공업로봇, 서비스로봇기업을 로봇 사용기업들 매칭해, 로봇+타산업(제조, 물류, 의료, 공공 서비스 등)의 시범응용 프로젝트를 추진


2021까지 지표별 달성 목표

구분

목표

로봇 생산량

- 로봇 총 생산량 2,000대

- 공업로봇 1만 대, 서비스로봇 9,500대, 특종로봇 500대

- 공업용 로봇 밀도 1만 명당 150대

로봇 및 연관 산업 총 생산액

- 500억 위안(로봇 완성체 생산액 300억 위안 포함)

- 공업로봇 200억 위안, 서비스로봇 60억 위안, 특종로봇 40억 위안

- 로봇 핵심 부품 150억 위안

- 로봇제어 시스템 및 통합 응용 50억 위안

로봇기업

- 10억 위안 규모 10개사 육성, 기업 수 100개사 초과

연구개발 및 지재권 보유

- 기업영업수입의 5%를 연구개발 투입, 기업 발명특허량 100건

로봇응용

- 제조, 물류, 의료건강, 도시관리 등에 응용

- 디지털화 워크숍 100개, 스마트 팩토리 20개, 스마트 물류창고 시범기지 20개 건설

자료원: 시안시로봇산업발전규획(2018-2021), KOTRA 시안 무역관 자체 정리

 

□ 로봇 분야별 발전 추진방안


  ㅇ 공업용 로봇


구분

내용

추진 사항

- 공업용 로봇 완성체 연구 제작 및 생산을 가속화

- 공업용 로봇의 생산·제조·검측 분야 발전 추진

- 선두기업 양성, 산업체인망 완비, 산업클러스터 조성

- 공업설계 기술, 운동제어 기술, 정밀 매개변수 식별 기술, 시범학습 프로그래밍(教编程) 등 핵심 관건 기술을 발전시킴.

산업 응용

 

(스마트 생산)

- 6관절 로봇 완성체 양산 능력을 확대

- 전 과정 자율프로그래밍 지능공업로봇, 용접로봇, 적재로봇, 인간기계 협동로봇, 쌍견로봇의 생산 기술과 성능을 중점 제고

- 공업로봇과 스마트 제조장비와의 협동성 업무 연구를 강화

- 7축 이상 로봇 연구생산을 발전

- 로봇산업을 시안시 자동차/항공산업에 적극 응용

(스마트 물류)

- 운반로봇, 대형 AGV* 등 제품을 대폭 발전

  * AGV(Automatic Guided Vehicle): 무인운반차

(기타)

- 고급 장비 제조, 전자, 국방 수요 대응 진공(청결)로봇 연구생산 추진


  ㅇ 특종 로봇 

 

구분

내용

추진 사항

- 공공안전 관련 폭발물 수색로봇, 순찰로봇, 배관로봇, 소방구호로봇 중점 발전

- 기계시각, 지능 수색, 안면식별, 인간-기계 상호교류 등의 기술을 발전시킴.

- 제어기, 센서기 등 핵심 부품 품질을 제고

- 인간-가계 협동과 안전 기술, 생산품 혁신과 성능 최적화 설계 기술, 모듈화/표준화 시스템 구조 설계 기술, 영상위치 지정과 내비게이션 기술, 근육 전기신호 센서와 식별 기술 등 핵심 관건 기술을 발전시킴.

- 대량 적재 장기운항 시 고압 순찰 무인기 연구개발 및 산업화

산업 응용

- 시안시 군민융합산업 경쟁력을 활용, 선도기업 양성 및 규모화 생산

- 시안시 공안 빅데이터 플랫폼 연계, 경찰 및 공공 정보 공유


  ㅇ 서비스 로봇

   

구분

내용

추진 사항

- 스마트홈, 의료헬스케어, 비즈니스 관광 등 시장을 중심으로 서비스로봇 발전을 가속화

- 생체모방 기술, 인공대뇌 도면영상 식별 언어이해 해석, 심화 센서 신호처리 계산법, 운동기획 계산법 등 핵심 관건 기술을 발전

산업 응용

- (의료용) 수술로봇, 회복도우미 로봇, 의약배급로봇과 진단로봇을 중점 발전

- (가정용) 소비 수요에 대응해 청결, 요리, 교육, 체육, 오락, 안전예방 등 가정용 로봇 적극 도입

- 구매 자문, 여행 자문, 안내데스크로봇을 발전시킴.


