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3년 카자흐스탄 소비재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김재우
  • 2023-12-20
  • 출처 : KOTRA

카자흐스탄 소비자 지출의 49.4%는 식품에 소비

온라인 판매 시장의 가파른 상승세

 산업 개요

 

20232분기 카자흐스탄의 경제성장률은 지난 10년 중 가장 높은 5%라는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석유 생산량 증가, 예산 지출 증가, 러시아로의 재수출, 소비자 대출의 높은 상승이 요인이었다. 하지만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상승은 지속되고 있다.

 

Euromonitor InternationalPicodi.com의 발표에 의하면 카자흐스탄 소비자 지출의 거의 절반(49.4%)을 식품 소비에 지출한다. 카자흐스탄 국민의 식품 지출 순위는 세계 110개국 중 104위에 해당한다. 이는 미국(6.7%), 유럽(9~19%) 등 선진국과 비교하면 그 비중이 매우 높은 편이다. 식료품 비용으로 매달 213달러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금액은 영국(202달러)이나 스페인(190달러) 보다 많지 않지만, 선진국에 비해 가계 예산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체 예산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식품 인플레이션의 증가로 최근 몇 년 동안 가장 높은 수준인 202211~1월 식품 가격 상승률이 24.1%~25.7%에 이르고, 2월에는 26.2%가 상승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식품 비용 상승으로 20231분기에는 비식료품 부문 지출 비중이 26.3%에서 24.4%로 줄었다고 발표했다. 의류 및 신발, 가구, 가정용품, 수리 자재 구매 감소로 이어졌다. 술과 담배 지출도 1% 감소했다.


그에 반해 외식비용은 1.7%에서 2.2%로 소폭 상승을 보였다. 2022년 초 평균 레스토랑, 패스트푸드 등 외식비는 분기당 34000텡게에서 53000텡게로 증가했다.

 

유통 동향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지난 4년 동안 카자흐스탄에서는 6,700개의 전통 상점이 문을 닫고 1,200개의 상점만 영업을 지속하고 있다고 소비자 정보 회사인 NielsenIQ에서 발표했다. 전통 상점은 카운터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소매점이다. 현재 약 5,500개의 현대식 소매점이 식품, 비식품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창출하며 전통적인 카자흐스탄의 판매 시장을 변화시켰다. 또한 면적이 300 제곱미터가 넘는 대형 슈퍼마켓 체인이 빠르게 성장하였다.

 

카자흐스탄의 대형 슈퍼마켓인 Magnum20079월 알마티에 첫 매장을 개점한 이래로 꾸준한 성장을 이어오고 있다. 2019년 말에는 9개 도시 약 70개의 매장을 운영했으며, 20225월에는 12개 도시에서 200개의 매장을 열었고, 2023234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확장을 통해 시장 입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20208월에는 자체 브랜드 제품 판매를 시작하며 가격 경쟁력과 매출 안정을 강화해가고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을 오픈하여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에는 해외 소매 업체들도 진출해 있는데, 2019년 카자흐스탄에 진출한 러시아 기업인 Fixprice는 저렴한 가격을 마케팅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20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20221월 네덜란드의 SPAR 슈퍼마켓이 알마티에 처음 문을 열었다.

 

<카자흐스탄 진출 해외 소매 업체 현황>

국가

업체명

진출 기간

카자흐스탄 내 매장 수

형태

러시아

Pyaterochka

2004~2007

33

슈퍼마켓

튀르키예

Macro center

2013~2018

1

슈퍼마켓

프랑스

Carrefour

2016~2017

1

대형 슈퍼마켓

러시아

Inmart

2017~현재

44

슈퍼마켓

러시아

Fixprice

2019~현재

212

상점

러시아

Dobrotsen

2021~현재

29

상점

러시아

svetofor

2017~현재

36

상점

독일

Metro

2009~현재

6

쇼핑 센터

튀르키예

Ramstore

1999~2020

18

슈퍼마켓

[자료: Kursiv.kz]

 

온라인 판매 시장

 

