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북미 오일·가스 산업 현황 및 우리기업 진출 방안
북미 오일·가스 산업 현황 및 우리기업 진출 방안
목차

1. 캐나다 오일․가스 산업 현황 및 우리기업 진출방안
Ⅰ. 캐나다 오일·가스 산업 현황
  1. 산업 개요
  2. 산업 동향
  3. 산업 특징
Ⅱ. 캐나다 오일·가스 산업 전망
  1. 오일 산업 전망
  2. 가스 산업 전망
Ⅲ. 캐나다 오일·가스 기자재 수출입 동향
  1. 관련 품목 수입 현황
  2. 관련 품목 수출 현황
Ⅳ. 캐나다 오일·가스 시장 진출 방안
  1. 우리기업 진출 현황
  2. 우리기업 진출 방안


[별첨]
1. 캐나다 오일·가스 산업 주요 기업
2. 캐나다 내 주요 정유 시설
3. 캐나다 업스트림 프로젝트 리스트


2. 미국 오일․가스 산업 현황 및 우리기업 진출방안
Ⅰ. 미국 오일·가스 산업 현황
  1. 산업 개요
  2. 산업 동향
  3. 산업 특징
Ⅱ. 미국 오일·가스 산업 전망
  1. 오일 산업 전망
  2. 가스 산업 전망
Ⅲ. 미국 오일·가스기자재 수출입 동향
  1. 관련 품목 수입 현황
  2. 관련 품목 수출 현황
Ⅳ. 미국 오일·가스 시장 진출 방안
  1. 우리기업 진출 현황
  2. 우리기업 진출 방안


[별첨]
1. 미국 오일·가스 산업 주요 기업
2. 미국 내 주요 정유 시설
3. 미국 업스트림 프로젝트 리스트

요약

 캐나다는 전통적인 천연자원 부국으로 에너지 산업의 무한한 발전 잠재력을 지닌 나라다. 2016년에 저유가에 따른 경기침체 악재에도 불구하고 원유(3위), 천연가스(4위), 석탄(8위) 등 세계 3대 에너지자원 수출량 순위에서 전 부문이 상위권에 랭크되며 세계 최고 에너지 생산국으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또한 오일/가스 등 에너지자원 산업은 캐나다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위상도 커, 전년도 국가 GDP의 9% 비중을 차지, 단일 산업으로는 세 번째로 기여도가 높다.


 캐나다 국가에너지보드(NEB)는 최근 보고서에서 캐나다 원유생산량이 2040년 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해 610만 bpd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620만 bpd와 크게 다르지 않은 전망치다. 이는 중국, 인도 등 아시아 국가들의 수요증가가 당분간 세계 에너지 수요상승을 견인할 것이라는 전망에 기인한다. 실제로, 최근 중국에너지 기업의 해외 투자가 늘고 있고 있는 가운데, 원유 및 천연가스 수급 안정화로 에너지 시장이 점진적인 호조세로 돌아서고 있어 에너지 기업들의 투자가 다시 활기를 띌 것이라는 전망이 크게 힘을 얻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 발맞춰, 최근 캐나다 정부와 업계는 미국에 편중되어 있는 에너지 수출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해 중국, 인도, 일본 등 아시아 지역과의 협력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석유 및 천연가스의 대아시아 수출을 위해 송유관과 LNG 수출터미널 시설 건설 등 에너지 교역 인프라 확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관련하여 2018년 캐나다 에너지 시장은 에너지 인프라 투자확대에 따른 다양한 건설 추진으로 관련 기자재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의 각별한 관심이 요구된다.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는 2017년 출범이후 ‘미국 최우선 에너지 계획’을 핵심정책으로 하여 미국 내 에너지 생산을 늘리기 위해 에너지 개발 규제조치의 완화 및 폐지를 추진하고 있다. 에너지 전반의 세제 개편 방향 또한 관련 기업 활동에 긍정적일 전망이다.


 향후 5년간 국제 유가는 전반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셰일오일의 생산성 향상과 원유의 과잉공급 전망은 유가에 하방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2017년 전반적인 유가의 상승과 함께 오일 메이저들의 투자가 활발해져 특히 해양플랜트 투자 증가가 전망되나, 아직은 투자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도 혼재하고 있다. 우리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미국 바이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벤더 등록을 통해 적극성과 의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으며, 자재별 인증을 미리 획득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현지 바이어의 요구에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업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으므로, 현지 물류시설의 설립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