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의 서비스산업 발전 동향과 진출 방안
중국의 서비스산업 발전 동향과 진출 방안
목차

요 약


Ⅰ. 서비스 경제로 재편되는 중국
    1. 중국경제의 서비스산업화
    2. 정부정책, 서비스업 발전이 중점 목표


Ⅱ. 글로벌 서비스시장으로 변화하는 중국
    1. 중국, 글로벌 서비스 수입 대국으로 부상
    2. 서비스, 대중투자 중심으로 부상


Ⅲ. 한국의 서비스업 진출과 주요 업종 현황
    1. 한국의 중국 서비스업 진출 현황
    2. 주요 업종 현황
      1) 관광

      2) 유통·물류
      3) 전문서비스(법률·의료)

      4) 문화컨텐츠
      5) 요식·숙박


Ⅳ. 시사점과 진출 과제
    1. 시사점
    2. 진출 확대 과제

요약

1. 중국 서비스산업의 부상
□ 중국, 최근 수년간 빠른 속도로 ‘중국형 서비스 중심경제’로 재편
    * 3차산업 비중(%) : (2012년) 45.3→(2017년) 51.6 ; 2차산업 비중 45.3 → 40.5
ㅇ 특히 중국의 3차산업 확대는 2차산업(제조업)을 대체하면서 진행되는 등 고기술 및 고부가가치 분야가 선도
ㅇ 실제로 최근 중국의 GDP에서 비중이 빠른 속도로 커지는 업종은 고기술 기반 서비스산업임
    * 2014년 이후 GDP 비중 급증 서비스업종 : 금융, 부동산, 공공관리, 교육, 정보·소프트웨어, 임대·상업서비스, 위생·사회보장, 문화·체육·오락 등
ㅇ (한국 비교) 농업 해체 → 도시화와 생계형 서비스화가 진행된 60~70년대 한국(및 후발산업화 국가)와 구분되는 특징


□ 중국 정부 정책, ‘현대적 서비스업’ 발전이 중점 목표
ㅇ (서비스산업 육성 과정) 2010년 최초 제기, 이후 확대 및 체계화 

    - <12·5 규획>(2011~15년) 기간 개시, <13·5 규획>(2016~20년) 기간 본격화·체계화
    - 19차 당대회(2017년 10월), 2018년 정부사업보고의 중점 발전전략도 서비스산업 육성
ㅇ (‘현대적 서비스업’) 최근 중국은 서비스산업 육성 지향점을 ‘현대적 서비스업’으로 제시(19차 당대회 및 <2018년 정부사업보고>)
    * [현대적 서비스업이란?] 고부가가치 전문서비스 및 지능형 생활서비스. 예) ①기초 서비스(통신 및 정보서비스등), ②생산 및 시장 활동 서비스(금융, 물류, 도매, 전자상거래, 농업지원, 중개·컨설팅등 전문서비스), ③개인소비서비스(교육, 보건의료, 주거, 요식, 문화오락, 여행, 부동산, 소매 등), ④공공서비스(정부 공공서비스, 기초교육, 공공위생, 의료, 공익성 정보서비스 등)
    - 최근 19차 당대회(2017.10)와 양회의 <2018년 정부사업보고> (2018.3)에서 서비스 육성의 복표를 ‘현대적 서비스’로 규정하
고 관련 정책을 종합적으로 제시


2. 중국, 글로벌 서비스 수입 대국으로 부상
□ 중국, 세계 2위의 서비스 수입국으로 부상
ㅇ 세계 서비스 수입 비중 9.6%로 1위인 미국(10.7%)과 별 차이 없으며 3위(독일 6.6%), 4위(프랑스 5.0%)와 큰 차이
ㅇ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10년, 특히 중국의 서비스산업 육성정책이 본격화 된 2013년 이후 서비스 수입 급속 증가


