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주요국 CSR 정책 트렌드와 기업의 대응전략
주요국 CSR 정책 트렌드와 기업의 대응전략
목차

요약 / 1


Ⅰ. 서론 / 3


Ⅱ. 글로벌 CSR 규범화의 범위와 동향 / 5
 1. CSR의 부상과 특성
 2. CSR의 전개와 국제적 동향


Ⅲ. 주요국의 CSR 정책 동향과 기업의 대응 / 23
 1. EU
 2. 미국
 3. 일본
 4. 중국


Ⅳ. 시사점과 대응 전략 / 63
 1. CSR 강화 추세에 따른 인식의 전환 필요
 2. 기업의 국내외 CSR 이행을 위한 정책 지원 강화
 3. CSR 이행에 대한 기업의 대응 전략


참고문헌 / 73

요약

□ 글로벌 아젠다의 확산으로 기업의 사회적책임(CSR)에 대한 인식과 기대 고조
◦ 국제규범과 더불어 CSR을 확산시키기 위한 정책대응이 각국별로 활발히 전개
◦ 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 및 리스크 관리를 확보하기 위해, 글로벌 핵심가치를 CSR 활동에 연계한 비즈니스 모델을 전략적으로

    수립하는 것이 중요


□ CSR 규범화는 각국별 문화·역사적 배경에 따라 대응양식이 다원화되는 추세
[1] EU는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CSR규범을 운영하며 글로벌 리더십을 발휘
◦ ’90년대 초반부터 EU차원의 CSR 제도화를 적극 추진, ’14년 10월부터 500명 이상을 고용한 기업의 비재무 보고서 발간을 의무화

    하며 법적 강제력을 부과
◦ CSR에 대한 인식이 높은 EU기업들은 자회사뿐만 아니라 역외 협력기업을 대상으로 SDGs와 같은 글로벌 가치를 공유하도록 노력
    * 덴마크의 Neutral은 가치사슬 전 단계에 걸쳐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인증 제도를 자체적으로 마련, 제품의 공정과 품질을

      직접 관리하는 것은 물론 근로자의 소득과 근로여건 개선에 기여


[2] 미국은 기업의 CSR활동을 규제하는 대신 윤리경영을 유도하는 환경조성에 주력
◦ 미국은 기업의 윤리강령 제정 및 인센티브(세금혜택, 보조금 지급 등) 제공을 통해 기업의 CSR 활동을 장려하는 문화 정착
   - 기업자율에 맡기던 기존의 CSR 방침에서 탈피하여, 최근 일부 비재무정보공시를 강제화하거나 국무부에 관련 대응체제를 설치

     하는 등 정부역할 강화 움직임
◦ 미국 기업들은 ESG에 대한 투자확대, CSR 이행 여부에 민감한 소비자와 단체의 감시에 대응하기 위해, CSR를 적극 시행하고 이를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


[3] 일본정부는 기업주도의 자발적 CSR 대응을 강조하며 제한적 역할을 담당
◦ 일본 기업들은 전통적인 경영이념으로서 기업의 본업을 통해 사회가치를 동시에 실현하는 것이 진정한 CSR 전략이라는 인식이

    강함.
◦ 일본은 비재무정보 공개를 법제화하지는 않았지만, 비재무정보 작성·공개 가이드라인 책정 및 모범사례 표창 등을 통해 기업

    주도의 CSR 대응을 전파
    * 일본 기업들은 비재무정보가 자사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는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 자발적으로 공개하는 기업이 크게 증가

      (’10년 26社→’17년 325社)


[4] 중국은 정부주도로 강력한 의지를 갖고 다양한 CSR 정책을 강화
◦ ESG 정보공개 의무확대(’15년), 친환경 투자프로젝트 자금조달을 위한 녹색채권 발행(’15년), 자선법제정(’16년), 빈곤해결 계획

    수립(’16년) 등이 연이어 채택
◦ 알리바바를 비롯한 중국 기업들은 녹색소비를 장려하는 CSR 투자를 강화하며 정부정책기조에 적극 호응


□ 시사점과 대응전략
◦ (규범화) CSR 관련 정보공개와 평가를 위한 주요국의 정책트렌드 변화를 주시
   - CSR 이행 여부가 기업 가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잣대로 평가되기 때문에, 시장진출을 위해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박차
◦ (정책 지원) CSR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규범화 조치(ESG 투자 확대와 비재무 정보 공시기준)에 대한 검토를 전개, CSR 활동에

    대한 지원체계를 강화
◦ (기업 대응) 기업들은 CSR 실행력을 확보하기 위한 역량 제고가 급선무
   - 첫째, 핵심 비즈니스 역량과 CSR을 연계하고, 이를 구현하는 전략을 수립
   - 둘째, CSR 이행 의무가 자사는 물론 공급망으로 확대되는 추이를 정확히 인식하고, 시장과 산업의 특성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
   - 셋째, CSR 활동의 투명을 제고하고 성과 관리 및 홍보 체계를 구축하여 CSR 활동에 대한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