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일본의 對아프리카 진출전략 변화와 시사점
일본의 對아프리카 진출전략 변화와 시사점
목차

요 약


Ⅰ. 아프리카의 경제현황과 성장 잠재력
1. 아프리카의 경제현황 및 전망
2. 아프리카의 성장 잠재력


Ⅱ. 일본정부의 對아프리카 경제협력 현황과 특징
1. TICAD를 통해 본 일본이 對아프리카 전략변화
2. 일본정부의 對아프리카 경제협력 현황 및 특징
3. 일본의 對아프리카 주요 경제협력 사례 분석


Ⅲ. 일본기업의 對아프리카 진출 현황과 특징
1. 일본기업의 對아프리카 진출 현황
2. 일본기업의 對아프리카 스타트업 투자
3. 일본기업의 SDGs를 활용한 對아프리카 진출


Ⅳ. 시사점
1. 우리정부의 對아프리카 경제협력 시사점
2. 우리기업의 對아프리카 비즈니스 시사점


참고문헌

요약

□ (목적) 본 조사는 아프리카의잠재력을인식한일본정부의경제협력과 일본기업의 진출전략을 분석, 우리가 유념해야할 시사점 도출


□ (중요성) 아프리카의 부상으로 주요국의 진출경쟁이 가속화
◦ SSA GDP성장률은 2020년 심각한 경기후퇴 이후 2021년 완만한 회복세를 기록하며 3.4%를 기록할 전망(IMF, 2020년 6월)
    * SSA(Sub-Saharan Africa)는 아랍권 북아프리카(중동)를 제외하여 전체
    * SSA 경제성장률 추이 : 3.1%(’19년) → -3.2%(’20년) → 3.4%(’21년)
◦ SSA는 빠른 인구증가율과 도시화 진전, 중산층 확대로 세계 최대 소비시장으로 성장할 전망(UN)
    * SSA 총 인구/전세계대비 비중: 21억명/22%(’50년) →38억명/35%(2100년)
    * SSA 도시인구 비중(%): 40(’18년) → 47(’30년), → 58(’50년)
◦ 아프리카의 전략적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미국, EU,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의 진출 경쟁이 가속화


□ (정부협력) 일본은 1993년부터 시작된 TICAD를 활용하여 정례적인 고위급 협의체 구축, 아프리카와 다층적인 경제파트너로 성장
◦ 중국보다 ODA 규모*가 작은 일본은 2019년 TICAD7에서 자국의 강점을 내세운 3개 차별화 전략으로 아프리카 입지를 강화
    * 아베 총리가 TICAD7에서 제시한 투자규모(3년간 280억 달러)는 2015년 12월 중국에 약속한 아프리카 지원규모(600억 달러)

    절반 수준
◦ (민간협력) 민간주도 협의체인 ‘아프리카 비즈니스 관민협의회’를 발족, 민간 교류 확대를 통해 아프리카 경제의 자율성을 제고
◦ (지속가능성) 채무리스크를 방지하기 위해 재무관리 지원 및 경제개혁 추진성과를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 도모
◦ (인재강화) 아프리카자율적성장을위해현지 인재역량 강화 중점화
    * 일본 유학 및 인턴십 촉진을 활용하여 향후 6년간산업인재3,000만명육성


□ (기업투자) 일본기업들은 對아프리카 투자진출 경쟁을 본격화
◦ (진출) 일본기업 거점 수는 ‘10년 520개에서 ‘17년 795개로 증가
   - 일본기업들은 시장선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비즈니스 환경이 좋은 국가를 거점화하고, 진출경험을 토대로 주변국가로 진출 확대
   - 인프라 개발 위주에서 제조업, 재생가능에너지, 물류 등 다변화
◦ (파트너십) 리스크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보완성을 가진 현지 기업, 스타트업, 제3국기업과 파트너십을 확보하여 시너지 창출
    * (스타트업) 야마하발동기(오토바이 배차 서비스 Max), 도요타통상(물류 서비스 Sendy, 드론 서비스 Zipline) 스미토모상사(태양

    광시스템 M-kopa)
◦ (SDGs) SDGs 이행과 적정기술을 활용한 탄력적 비즈니스 전개
    * Wassha(태양광 판넬 임대사업을 추진), SARAYA(적정기술 기반의 의료기구 세정소독기 보급), 간사이페인트(말라리아 박멸을

    위한 혁신적 신제품 보급)


□ (시사점)아프리카 시장진출을 위한 다가적인 전략수립 필요
◦ (정부) 아프리카에 대한 개발협력과 경제협력을 연계하여 논의할 수 있는 새로운 협의체를 구축
   - 아프리카와공감대를형성할수있는기반인정기적개발협의체를구축
   - 지역주민의 복리후생에 목적을 둔 개발협력과 경제협력 연계
   - 비즈니스 환경정비와 시장선점 측면에서 효과적인 인재역량 육성 사업을 강화
◦ (기업) 글로벌기업들의아프리카 시장공세가 강화되는 가운데, 후발주자로서 거점국가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진출기반을 구축
   - 성장유망 국가(르완다, 남아공, 케냐, 나이지리아)를 주요 거점국가로 활용하고, 점차 진출기반을 확산하는 전략을 고려
   - 아프리카 진출시 파트너의 강점을 최대 활용하는 협업방식을 추구
   - 현지수요를반영한신산업을창출, 탄력적인비즈니스모델을구축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