□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 역시 서비스업으로 급속 재편 중
ㅇ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에서 서비스업의 비중은 (2007년) 49.4%에서 2017년 69.8%로 급증한 반면 제조업은 48.9% → 24.6%로 급감
ㅇ 서비스업 중에서도 고기술, 고부가가치 분야 외국인투자가 급속 증가
    * (급증 업종) 정보·컴퓨터·소프트웨어, 임대·상업서비스, 도소매, 과학·기술·탐사, 교통·운송·창고·우편, 전력·가스·물 공급서비스 등
ㅇ 한편,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에서 서비스무역 완전 자유화를 이룬 홍콩의 비중이 급속 증가, 대부분을 차지
    * 중국의 외국인 투자에서 홍콩의 비중 72.1%(2017.1~11월)
ㅇ 서비스분야의 사실상 완전개방을 이룬 중-홍콩 CEPA 체결(2004) 이후 홍콩이 외국기업들의 대중국 서비스 우회투자 통로로 이용
ㅇ 글로벌 서비스 중심시장인 중국에 효과적으로 진출하는 방법은 통상협상(FTA)를 통한 중국 서비스시장 개방


3. 한국의 중국 서비스진출 현황과 애로
□ 한국, 대중국 서비스 무역 흑자이나 흑자폭은 둔화 중
ㅇ 대중국 서비스무역 수지 2011년까지 균형상태 유지해 오다가 2012년부터 무역흑자 확대되었으나 2014년부터 대중수출 줄어들면서 흑자폭 감소 중
    * 대중 서비스무역 수지(백만달러) : (2012) 1,226 → (2014년) 7,873 → (2016년) 4,564
ㅇ 한국이 중국에 대해 서비스무역 흑자를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요우커의 한국 방문에 따른 대중 여행수입 증가였으나, 2017년 중국의 여행규제에 따른 요우커 급감을 고려할때, 2017 서비스 수지 대폭 감소 예상
    * ‘17년 방한 중국 관광객은 전년 대비 48% 감소한 417만명(한국관광공사)


□ 한국의 대중 서비스업 투자, 진전되지 못하고 있음
    * 한국 ODI에서 중국의 비중(%) : (2013년) 16.9 → (2015년) 9.6 → (2017년) 6.8(수은)
    * (중국기준) 중국 FDI 유치에서 한국의 비중(%) : (2013년) 2.5 → (2015년) 3.0 → (2017년) 2.6


□ 검토 결과 중국의 서비스 규제 및 미개방에 따른 애로가 있는 것으로 확인


4. 시사점 및 진출 확대 과제
□ (시사점) 중국의 서비스 산업화(化)와 서비스업 현대화 더욱 빨라질 것
ㅇ 서비스업 확대 공간 크고 정부의 육성정책도 강력해 확대 지속 예상되고, 대중 진출 및 협력의 제조업→서비스업 전환도 가속화 예상
ㅇ (‘현대적 서비스업’) 중국의 서비스업은 이른바 ‘현대적 서비스산업’으로 직접 ‘도약’중
    - 중국에서는 2차산업(공업) → 3차산업 대체속에서 진행되므로 공업화 단계*의 성과를 활용한 고부가가치화, 전문화가 가능
    * 도시 및 공업 인프라, 높은 교육 수준 등
    - 중국의 서비스산업화가 정보통신혁명(컴퓨터·인터넷·모바일)과 병행되고 있어 서비스산업이 생성단계에서부터 첨단화되고 있음
    - 중국정부는 이런 사정을 겨냥해 ‘현대적 서비스산업’을 적극 육성 중


□ (진출 확대 과제) 소규모 도매유통·요식업 중심 진출의 한계를 극복하도록 중국 서비스시장 개방 확대와 한중 협력을 적극 추진
ㅇ (중국 진입장벽 완화) 곧 개시될 한중 FTA 서비스·투자 협상을 중국 서비스시장 진입 장벽 완화 기회로 활용
    - 전문서비스, 정보통신, 건설, 금융 등 중국의 핵심 서비스업에 우리 기업이 많이 진출하지 못하는 결정적 이유는 중국의 대한국 미개방(진입장벽)
    - 2018년 3월 중 개시될 한중 FTA 서비스·투자 후속 협상은 우리의 중국의 ‘핵심’ 서비스 시장 진출 확대에 좋은 기회임
ㅇ (서비스 협력) 서비스분야 협력 강화는 중국 진출 우리기업의 자금 부족, 중국 서비스산업의 첨단화·정보화, 양국 정부의 창업 육성 정책 모두에 적합한 대응 방안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