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식품첨가물 시장동향
  • 트렌드
  • 러시아연방
  • 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
  • 2018-10-13
  • 출처 : KOTRA

- 러시아 내 친환경 식품첨가물에 대한 수요 증가 -

- 식품첨가물의 9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향후 수출 확대 가능성 있어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러시아 식품첨가물 시장규모는 2016 290만 달러에서 2017년 약 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5% 성장    

    - 산업분석 및 예측센터에 따르면 2016년 전 세계 식품원료 시장규모는 2970만 달러로 그중 러시아가 9~10%를 차지


  ㅇ 향신료와 복합첨가물의 60~70%를 수입하고 있으며, 러시아 내 생산하더라도 기본 원자재의 95%가량을 수입에 의존 

    - 대다수 러시아 제조업체는 원료를 생산하기보다는 수입한 재료를 혼합하는 데 집중하고 있음.


러시아 수입동향


  ㅇ 전체 식품첨가물 중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며 주로 유럽과 중국에서 수입함.

    -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인도와 필리핀산 원료를 수입 중이며, 한국산 수입 비중은 작은 편임.

    - 러시아 식품첨가물 시장에서는 향료 및 농화제, 유화제 그리고 복합첨가물의 수입 비중이 선두를 차지


러시아 합성유기착색제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3204)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금액

2017 점유율

증감률

2015

2016

2017

세계

84,312.40

99,580.30

111,547.80

100

12.02

1

인도

18,303.80

22,089.60

23,494.10

21.06

6.36

2

독일

13,701.80

18,923.10

19,804.90

17.75

4.66

3

중국

9,587.20

12,156.50

16,580.30

14.86

36.39

4

이탈리아

7,739.10

8,493.60

9,935.10

8.91

16.97

5

프랑스

2,538.70

3,348.20

4,511.70

4.04

34.75

6

스페인

3,805.20

3,469.60

3,670.70

3.29

5.8

7

미국

2,548.70

3,653.50

3,658.30

3.28

0.13

8

스위스

3,559.60

3,443.50

3,513.60

3.15

2.03

9

핀란드

2,723.80

3,488.20

3,059.80

2.74

-12.28

10

벨기에

2,770.50

2,361.90

2,904.40

2.6

22.97

16

한국

1,159.40

1,409.10

1,637.10

1.47

16.17

자료원: www.gtis.com


  ㅇ 식품첨가물 시장동향은 전 세계적인 추세와 마찬가지로 친환경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특징

    - GMO, 살충제 사용, 항생제 사용, E 지표 여부, 설탕 대체제 사용 여부, 글루탐산 나트륨, 향료첨가량 등의 요소가 소비자 판단에 영향을 미침.

    - 소위 'Clean label'(GMO, E 성분 불포함)이 부착된 제품바이오’, ‘유기농’, ‘GMO가 아닌친환경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

    - 러시아 ‘Foodnews Week’에 따르면, 성분 표시 라벨에 친환경 원료를 포함할 때 71%의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고자 했으며, 같은 상황에서 인공향료가 포함할 경우 잠재적 소비자의 46%가 감소한다고 함.

    - 이에 새로운 종류의 유기농첨가물을 찾고 있으나 러시아 시장은 대부분 첨가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식품첨가물은 러시아 농업 부문에 포함돼 있지 않아 국가 보조금을 받을 수 없어 새로운 제품 발굴에 어려움이 있음


식품첨가물 종류


  ㅇ 식품첨가물 종류는 매우 다양해 특정 상품군으로 분류, 분석하기 어려움.

    - 364종류의 식품첨가물 중 일부는 복합적인 성분으로로 인해 산업용 원료 종류에 속하는 것도 있음.

    - 식품첨가물 생산연합(SPPI, www.sppiunion.ru)Polina Semonova는 첨가물의 생산능력과 종류가 확대되고 있다고 언급했으며 오늘날 새로운 원료생산 R&D가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함. 


주요 식품첨가물별 HS Code

종류

HS Code

상품명

착색제

3203 00

식물성, 동물성 착색제와 이를 기본 재료로 한 조제품

합성유기착색제

3204

합성유기착색제와 이를 기본 재료로 한 조제품, 형광 증백제 또는 루미노퍼로 사용되는 합성유기생산품

식품향료

3302 10

방향성(芳香性) 물질의 혼합물과 이를 기본 재료로 한 식품 산업용, 음료 산업용 혼합물(알코올 용액 포함)

보존제

2916 19

불포화비환식모노카르복시산, 환식모노카르복시산과 이들의 무수물(無水物), 할로겐화물, 과산화물, 과산화산과 이들의 유도체

자료원: www.tks.ru


  ㅇ 식품첨가물의 주요 수요처는 식료품 가공산업이지만, 종류에 따라서는 다양한 민간 분야에서도 소비됨.

    - 일반적인 육류가공, 제빵제과, 유제품, 지방 및 기름, 비알콜성 음료생산이 주요 수요처

    - 식품가공 이외에도 제약, 화장품, 건설 및 도색, 광택, 화학, 임업 및 제지, 석유생산 및 정유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음.


유통구조


  식품첨가물의 경우 국내외 생산자가 모두 존재하며 식품생산업체에 직접 공급하거나 도매업체를 통해 공급

    - 해외 생산자의 경우 대부분 국내 수입업체가 해당 식품원료를 수입한 후 도매업자에게 공급


관세율 및 인증제도


  ㅇ 러시아 내 대부분의 식품원료 수입관세율은 5%지만, 일부 품목에 한해 비과세 적용

    - 별도의 조세특혜 제도는 없음.


  ㅇ 수출 시 소비자 보호 및 복지에 대한 연방정부 서비스’(Federal Service for the Oversight of Consumer Protection and Welfare)에서 발급하는 인체에 무해함을 증명하기 위한 국가등록인증서를 받아야 함.


시사점


  ㅇ Ingredienty. Razvitie사의 전문기술자 Alla Dyachkova의하면 러시아 내에서 사용하는 식품첨가물 종류증가하고 있지는 않지만, 세계 트렌드와 마찬가지로 기능성제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혼합제품에 대한 수요 공급이 증가하고 있음.

    - 일례로 특수식단을 필요로 하는 사람 대상 즉석식품 분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러시아 국내는 대부분의 식품첨가직접 생산하지 않고 대부분의 기술을 수입하고 있어 자체 생산 관련 개발은 느리게 진행 중임.


  ㅇ 보편적인 식품첨가물보다는 '유기농', '바이오' 등 최근의 식품소비동향에 따른 첨가물 시장에 가능성이 있음.

    - 'Clean label'의 기준에 충족할 수 있는 제품의 현지 수출 가능성이 높음.

    - 러시아 식품원료 수입국 한국 비중은 낮지만 최근 한국산 첨가물 수입에 관심을 보이는 업체도 있으며, 러시아가 식품첨가 90%수입하고 있다는 점에 미루어 향후 다양한 수출 가능성이 있음.

 


자료원: meat-expert.ru, foodnewsweek.ru, portal.eaeunion.org, www.gost-r.info, ingredienty-razvitie.ru, meat-expert.ru 등 KOTRA 노보시비르스크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식품첨가물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