  ㅇ 로봇 핵심 부품

    - 고성능 제어기, 서보모터(servo motor), 센서 등 관건 부품 핵심 기술을 발전 및 대량생산 실현

    - 센서, 말단집행기(endactuator) 등 부품의 품질, 안전성, 성능을 제고

    - 마이크로모터 등 핵심 부품 프로젝트 건설 추진,  신소재/신기술의 응용 확대와 로봇 본체 제조 능력을 제고

    - 고집적도 일체화 관절로봇, 로봇 손 등 선진 부품 제품 연구개발 생산


  ㅇ 로봇제어 시스템 통합 응용

    - 로봇완성체 시스템 통합 개발 설계 강화, 통합 서비스 솔루션 능력을 제고

    - 공업로봇 공정능력 보유한 시스템 통합기업 육성, 전문화 제어 시스템기업과 공업 소프트웨어기업 육성

    - 스마트 제조공정의 시스템 통합기업의 수행사례 경험을 조속 축적 서비스 능력 제고    

    - 자동화 생산라인 건설 프로젝트를 중점 추진, 시안시의 대기업(西汽, 鼓, 西, ZTE, BYD 등)의 맞춤형으로 디지털화 생산라인 연구개발 제작을 추진

  

  ㅇ 로봇+타산업 간 시범응용사업 전개


구분

내용

로봇+ 제조

- 생산 분야 스마트 제조 및 업그레이드

로봇+ 물류

- 화물 분배, 포장, 창고보관, 하역운반 등 작업에 무인화 및 스마트화 촉진

- 국가 지능화 창고물류 시범기지를 창건한다.

로봇+의료헬스

- 의료보건기관으로 하여금 수술로봇, 회복도우미로봇, 의약배분로봇, 진단로봇에 대한 응용 사용 확대 장려

로봇+라이프 서비

- 생활 서비스로봇 활용 확대

로봇+공공 서비스

- 특수 분야 및 환경에서의 특종로봇 사용률 제고

 

□ 통관사항

 

  ㅇ 상품명 및 HS Code


품목

HS code

통관사항

산업용 로봇

8479.50.10

관세율: 0% 부가가치세 16%

해관감독관리조건: 없음.

산업용 로봇 부품

8479.90.90

관세율: 0% 부가가치세 16%

해관감독관리조건 : 3

운송용 로봇

8486.40.31

관세율: 0% 부가가치세 16%

해관감독관리조건: 없음.

도색용 로봇

8424.89.20

관세율: 0% 부가가치세 16%

해관감독관리조건: 없음.

자료원: 중국해관


  ㅇ 해관감독관리조건 명칭 및 코드표


유형

관리조건 명칭

서명 발급 기구

3

겸용물항과기술수출허가증(两用物项和技术出口许可证)

상무부 (商部)

자료원: 海白叟

 

□ 수출입동향 


중국 산업용 로봇입 현황(HS Code 8479.50.10)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16년

2017년(12월)

수출액

수입액

수출액

수입액

-

총계

134,956

819,505

184,748

1,241,241

1

한국

25,154

56,470

48,846

61,004

2

홍콩

15,053

0

19,853

25

3

대만

12,677

14,566

19,331

22,822

4

미국

20,577

19,517

14,385

13,495

5

인도

7,031

0

11,693

0

6

이탈리아

7,382

7,518

8,752

6,984

7

독일

5,875

95,327

8,311

206,554

8

태국

4,470

0

7,255

134

9

말레이시아

3,145

1

5,758

0

10

베트남

2,651

33

5,560

0

자료원: KITA


중국 산업용 로봇 부품 수출입 현황(HS Code 8479.90.90)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16년

