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러시아 물류산업 현황 및 우리 기업 진출 동향
  • 트렌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18-08-23
  • 출처 : KOTRA

- 2016년 시장규모 52000억 톤으로 1.8% 상승세 -

- 2017OSJD 가입에 따른 철도 물류 등에 대한 우리 기업 진출 증가 예상 -

 

 

 

자료원: yandex.ru


러시아 물류산업 개요

 

  ㅇ 러시아 루블화의 가치절하로 인한 수출의 소폭 증가는 오히려 러시아 물류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 2017년 석탄(+9%, 18000만 톤), 금속광석(+14%, 2000만 톤) 및 곡물(+30%, 3300만 톤) 수출과 물동량 증가

 

  ㅇ 러시아 물류산업 전체의 80%는 실제 운송을 담당하는 운송업이 차지하고 있고, 운송 대행업과 창고 보관업이 각각 6% 수준

    - 최근 러시아 전자상거래 산업은 최근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물류 인프라 구축 및 배송 관련 산업도 급격히 성장하는 추세

  

  ㅇ 러시아는 EAEU의 중심 국가로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지정학적 위치에 있어 물류산업의 중요성은 지속 증가

    - EAEU 출범으로 연합국에서 생산된 제품의 이동이 자유로워졌다는 점이 러시아 물류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

    - 한국에서 모스크바로 수입되는 상품은 주로 해상, 철도, 항공을 등의 복합적 물류를 통해 이루어짐.

 

철도 물류 및 투자 동향

 

  ㅇ 철도는 러시아 제1 운송 수단으로 전체 러시아 화물의 80%를 책임짐.

  - 러시아 철도는 보스토치니항에서 시베리아를 관통해 상트페테르부르크까지 연결하는 9228km의 시베리아 횡단철도(TSR)를 중심으로 함.

  - 이외에도 몽골과 러시아 이르쿠츠크를 연결하는 몽골 횡단철도(TMGR), 중국 상하이 등과 모스크바를 연결하는 중국 횡단철도(TCR) 등이 있음.

 

  ㅇ 2017년 러시아 철도 운송량은 12억6600만 톤으로 2016년 동기 대비 3.2% 증가

    - 철도 물류의 주요 성장 요인은 석탄 운송량이 9% 증가한 것으로 그 규모가 3억6200만 톤에 달함.

    - 화학 및 미네랄 비료와 곡물의 운송량 또한 각각 7%, 15%씩 증가하며 철도 운송량 증가에 영향

 

  ㅇ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석탄을 공급하는 서시베리아(전년 대비 10% 증가), 크라스노야르스크(전년 대비 11% 증가), 바이칼(전년 대비 10% 증가) 철도에서 석탄 적재량 증가

    - 러시아의 주요 석탄 수출국은 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 집중

 

러시아 주요 철도 노선 

자료원: 에코비스

 

2015~2017년 러시아 철도 운송량

(단위: 백만 톤)

자료원: Rosstat

 

러시아 석탄 상위 5개국 수입규모

(단위: 백만 톤)

자료원: 러시아 연방 관세청

 

  ㅇ 2018년 6월 7일 한국이 국제철도협력기구(OSJD)에 정회원으로 가입하면서 유라시아 대륙 철도시대에 대한 가능성 증가

    - 그동안 북한의 반대로 OSJD 가입이 무산됐으나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한국 유라시아 철도 진출이 가능하게 됨.

 

  ㅇ 2018년 3월 CJ 대한통운은 러시아 물류기업 FESCO사와 전략적 협업 및 공동사업 개발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하며 북방 물류 사업 협력 약속

    - FESCO사는 블라디보스톡 항만 최대 주주이며 TSR(시베리아 횡단철도) 등의 내륙철도 운송도 진행하는 러시아 10대 화물기차 운용사

    - 협약을 통해 FESCO사는 자사 운송 인프라를 활용해 CJ 대한통운이 TSR 운송산업에 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 약속

 

□ 해양 물류 및 투자 동향

 

  ㅇ 러시아의 대표적 항구로는 20만8793톤의 물동량을 가진 노보시비르스크 항구와 10만5252톤을 가진 상트페테르부르크 항구가 대표적

    - 러시아는 세계 4위의 해안선을 갖고 있으나 3분의 2는 북극해로 1년 중 3~4개월만 사용이 가능해 해양 물류에 불리한 자연환경을 지님.

    - 한국과 가장 가까운 항구는 극동의 보스토치니 항구로 연간 6만4303톤의 물동량을 갖고 있음.