Euromonitor International2년 후 온라인 판매 시장이 전체 소매 시장의 1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20182.9%에 불과한 전자 상거래 배출은 코로나19를 기해 20209.7%로 폭발적인 성장을 했다. 그 후로 꾸준히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전체 소매거래에서 전자상거래가 차지하는 비중>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98pixel, 세로 1266pixel

[자료: Finprom.kz

 

2022년 전자 상거래 매출은 20.2% 증가하여 1조3000억 텡게(28억 달러)에 달했으며, 모든 상품군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패션 부문이 온라인 판매의 32.4%를 차지하며, 의류, 신발, 액세서리에서 전년 대비 17%가 증가한 423억9000만 텡게(9200만 달러)를 지출했다. 가전제품과 전자제품은 총 매출의 27.1%를 차지하며, 이 부문의 매출은 355억 텡게(7700만 달러)로 전년도에 비해 11.6% 증가했다.

온라인 식품 판매 부문도 성장세를 보였는데, 전자 식품 시장은 354억 텡게(7600만 달러)에서 455억 텡게(9800만 달러)28.5% 증가했다. 음료와 담배의 온라인 구매도 69.9억 텡게(1500만 달러)23.3% 증가했다.

 

컨설팅 회사 PwC에 의하면 2022년 상반기 기준 소매 전자상거래의 83%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가 점유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Euromonitor International에서는 Kaspi.kz를 가장 큰 거래 플랫폼으로 선정했고, 회사 공시에 의하면 20221~9월 동안 순이익은 36% 증가하여 4,220억 텡게(9억 달러)를 기록했고, 소비자 수가 2021년에 비해 8배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Kaspi.kz의 뒤를 이어 알리바바 그룹이 2위를 차지하고, 러시아의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인 Wildberries3, 가전제품, 전자제품, 관련 제품 등을 판매하는 온, 오프라인 매장인 SulpakTechnodom4위와 5위를 기록했다.

 

산업 동향

 

의류, 섬유 및 신발 판매량 증가

 

2023년 상반기 의류, 섬유 및 신발 판매가 97% 증가했다. 거의 모든 부분에서 증가했으며, 특히 내의류 부문에서 큰 증가를 나타냈는데, 2021년 같은 기간보다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와 러-우 사태 발발 후 소비자 활동의 회복과 지연된 내수 수요의 효과와 관련이 있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카자흐스탄의 의류, 섬유 및 신발 부문에서 95~99%를 수입에 의존한다고 발표했다. 카자흐스탄 자국 의류 및 신발 생산은 매우 적은 수준이다. 반면 섬유, 침구류, 비직물, 가죽 제품, 모피 및 가공 가죽 부문은 20231~5월의 데이터에 따르면 자국 생산이 8.3%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고, 나머지 91.7%는 수입에 의존한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이 55.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터키, 우즈베키스탄, 러시아가 또 다른 수입국이다.

 

<카자흐스탄의 의류, 섬유, 신발의 주요수입국>

(단위: 백만 달러, %)

 

20231~6

20221~6

증감률

전체

1040

464.5

123.9

중국

577.4

162.1

256.1

튀르키예

247.5

127.5

94.1

우즈베키스탄

23.2

16.8

37.9

러시아

52

86.5

39.9

그 외

139.9

71.6

95.4

[자료: 카자흐스탄 통계청

 

가계의 지출 증가도 관찰된다. 가계는 평균적으로 분기당 약 19500텡게(42달러) 지출했는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2% 늘어난 수치다. 하지만 이는 지역별로 비용이 크게 다르다. 알마티와 쉼켄트는 분기당 31000텡게(67달러)로 가장 높은 지출을 보였고, 지출이 오히려 감소한 지역은 아크몰라, 제티수, 서부 카자흐스탄 지역이다.

 

세제, 청소용품 및 개인 위생용품 시장 증가

 

카자흐스탄의 2022년 세제, 청소용품 및 개인용품 시장은 금액 기준 56399만 달러를 넘어 전년 대비 4배 증가했다. 카자흐스탄 자국 기업의 점유율이 극도로 작기 때문에 대부분이 수입 제품에 대한 자료이다. 20231~5월까지 국내 시장 판매에서 외국 공급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98~100%이다. 치약, 각종 세정제, 세제, 샴푸, 헤어제품 등은 수입품이 압도적으로 매출이 높다.


