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베이징, 디지털경제 1+3 정책 패키지 발표
  • 투자진출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0-10-12
  • 출처 : KOTRA

- 2022년까지 디지털경제 비중 55%로 확대 -

- 디지털 인프라 구축, 디지털무역 발전 가속화 전망 -

 

 

 

베이징 디지털경제 1+3 정책 패키지

 

최근 베이징의 디지털경제 발전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지난 97일 국무원이 베이징시의 <서비스업 개방확대 시범구 사업방안>을 승인한데 이어 <디지털경제혁신발전행동요강(2020~2022)>, <디지털무역시험구 구축 실시방안>, <국제빅데이터거래소 설립 관련 실시방안> , 이른바 ‘베이징 디지털경제 1+3’정책패키지를 쏟아냈다. 디지털경제가 포스트코로나시대의 성장동력으로 부상하면서 베이징은 중국 디지털경제의 선도지역으로 도약하려는 의지를 드러냈다.

 

베이징시는 오는 2022년까지 디지털경제 규모를 지역GDP55%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이 목표를 실현하는 관건은 ‘디지털무역시범구’사업에 달렸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디지털무역은 인터넷 정보통신기술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국가간 교역활동을 의미하는데, 전자상거래, 디지털자산, 국경간 정보이전 등이 포함된다.

 

베이징시 디지털무역시범지구는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중관춘 소프트웨어파크(中關村軟件園) 국가디지털서비스 수출기지, 차오양 진잔(朝陽金盞) 국제협력서비스존, 따싱 공항 자유무역지대 등을 기반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3대 핵심지역 강점 및 추진 계획

구분

강점

추진 계획

중관촌

- 소프트웨어 정보 서비스업 발전 수준 高

- 바이두 등 726개 하이테크 기업 포진

- 중관춘내 하이테크기업 매출 6.6조 위안, 생산액 1조 위안 상회(베이징 GDP29.4%)

- 디지털인증서, 전자서명 등 국제상호인정 시스템 구축

- 국경간 정보 이전 시범사업 추진

- 국제정보산업 및 디지털무역항 구축

챠오양 진잔

- 대사관 밀집 지역

- 디지털경제 국제협력 지대 건설

따싱공항

- 징진지(베이징/톈진/허베이)경제권의 경제물류허브

- 세계 최대 공항

- 디지털무역 종합 서비스 플랫폼 구축

자료: KOTRA 베이징무역관 정리

 

베이징 디지털경제 기반 및 현황

 

베이징시는 중국의 디지털경제·무역 핵심 거점으로 도약하는 경제, 산업기반을 갖추고 있다.

베이징은 서비스산업 비중이 83.5%에 달할 정도로 서비스업 주도형 경제구도가 뚜렷하다. 금융, 정보서비스업, 과학기술 서비스의 지역경제성장 기여도는 50%를 웃돈다.

 

<베이징()과 중국() 경제구조 비교>

 

자료: 베이징시통계국, 국가통계국

 

2015년 베이징은 중국 서비스업 개방 확대 첫 시범도시로 지정됐다. <외상투자네거티브리스트>보다 외자진입 문턱이 낮은 “베이징 서비스 개방도 확대 방안”을 통해 서비스 위주의 경제구도를 굳히고 서비스업 개방 테스트 베드로 활약해왔다. 2019년 베이징의 서비스무역총액이 1조 위안을 웃돈다.

 

전문가들은 베이징의 서비스업 개방 6대 중점 분야를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과학기술, 인터넷정보, 문화교육, 금융, 비즈니스 및 관광, 건강의료 등 6대 분야의 개방 확대는 베이징의 디지털무역 발전 촉진, 디지털경제 전환의 강력한 추진력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중국의 실리콘밸리’인 중관춘(中關村)을 중심으로 IT와 전자산업이 발달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4차산업기술 수준도 전국 평균을 앞서고 있다. 2019년 기준 하이테크 산업이 베이징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4%로 나타났다. 중관춘내 하이테크 기업의 매출 총액은 6.6조 위안, 생산액은 1조 위안을 넘어섰다.


2019년 베이징 GDP 35371억 위안(약 한화 615조 원)에서 디지털 경제비중이 50%를 상회하며 중국 전체 1위를 기록했다. 베이징의 디지털 경제 규모는 지난해 이미 1.7조 위안, 한화 300조 원을 넘어선 셈이다.

 

성()별 디지털경제


 

자료: 중국정보통신연구원

 

디지털경제수준을 가늠하는 디지털 산업화(數字産業化) 분야 성장과 산업 디지털화(産業數字化) 규모 확대 방면에서도 베이징은 전국 선두를 달리고 있다.

* 디지털산업화는 정자통신서비스, 전자정보제조업, 소프웨어산업, 인터넷산업 등 디지털업종의 산업화 수준, 산업 디지털화는 생산시설/라인의 디지털화 수준을 의미함

 

2019년 중국의 디지털 산업화 증가치는 7.1조 위안, 이중 베이징의 디지털 산업화 성장 규모는 6천억 위안을 돌파하며 광둥, 장쑤에 이어 전국 3위에 랭킹했다. 지역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로 전국 평균치(7.2%)2배를 넘어선 전국 1위였다.

 

성()별 디지털 산업화 성장 규모

 

자료: 중국정보통신연구원


베이징의 산업 디지털화 증가치는 20191조 위안을 돌파했으며 지역GDP에서의 비중은 30%를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산업 디지털화는 생산시설/라인의 디지털화 수준을 의미하는 데 베이징은 80% 이상이 서비스업인 점을 감안하면 산업 디지털화 수준이 상당히 높은 편이라고 지적한다.

 

성()별 산업 디지털화 규모 확대상황

 

자료: 중국정보통신연구원

 

전망 및 시사점

 

베이징시정부는 세부적인 디지털경제 육성책 제정, 시행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중국 경제발달도시들은 미래 통신과 글로벌 디지털 생태계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폭넓은 지원정책을 과감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주요 도시간 테크기업 유치 경쟁이 날로 심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앙정부가 디지털 경제 전환을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으로 지정했기 때문에 상하이판, 선전판 등 지역별 디지털경제정책 패키지가 쏟아져 나올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기업들은 각 지역의 경제, 산업 및 디지털경제 발전 상황, 관련 정책을 면밀히 분석한 후 진출지역을 선정하고 진출전략을 제정, 조정해야 한다.

 

코로나19로 디지털경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우리기업들은 관련 분야 기술연구 및 개발사업 착수에 속도를 내야 한다. 현지 바이어와 투자가들은 “중국의 디지털경제 발전 속도는 세계 선두자리를 차지할 정도이며 시장경쟁 또한 치열해 월등한 기술력과 혁신력을 갖춘 기업만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베이징과 같은 선도지역에서는 시장성과 미래성을 모두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료: 21세기경제보도(21世紀經濟報道), 신징보(新京報), 중국정보통신연구원(中國信息通信硏究院) KOTRA 베이징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이징, 디지털경제 1+3 정책 패키지 발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