 

  ㅇ ASOP(해상무역항만협회)에 따르면 2017년 러시아 항만 컨테이너 매출 증가율은 15.5%

    - 462 TEU에 달하는 컨테이너의 총 운송량 중 80%는 발트해 및 극동 분지 항구가 점유

   

러시아 해양 물류규모

(단위: 천 TEU)

 

자료원: 해상상업항구협회

 

  ㅇ 2017년 현대중공업은 즈베즈다 조선소와 기술지원협약을 체결하며 즈베즈다 조선소의 현대화 지원

    - 현대 측은 러시아 국영 석유회사 로스네프트와 협력해 극동러 지역에 위치한 즈베즈다 조선소에 투자해 향후 500척 이상 건조할 것이라 예상

 

□ 자동차 물류

 

  2017년 러시아 자동차 운송 물동량은 전년 대비 0.3% 증가한 544500만 톤을 달성했으며, 2017년 기준 도로를 통한 화물 운송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2017년 말 자동차를 이용한 상업 화물 운송량은 1328억 톤으로 2016년 대비 5.8% 상승했으며, 러시아 상업 도로 운송시장의 가치 또한 14.6% 상승해 7332억 루블을 기록

 

  러시아 자동차 물류 및 도로 부문에 있어 소매체인 확대와 인터넷 상거래 발전이 발전 요소로 작용

    - Rosstat에 따르면 2016년 러시아 내 슈퍼마켓, 하이퍼마켓과 같은 소매점포 수가 많이 증가해 도로 운송의 매출량이 급증

    - 2017년 소매그룹인 X5와 Magnit사가 러시아 동쪽으로 규모를 확장, 우랄 지역과 시베리아 연방 지역에까지 개장해 자동차 물류는 더욱 확대된 것으로 파악

 

  2018 러시아 교통부가 계획하고 있는 중국과의 정부 간 협정과 러시아-몽골-중국 간 자동차 전용 도로 개통은 무역 관계를 확대하고 운송비 분담금을 줄이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

 

□ 항공 물류

 

  2017년 세계 화물 항공운송 시장규모가 전체 화물 운송분야의 매출량 중 9%를 차지하며 2010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

    - 항공 운송 증가율은 세계무역 증가율(4.6%)을 넘어섰고, 항공 화물 수요 증가율은 2017 2.5%를 기록해 자동차 상업 화물 운송사의 수요 증가율보다 3배 높음.

    - 2017 12월 수송기의 수익은 작년 동기 대비 23.5% 증가

    - 주요 성장요소는 항공 화물에서 각각 14.7%, 12.1%를 차지하는 취약화물과 제약품의 운송비 인상

 

  ㅇ 2017년 항공운송 물동량은 11억3080만 톤으로 2016년 동기 대비 15.4% 증가했으며 국내외 물동량 또한 상승세

    - 통상 항공 물류산업 내 가장 큰 규모 5개 중 4개를 점유하고 있는 만큼 여객사가 항공 물류산업의 대부분을 차지

 

러시아 연방 항공 운송의 화물 운송량 및 구조

(단위: 백만 톤)

자료원: Rosaviation

 

화물 운송 대형 항공사 점유율(단위: %)

자료원: Rosaviation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인터뷰

 

  ㅇ 러시아 연방 교통부 직원과의 인터뷰 결과, 러시아 물류산업에 있어 인프라의 현대화를 가장 중요한 과제로 선정

    - 낙후된 물류 인프라와 오래전부터 사용된 시스템으로 인해 물류산업 발전이 지체되고 있음. 하지만 넓은 국토로 인해 인프라 유지, 보수하는 것에 지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됨.

    - 러시아 정부는 '운송시스템 개발' 프로그램 및 교통망 발전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음.

 

  ㅇ 러시아 진출기업 C사 담당자와 인터뷰 결과, 러시아 철도 운송을 통한 러시아, 유럽 지역 진출 긍정적 검토

    - 북 관계 개선으로 남북종단철도(TKR)에 대한 가능성이 증가했으며 TKR이 실현될 경우 부산에서 유럽까지 철도를 통해 물류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남북종단철도가 실현되면 물류비용의 절감이 크게 예상되며 물동량이 큰 B2B산업 분야에서 큰 혜택을 볼 수 있을 것

    - 이외에도 문화 교류 증가, 관광산업 발전 등의 여러 부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함. 

 

□ 시사점

 

  ㅇ 2018년 6월 7일 국제 철도협력기구(OSJD) 가입으로 한반도 종단철도 개설을 통한 유라시아 대륙철도 진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한-러 물류 증가 예상

    - 우리나라가 OSJD 정회원으로 가입함에 따라 중국 횡단철도(TCR)와 시베리아 횡단철도(TSR)를 포함해 28만㎞에 달하는 국제노선 운영에 참여 가능

 

  ㅇ 러시아는 137개의 세계경제포럼(WEF) 참가국 중 물류 인프라의 질적 평가에서 74, 도로 품질 평가에서 114위를 차지해 미진한 모습을 보였으나 물류 인프라의 지속 개선이 예상됨.

    - 물류 인프라 부족은 러시아 경제의 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 우리나라의 신북방정책, 러시아의 극동개발정책 등이 맞물려 양국 간 협의를 통해 물류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로 발전 가능

 

  ㅇ 러시아 자동차 물류 인프라 시장의 발전에 있어 자율 운송 도입 관련 인프라 투자가 우리 기업에 효율적일 것으로 보임.

    - 러시아 도로 화물 운송시장은 낙후된 도로 기반 시설 및 국가의 자금 조달 부족으로 인해 유지, 보수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투자 기회가 클 것으로 예상



자료원: Rosstat, 러시아 연방 관세청, 러시아 연방 교통부, 해상 상업 항구협회, Rosaviation 등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물류산업 현황 및 우리 기업 진출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