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중국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17-08-08
  • 출처 : KOTRA

- 8 연속 생산 세계 1 달성, 자동차 생산 대국으로 거듭나 -

- 핵심 부품 첨단기술제품은 여전히 수입에 의존 -

- 신에너지 자동차 육성으로 해당 분야 기술성장 수요도 많이 나올 -

 


 

EMB000017040cf5

자료원: 바이두

 

 

상품 기본정보 관세율

 

제품구분

기본 정보

자동차 부분품과 부속품

- HS Code 8708(대분류): Parts and accessories of the motor vehicles of headings

 

  ㅇ 관세율은 아래와 같음.


HS Code

품목명

기본세율(%)

FTA세율(%)

양허유형

8708.10.00

Bumpers and parts thereof

10

8.5

20

8708.21.00

Safety seat belts

10

7.9

15

8708.29.30

Windowpane raiser

10

7.9

15

8708.29.51

Side panels

10

8.5

20

8708.29.52

Car doors

10

8.5

20

8708.29.53

Engine hood

10

8.5

20

8708.30.10

Mounted brake linings

10

7

10

8708.30.29

other

10

9.4

PR-10

8708.30.91

Of the vehicles of heading No.87.01

6

4.7

15

8708.30.92

Of the vehicles of subheading No.8702.1091 or 8702.9010

10

8.5

20

8708.40.91

Automatic transmission for saloon cars and parts thereof

10

8.8

PR-20

8708.91.10

Radiator

10

7.9

15

8708.91.20

Oil Coolor

10

7.9

15

8708.92.00

Silencers (mufflers) and exhaust pipes; parts thereof

10

10

E

8708.95.00

Safety airbags with inflater system; parts thereof

10

9.4

PR-10

8708.99.51

Frames

10

7.9

15

8708.99.92

Driving shafts

10

7.9

15

: 협정세율은 2017 기준 세율

자료원: 관세청

 

관세율 양허유형


양허 유형

내용

15

협정 발효일을 시작으로 15단계에 걸쳐 매년 균등 철폐 (이행 15년차 1 1 무관세)

20

협정 발효일을 시작으로 20단계에 걸쳐 매년 균등 철폐 (이행 20년차 1 1 무관세)

PR-10

협정 발효일을 시작으로 기준세율의 10% 5단계에 걸쳐 매년 균등 인하(이행 5년차 1 1일부터 기준세율의 90% 유지)

PR-20

협정 발효일을 시작으로 기준세율의 20% 5단계에 걸쳐 매년 균등 인하(이행 5년차 1 1일부터 기준세율의 80% 유지)

E

기준관세율 유지

 

 

선정 사유

 

  ㅇ 중국은 자동차 생산 판매대국으로 시장잠재력이 매우 시장임.

    - 2016 기준 중국의 자동차 보유량은 2억9000만 , 승용차는 1억9400만 대임. 그러나 1000명당 보유량은 140대로 글로벌 수준인 170대와는 다소 격차가 있음.

    - 급격하게 커지는 자동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중국을 생산기지로 하고, 신차 최초 출시국가를 중국으로 하는 중국의 자동차 시장은 점점 위상을 더해가고 있음.

    - 특히 전 세계 자동차부품 매출액 기준 2011 중국은 24.2% 비중을 차지했으나, 2015년에는 34.8%까지 급증하는 자동차 산업 분야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줌.

    - 또한 중국 정부는 신에너지 자동차를 정책적으로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면서 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있어,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분야도 향후 빠른 발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함.

 

시장규모 동향

 

  ㅇ 2016 중국 자동차 생산량 판매량은 8 연속 세계 1위를 기록함.

    - 생산량은 2811만9000, 판매량은 2802만8000대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14.5%, 13.7% 증가. 각각 11.2%p, 9.0.%p 상승함

    - 2016 중국 자동차부품 시장규모는 5542 달러에 달해 글로벌 시장의 36.8% 차지하고, 2017년에는 38.8% 차지할 것으로 예측함.

    - 2011~2015 중국 자동차부품 시장규모는 CAGR 12.4% 성장했으며, 2015~2017년에는 7.6% 달해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함.