카자흐스탄 제조업체는 면도용품, 목욕용품, 탈취제 부문에서 45.7%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대부분을 자국내에서 소비한다. 카자흐스탄 내수 시장에 판매되는 비누 양은 2300톤인데 이 중 1700톤은 카자흐스탄에서 제조되는 양이다. 하지만 이 중 5300톤 만이 자국 내에서 소비되고 나머지는 해외로 수출한다. 비누 제품에서 카자흐스탄 제품은 26.4%를 차지한다.

 

<카자흐스탄 소비재 주요 기업 현황>

로고

기업명

내용

홈페이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3c6c2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0pixel, 세로 65pixel

 

Magnum Cash&Carry

설립연도: 2007

업종: 소매

대형 슈퍼마켓 체인

카자흐스탄 14개 도시 234개 매장

https://magnum.kz/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0000263c6c2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5pixel, 세로 135pixel

Sulpak

설립연도: 1992

업종: 소매

전자제품 및 가전제품 유통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의 200개 이상의 매장 운영

https://www.sulpak.kz/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3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0pixel, 세로 55pixel

Technodom

설립연도: 2002

업종: 소매

전자제품 및 가전제품 유통

카자흐스탄과 비슈케크의 28개 도시에 82개 매장과 93개 배송지점 운영

https://www.technodom.kz/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3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0pixel, 세로 53pixel

Mechta

설립연도: 1992

전자제품 및 가전제품 유통

카자흐스탄 45개 도시에 101개 매장 운영

https://www.mechta.kz/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3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0pixel, 세로 128pixel

Prima Distribution

설립연도: 1993

업종: 무역

식품, 세제, 위생용품 등 55,000개 이상의 품목 유통

https://www.prima-group.kz/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3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0pixel, 세로 289pixel

RG Brands

설립연도: 1994

업종: 식품 산업

주스, 음료, 우유, 식수, 포장 차 등을 제조 및 유통

https://rgbrands.com/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3c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6pixel, 세로 47pixel

Common Market Corporation

설립연도: 1996

업종: 무역

과자 도매 무역 기업

https://www.common.kz/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63c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0pixel, 세로 132pixel

Bayan Sulu

설립연도: 1974

업종: 제조

제과 제품 생산

https://bayansulu.kz/

[자료 : 각 기업 홈페이지]

 

SWOT 분석

Strength

Weakness

·천연자원이 풍부하여 원자재 공급에 안정적. 식품, 음료 산업에 유리

·유라시아 대륙에 위치해 있어 무역 및 물류의 전략적 요충지

·최근 몇 년간 경제 성장이 지속되고 있어 소비재 시장의 잠재력이 높다

·기초 인프라와 산업 다각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음

·소비재 생산 능력이 제한적이어서 많은 제품 수입에 의존

·정치적 불안정성과 경제 정책의 변동성

Opportunities

Threats

·정부의 경제 다각화 및 현대화 노력에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중앙아시아 및 인접 국가들로의 수출 확대 가능성

·외국인 투자를 적극 유치하여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

·글로벌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져서 경쟁력 약화

·원자재 가격의 변동성이 산업에 불확실성 유발

·국제 정치적 긴장이 무역 및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시사점

 

코로나19와 러-우 사태로 인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 상승으로 식료품 소비 비중이 높고 비식품 제품에 대한 소비가 줄어들었으나, 경제 상황이 점차 안정화되어 가고 있으면서 점차 패션, 의류, 건강, 뷰티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 기대된다.

 

그러나 소비재들을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카자흐스탄 국내 생산 기술의 강화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유통 채널도 대형 유통업체의 현대적이고 효율적인 물류 공급 시스템으로 빠르게 변화해가고 있고, 전자상거래를 통한 구매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소비재 수출, 유통, 물류 시스템에서 기술력을 갖춘 우리 기업에게는 많은 기회가 존재하겠지만, 카자흐스탄 소비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고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자료원: 카자흐스탄 통계청, primeminister.kz, inbusiness.kz, forbes.kz, finprom.kz, 알마티무역관 의견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3년 카자흐스탄 소비재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