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EU의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 발효와 대응과제
EU의 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 발효와 대응과제
  • 총서번호 GSR 18-002
  • 발간일 2018-05-04
  • 게시일 2018-05-04
  • 페이지 81
  • 관련지역

    유럽 그리스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루마니아 리투아니아 몰타 벨기에 불가리아 스웨덴 스위스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영국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체코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북미 미국 캐나다 대양주 호주

  • 첨부파일 18EU의일반개인정보보호법GDPR발효와대응과제.pdf
목차

요약


Ⅰ. 서론 / 1
    1. 연구 배경
    2. 연구 필요성과 내용


Ⅱ. 한국기업의 EU 진출 현황 / 6
    1. 수출
    2. 투자
    3. 스타트업


Ⅲ. GDPR의 내용과 기업의 준비과제 / 13
    1. GDPR의 개요
    2. GDPR의 내용
    3. 주요국 정부의 대응
    4. 한국 정부의 대응
    5. 기업의 준비과제


Ⅳ. 결론 / 56
    1. GDPR의 평가와 전망
    2. 대응방안


참고문헌 / 68

요약

□ EU는 2018년 5월 25일부터 개인정보 처리와 이동에 관한 “일반개인정보보호법(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이하 GDPR)” 시행

 ◦ GDPR은 EU 회원국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개인정보보호 일반법으로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과 유사한 성격
 ◦ GDPR은 4차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규제 패러다임을 제시, 한국을 비롯한 각국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벤치마크가 될 전망


□ GDPR은 기업 규제환경의 큰 변화를 초래하여, EU 역내 투자기업은 물론, EU 거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기업 활동에 영향
 ◦ (넓은 지리적 적용범위) EU 역내에서 거점(establishment)을 운영하면서 그 활동이 개인정보의 처리를 포함하는 경우는 물론, 역외에 위치하면서 EU 거주 정보주체에게 재화·서비스 제공하는 경우에도 적용*
    * 예: 유럽 대상 전자상거래 수출 기업, 시청각콘텐츠 공급 기업, 소비재와 IoT를 결합한 B2C 비즈니스를 추진하는 제조기업 등
  - 또한 역외로 이전된 정보를 제3국으로 다시 이전하여 처리할 경우에도 적용
 ◦ (개인정보범위의확대) IP 주소, 쿠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위치정보 등도 개인정보로 간주되며, 민감 개인정보를 규정하고 유전정보와 바이오정보 등을 포함
 ◦ (개인정보 국외이전 메커니즘) 적정성평가* 또는 구속력 있는 기업규칙(Binding Corporate Rules), 표준계약서(Standard Contractual Clauses)*, 인증(Certificate) 등을 통한 국외 이전 가능
    * 한국은 EU로부터 적정한 개인정보 보호조치를 운영하는 것으로 인정받기 위해 적정성 평가(adequacy decision)를 진행 중
    * BCR은 기업 내부 이전시 활용, 표준계약조항은 EU 집행위가 제시한 규정에 준함.
 ◦ 정보주체의 권리와 정보 프로세서의 의무 강화, 기업의 DPO(Data Protection Officer)* 임명 의무 등 책임성 강화
    * DPO는 기업 내의 GDPR 등 정보보호 법규 이행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등의 업무 수행


□ GDPR은 통합된 EU 디지털시장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나, 단기적으로 장벽요인으로 작용하여 기업 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 내포
 ◦ 역내 규제 조화를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
 ◦ 그러나기업들이 당분간 상당한 적응비용을 부담하고, 불확실성에 직면
  - 개인정보 활용 제약에 따른 역내 투자기업의 비즈니스 혁신 둔화 가능성
  - EU 역내기업이 법 적용의 불확실성을 우려하여 서비스 조달처를 역내로 전환하거나 데이터 분석 업무를 직접 수행할 경우, 역외기업의 수출·투자에 부정적 영향
 ◦ 우리나라는 對EU 무역투자 특성상 GDPR 대응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성이 높음.
  - 우리 기업과 스타트업의 최근 對EU 진출은 데이터 혁신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전자·전기, 소비재, 통신업, 정보서비스업 등이 중심


□ GDPR을 단순히 규제요인으로 인식할 것이 아니라, 개인정보보호 규제 컴플라이언스 수준을 높이는 기회로 활용할 필요
 ◦ 개인정보 보호역량 강화를 통해 기업 경쟁력 강화, 신뢰도 향상*
    * 영국 사례: 개인정보 제공이 필요한 거래에서 기업에 대한 신뢰도가 경제적 동기(저렴한 상품 구매 등)보다 더 중요하게 작용
 ◦ 국내외 인증제도를 활용하여 개인정보 보호 역량 강화
  - ISO 27001 획득은 글로벌 비즈니스의 필수조건, GDPR 이행에도 기여
 ◦ 선진적인 개인정보 보호체제 도입
  - 개인정보보호 영향평가도입*, 개인정보책임자(DPO)** 확보·역량강화 등
    * 한국은 공공부문만 의무로 규정하나, GDPR의 경우와 같이 민간으로 확대되는 추세
    ** DPO는 개인정보 관련 기술·법률적 지식을 두루 갖춘 인력
 ◦ 산업 생태계 차원의 개인정보 체제 구축
  - GVC의 성숙과 더불어 해외 협력업체의 개인정보 보호역량도 중요해지고 있는바, 보안조치에 대한 협력 파트너간 상호계약 등이 요구됨.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