    - 2015 산업 전체 매출액은 3조2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대비 10% 증가했으며, 2011~2015 연평균 매출 증가율은 18.6% 자동차 산업의 증가율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함.

 

2011~2017 자동차부품 시장 규모

EMB000017040cf7

: 세계는 중국 제외

자료원: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2011~2015 자동차부품 시장 매출액

EMB000017040cf8

자료원: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ㅇ 중국 자동차부품 기업은 10 개가 넘으며, 완성차에 따라 지역별로 밀집해 분포하고 있음.

    - 상하이를 중심으로 장삼각(长三角) 구역, 우한을 중심으로 중부 구역 완성차 그룹에 따라 부품생산기업들이 분포한 것으로 나타남.

    - 중국 부품생산기업 10 소형은 62%, 중형은 25% 중소형기업의 비중이 높고 흩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남.  생산 2000 위안을 넘는 대형기업은 1만3000개로 집계됨.

    - 2015 6 기준 외자기업은 2991개이며 자산총액은 9972억9100만 위안으로, 전체 산업 자산총액의 43.46% 차지. 외자기업의 상대적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중국 자동차 부품 수입은 다소 안정된 상태로 나타남.

    - 자동차부품 수입액은 2011 301 달러에서 2016 355 달러로 CAGR 1.1% 증가하며, 부품시장의 성장 대비 다소 안정적인 양상을 보임.

    - 6개의 시스템, 41 하위시스템, 100 종류의 부품 등을 생산하고 있으나 엔진시스템, 에너지전용부품, 자동변속기 첨단부품 고이윤 제품은 주로 수입에 의존함.

    - 한국 제품 수입은 2016 기준 43억22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0.4% 증가, 수입액의 17% 차지하는 최근 지속적인 증가세를 유지하며 3 수입국 지위를 유지함.

    - 그러나 2017 1~5 기간 전년동기대비 21.1% 하락하며 비중이 4.4%p 감소했으며, 감소 추세가 당분간은 이어질 것으로 예측

 

중국의 자동차부품 수입국가 Top 10(HS Code 8708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

2014

2015

2016

2017(1~5)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수입액

증가율



27,380

13.3

23,376

-14.6

25,451

8.9

10,673

11.1

1

독일

10,073

16.9

8,084

-19.8

7,819

-3.3

3,392

5.6

2

일본

7,205

-0.6

5,352

-25.7

6,109

14.1

2,769

36.3

3

한국

3,886

16.6

3,914

0.7

4,322

10.4

1,344

-21.1

4

미국

1,358

23.7

1,356

-0.1

1,697

25.1

705

3.8

5

멕시코

523

88.0

571

9.2

733

28.4

254

-7.8

6

프랑스

860

30.4

585

-32.0

644

10.0

225

4.8

7

태국

173

43.6

281

62.4

324

15.0

194

130.7

8

체코

337

47.8

318

-5.6

381

19.8

175

13.2

9

벨기에

129

-37.9

149

16.0

216

44.9

140

80.8

10

폴란드

214

90.6

212

-0.6

261

22.9

126

38.7

자료원: 무역협회

 

중국의한국 수입액

EMB000017040cf9

자료원: 무역협회

 

경쟁동향 주요 업체

 

  ㅇ 자동차부품 시장은 일부 소수 기업이 시장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대다수의 부품생산기업은 생산규모와 기술력, 브랜드 인지도 한계로 인해 가격과 원가를 통한 OEM 애프터마켓 시장에서 경쟁을 벌이며 피동적인 위치에 처해 있음.

    - 가솔린과 디젤엔진은 일본의 미쓰비시, 이스즈에 의해 독점당하다시피 해 중국의 자체 브랜드는 브랜드 제품을 사용하고, 중형 디젤은 미국 커민스가 독보적 지위를 유지하며 위퉁(宇通), 진룽() 산이중공(三一重工) 공정기계기업도 해당엔진을 사용함.

    - 이는 아직 중국의 기술력이 다소 부족함을 의미하며, 자체 브랜드라고 하더라도 주요 핵심 하이테크 부품은 수입제품을 사용하는 것과 상통하는 부분임.

    - 이에 다수 기업은 M&A 통해 기술을 도입하고 있음. 중국 화공그룹은 피넬리, 둥베이공업그룹은 델파이를 인수해 새로운 기술과 시스템을 도입함.

