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트럼프 시대의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트럼프 시대의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목차

요 약 / 1


I. 조사 배경 / 3


Ⅱ.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현황 / 4
1. 시장개요
2. 트럼프의 공공인프라 정책
3. 시장현황
4. 투자재원 현황


Ⅲ. 세부시장 현황 / 12
1. 도로·교통
2. 에너지
3. 수자원


Ⅳ.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진출전략 / 16
1. 참가 방식 및 유형
2. 참여 방식별 진출전략
3. 주·지방정부와의 협력


Ⅴ. 경쟁국기업 진출사례 / 29
1. 스페인 사례
2. 중국 사례
3. 일본 사례


Ⅵ. 시사점 / 34

요약

【조사배경】
ㅇ 트럼프는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을 위해 임기 중 1조 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공공인프라 투자를 공언하고 있으나, 투자 재원마련이 정책 성패의 최대 관건
ㅇ 미국 연방 및 주·지방정부는 공공인프라 투자에 부족한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민-관 협력(PPP)방식을 적극 활용하고 있어 미국 내 PPP시장은 급성장할 전망
ㅇ 국내기업들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미국 인프라 시장에서 실기하고 있어 우리 정부와 기업들의 관심과 진출방안 마련이 조속히 요구됨.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현황】
ㅇ (현황) 미국 공공인프라 시설은 전 분야 평균 D+ 등급으로 재건이 시급한 상황이며, 2025년까지 시설낙후로 인한 경제손실은 3조 9천억 달러에 달할 전망 - 인프라 개·보수 및 신설을 위해 2025년까지 최소 3조 달러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나 실제 투자는 과부족 상태
ㅇ (정책) 트럼프는 인프라 투자 재원 마련을 위해 민간(해외)자본의 참여를 활성화한다는 계획을 밝히고 있어 향후 PPP시장은 지속 확대될 것으로 기대 - 한편, 인프라사업에 미국기업의 참여를 우선하는 바이아메리카(Buy America) 규정은 강화될 예정인바, 해외기업의 참여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우려
ㅇ (재원) 공공인프라 투자에 연방정부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주·지방정부가 전체 투자의 75%를 담당하고 있음.
    - 주·지방정부는 재정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프라 사업에 민간참여를 적극 유치하고 있어 미국의 PPP시장은 향후 연 16.5%의 고성장 구가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진출전략】
ㅇ (방식) 해외기업이 미국 공공인프라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방식은 크게 ▲금융투자 ▲기자재공급 ▲서비스(용역)제공으로 구분될 수 있음.
ㅇ (유형) 민간기업의 참가 유형은 인프라 건설의 단계에 따라, ①설계(Design), ②건설(Build), ③금융투자(Finance), ④운영(Operation), ⑤유지보수(Maintenance)로 분류 - 참여유형의 조합으로 ▲설계·건설(DB) ▲설계·건설·투자(DBF) ▲설계·건설·운영·유지보수(DBOM) ▲설계·건설·운영·유지보수·투자(DBOMF) 모델로 구분
ㅇ (금융투자) 미국 정부 및 업계는 공공인프라 수요 급증에 따른 재정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PPP방식을 통한 해외기업의 인프라 시장 참여에 전향적 입장
    - 국내기업들도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을 활용한 금융투자를 병행함으로써 미국 내 PPP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ㅇ (기자재납품 ) 미국 내 인프라 건설 호황이 예상됨에 따라 철강, 수송기계 및 부품, 중장비, 건설소재, 전선·케이블 등 관련 제품 수요가 확대될 전망
    - 연방정부 재원이 투입된 프로젝트에 공급되는 기자재 조달에는 바이아메리카 규정이 적용되는 바, 국내기업들은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거나, 현지 기업과 생산공정 협력을 강화하는 등 현지화 노력 필요
ㅇ (건설서비스 ) 설계, 건설, 유지·보수 등 서비스용역에는 바이아메리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바, 국내 건설기업들의 활발한 시장 참여가 기대됨.
    - 시장진출을 위해 국내건설사들은 공종다변화, 전후방 사업 통합을 통한 프로세스 확대, 금융조달 역량 확보, 현지협력 모델 개발에 노력해야 함.
ㅇ (주·지방정부 협력) 주·지방정부는 공공인프라 투자의 75%를 담당할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수요 발굴, 계획, 타당성 검토, 사업자 선정 등 핵심 역할
    - 주정부가 발주한 프로젝트(solicited) 입찰에 참여하는 방법 외에도, 기업이 직접 유망 프로젝트(unsolicited)를 제안하여 사업화하는 방식도 활용 가능


【경쟁국 진출사례】
ㅇ ▲유럽기업들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환경 및 컨설팅 분야 ▲일본은 첨단 초고속열차 기술 ▲중국은 가격 경쟁력과 자본력 ▲호주는 선진 금융기법 등의 우위를 앞세워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 중에 있음.


【시사점】
ㅇ 국책은행-건설사-IT기업-제조기업-서비스기업이 참여하는 선단형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전 방위적 밸류체인 역량을 확보하고, 정부는 국책은행을 통해 투자 회수 기간이 긴 프로젝트 리스크를 부담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
ㅇ 현지 중소 건설사와 제휴를 맺거나 전략적 M&A를 통해 주·지방정부가 발주하는 소규모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현지 사업수행 실적을 쌓아가는 노력 필요
ㅇ 대규모 토목공사 보다는 주차장 현대화, 고속도로 휴게소, 스포츠·유락 시설, 정부청사 건설 등 특화된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향후 지속 확대되는 유지·보수 시장에 참여 기회도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임.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관련보고서

지역별 관련 보고서를 볼 수 있는 표

번호 보고서명 첨부파일 저자 발간일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