2017년(12월)

수출액

수입액

수출액

수입액

- 

총계

638,206

651,617

826,322

892,076

1

미국

107,235

80,102

160,048

98,702

2

일본

99,884

147,456

141,669

172,625

3

독일

51,436

164,514

72,970

276,013

4

베트남

41,808

524

50,019

658

5

홍콩

32,040

461

40,059

867

6

싱가포르

23,849

9,460

27,563

7,652

7

스웨덴

16,437

17,185

20,687

26,293

8

캐나다

9,545

5,240

19,852

7,325

9

말레이시아

13,916

14,872

18,146

20,360

10

한국

11,657

72,391

16,892

85,698

자료원: KITA


□ 로봇산업 관련 현지 전문가 의견


(1) 시안 현지 로봇기업 N사 관계자

- 중국에서 공업용 로봇이 응용되는 산업이 많은데, 그중에서 가장 많이 응용되는 분야가 컴퓨터, 통신 및 전자설비 제조업, 자동차 제조(자동차 부품 포함)산업임. 상기 분야는 중국 국내산 로봇의 매출액에서 비교적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2016년까지만 해도 산시성(陕西省) 공업용 로봇 시장규모가 10억 위안에 달했고 2020년까지 산시성 공업용 로봇 시장규모가 1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측


(2) 시안공업대학 A교수

- 시안로봇 연구개발이 일찍부터 시작됐고 기술능력도 농후하나, 전문인재 육성에서는 취약점을 갖고 있음. 양호한 과학연구기관과 우수한 기업도 있지만 양자 사이에는 더욱 결합과 소통이 필요함.


(3) 시안 변속기 제조업체 FAST 그룹 관계자

- FAST 그룹은 2013년부터 40여 대의 공업용 로봇을 도입한 대규모 생산라인 개조와 스마트화 실행 중

- 스마트화 생산라인 조성은 로봇 도입으로 끝나지 않고 기업 생산 실제 상황과 결합해야 함. 정밀도를 부단히 제고하고 로봇과 로봇 간 복잡한 공정 협업도 필요하고 지속적인 개조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져야 함.

   

□ 주요 시사점


  ㅇ 시안은 과학기술자원과 인력, 연구기관 등 인프라가 풍부해 로봇전문 연구개발기관 설립이 활발하고, 로봇산업이 응용될 제조, 물류, 의료 등 산업조건을 구비하고 있음.

 

  ㅇ 로봇 분야 완성체 제조  시스템 통합 솔루션을 중점 육성, 핵심 부품 기술 수준을 추격 돌파, 대표 브랜드기업을 발굴, 국제경쟁력을 갖춘 로봇클러스터 조성 실행해 시안 국의 중요 로봇연구개발 제조기지로 발돋움하도록 추진


  ㅇ 제조, 물류, 생활공공 서비스의 스마트화 추진을 통해 공업로봇, 서비스로봇기업 로봇 사용 고객기업들 매칭해, 로봇+산업(제조, 물류, 의료, 공공 서비스 등)의 융합 프로젝트 시범응용을 적극 추진 중


  ㅇ 중국은 세계 최대 로봇시장이며 산업조건이 형성 중인 서북지역시장 개척을 위해, 시안 현지 로봇산업 발전 동향을 주시하고, 제조, 물류, 의료 등 로봇과 타산업 융합 분야의 현지 시장 수요를 타깃으로 진출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함.


  ㅇ 진출 희망기업은 현지 기업 및 대학과 공동연구개발이나, 스마트 제조 및 로봇공정에서의 협력 수요 발굴 추진 필요 

 


자료원: 시안시로봇산업발전규획(2018-2021), 산시일보, 산시전매망, 중국해관, 한국무역협회(KITA), KOTRA 시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中 시안시 로봇산업 현황 및 발전 방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