 

  ㅇ 2016 기준, 중국 자동차부품 10 기업은 주로 전기전자, 엔진시스템, 내외 장식, 제어시스템 주행시스템 분야에 집중함.

    - 전기전자, 엔진시스템 내외 장식 영역에서 중국기업들은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중국의 부품산업 기술발전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임.

 

2016 중국 자동차부품 기업 영업이익 순위

연번

회사명

소재지

주요 품목

영업이익( 위안)

홈페이지

1

HUAYU Automotive

Systems Co., Ltd(华域汽车)

EMB000017040cfa

상하이

전기전자 2.74%

내외 장식 90.80%

1,243

www.huayu-auto.com

2

Weichai Holding Group

Co., Ltd.(潍柴集团)

EMB000017040cfb

산둥

엔진시스템

45.36%

932

www.weichai.com

3

China Shipbuilding

Industry Group Power

Co., Ltd.(国动力) 

EMB000017040cfc

허베이

엔진시스템

44.06%

205

www.china-csicpower.com.cn

4

Ningbo Joyson

Electronic Corp.(胜电子)

EMB000017040cfd

저장

전기전자 82.46%

내외 장식 13.39%

183

www.joyson.cn

5

Fuyao Glass Industry

Group Co., Ltd.(福耀集团)

EMB000017040cfe

푸젠

내외 장식

100.00%

166

www.fuyaogroup.com

6

Ningbo Huaxiang

Electronic Co., Ltd.(宁波翔)

EMB000017040cff

저장

전기전자 7.49%

내외 장식 88.06%

125

www.nbhx.com.cn

7

Changchun Faway

Automobile Components 

Co., Ltd.(一汽富维)

EMB000017040d00

지린

주행시스템 62.03%

내외 장식 31.44%

118

www.fawfw.com.cn

8

Wanxiang Qianchao

Co., Ltd.(万向潮)

EMB000017040d01

저장

제동시스템

88.82%

102

www.wxqc.com.cn

9

Zhejiang Wanfeng

Auto Wheels Co.,

Ltd.(万丰威)

EMB000017040d02

저장

주행시스템

100.00%

91

www.wfaw.com.cn

10

Lingyun Industrial

Co., Ltd.(凌云股份)

EMB000017040d03

허베이

엔진시스템

82.74%

87

www.lingyun.com.cn

  

전망

 

  ㅇ 중국의 자동차 브랜드 경쟁력 강화 수입브랜드의 현지화 전략 증가

    - 수입브랜드의 상대적 경쟁력 약화로 품질 제고 원가절감 비교우위의 확보가 매우 중요해졌으며, 이에 현지화 전략을 택하는 경우가 증가함.

    - 외국부품기업의 자동차 1위시장 확보 경쟁을 위해 진출이 증가하면서 중국 내수시장의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부품의 자급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

    - 동시에 우수한 성능을 지닌 부품을 해외 글로벌 시장에서 도입하며 품질 제고 기술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음.

 

  ㅇ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감에 대한 인식 증가 기술발전에 따라 신에너지 자동차 부품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

    - 2015년에는 37만9000 생산으로 전년 동기대비 4 증가했으며, 2016년에는 51만7000 생산 50만7000 판매로 전년대비 각각 51.7%, 53% 증가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음.

    - 이에 힘입어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는 미국을 제치고 시장 규모 1 달성했으며, 2016 기준 전 세계 전기자동차 판매량 10 기업 중국기업이 4 포함됨.

    - 중국 공신부는 '신에너지 자동차 보급응용 추천모델 목록', '2016~2020 신에너지 자동차 재정지원정책' 등을 발표하며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발전의지를 보이 만큼 향후 빠른 발전을 기대할 있을

    - 정부 , 특히 2017 상하이 모터쇼에 참가했던 기업은 미래의 먹거리를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에 있다고 판단. 신에너지 자동차 개발과 모델 출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어 향후 발전방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음.

 


자료원: 중국공신부, 중국자동차공업협회, 중국산업정보망, 중상정보망, 시나재경, 왕이신문, 무역협회, 한국 관세청,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중국 자동차부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