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캐나다 칫솔 시장 동향
  • 상품DB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유준오
  • 2015-01-23
  • 출처 : KOTRA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캐나다의 칫솔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약 2억59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1% 증가

 

최근 3년간 캐나다 칫솔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CA$ 백만, %)

구분

2011

2012

2013

시장규모

증감률

시장규모

증감률

시장규모

증감률

시장규모 및 성장률

248.4

5.6

253.8

2.2

259.2

2.1

자료원: Euromonitor

 

□ 시장전망

 

 ○ 수요증대 예상요인

  - 캐나다는 치과 진료비가 비싼 이유로 칫솔, 치약, 구강 청결제(가글) 등의 수요가 안정적으로 성장하며 예방차원의 진료 서비스도 활발하게 이루어짐.

  - 캐나다는 전 국민이 주정부에서 제공하는 의료보험 혜택을 받으나 치과 진료는 주정부 제공 의료보험에서 제외(단순 검진을 위한 방문 시 60~100달러 가량이 소요)

  - 덧붙여 하얗고 밝은 건강한 치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점도 칫솔 및 치약 판매를 촉진

 

 ○ 수요감소 예상요인

  - 인구수는 개인 위생용품인 칫솔 시장 수요와 직결되는 요소로 현재 캐나다 인구는 이민 인구 유입 없이는 성장이 어려울 정도로 인구 증감률이 낮음.

  - 자연적인 인구 성장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최근 이민 정책이 더욱 까다로워지고 있는 점은 칫솔 수요에 부정적으로 작용 가능

 

 ○ 무역관 전망

  - 당분간 캐나다의 치과 진료비는 의료 시스템의 대대적인 개혁이 없는 한 높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며 따라서 칫솔뿐만 아니라 치약, 치실 등 치아 건강 및 예방 차원의 관련 제품의 수요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됨.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일반 가정 및 소비자

 

 ○ 소비자 구매 동기

  - 개인 위생관리

 

□ 수입동향

 

 ○ 개관

  - 캐나다의 칫솔 수입은 2013년 기준 약 5102만 달러로 전년 대비 8.3% 증가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캐나다 칫솔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960321 기준)

            (단위: US$,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11

2012

2013

2011

2012

2013

13/12

0

총액

47,805,944

47,130,545

51,024,484

100.0

100.0

100.0

8.3

1

미국

23,870,516

29,475,164

29,132,657

49.9

62.5

57.1

-1.2

2

중국

11,792,295

10,838,489

10,405,334

24.7

23.0

20.4

-4.0

3

독일

7,462,442

3,348,862

6,904,449

15.6

7.1

13.5

106.2

4

스위스

1,311,060

1,636,824

1,316,278

2.7

3.5

2.6

-19.6

5

베트남

724,657

757,199

900,712

1.5

1.6

1.8

19.0

6

아일랜드

1,139,950

75,823

807,932

2.4

0.2

1.6

965.6

7

멕시코

682,805

235,273

568,868

1.4

0.5

1.1

141.8

8

인도

123,274

146,938

266,460

0.3

0.3

0.5

81.3

9

이탈리아

3,617

203,983

189,180

0.0

0.4

0.4

-7.3

10

라트비아

327,884

8,877

124,744

0.7

0.0

0.2

1305.3

11

한국

69,981

113,733

107,041

0.2

0.2

0.2

-5.9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규제내용

  - 일반적인 칫솔의 경우 캐나다 보건부 지정 Class I 의료기기로 판매를 위한 별도의 허가가 필요하지 않으나 전동칫솔의 경우 Class II로 분류돼 별도의 보건부 허가가 필요

 

 ○ 필수 인증

  - 전동 칫솔의 경우 보건부의 허가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아래 링크의 양식을 작성해 보건부에 제출

  - http://www.hc-sc.gc.ca/dhp-mps/md-im/applic-demande/form/licapp_demhom_cla2-eng.php

 

 ○ 관세율

  - 일반적인 칫솔 및 전동칫솔의 실제 칫솔 부품의 관세율은 아래와 같음.

  - 덧붙여 전동칫솔의 모터 및 전동축은 캐나다 기준 HS 8509.80.9090으로 무관세로 수입

 

HS Code

품목

관세코드

관세율

960321

칫솔(브러시)

MFN

7.0%

GPT

5.0%

-FTA 발효시

4.7%(3년 균등 철폐)

자료원: 캐나다 국경관리청

 

 ○ 통관 시 유의사항

  - 칫솔 수입 및 통관 과정에서 별도로 주의해야 하는 사항은 파악된 바 없음.

 

□ 주요 유통채널

 

 ○ 일반적으로 유명 브랜드의 칫솔은 중국, 미국 등의 제조업체로부터 OEM 방식으로 유통업체에게 수입돼 최종 소매상에게 공급되고 있음.

 

 ○ 한편, 샤퍼스(Shoppers Drug Store)와 같은 대형 약국 유통업체의 경우 자사 개발 PL 제품 중 하나로 칫솔을 취급하고 있으며, 유통업체를 거치지 않고 직접 OEM 방식으로 제품을 수입해 자사 유통망에 공급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주요 경쟁 제품 현황

브랜드명

가격(CA$)

시장점유율(%)

원산지(수출국)

Crest

2.99~4.99

20.2

미국/중국

Oral B

2.99~4.99

12.5

미국/중국

Colgate

1.99~3.99

7.8

미국/중국

자료원: Euromonitor 및 제품 정보 참조

 

□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 캐나다 칫솔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의 현지 인지도는 매우 낮은 수준

 

 ○ 선호 브랜드

  - 주로 Oral B, Crest, Colgate 등 유명 브랜드 제품의 비중이 큼.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Pacific Dental Conference

전시회명(한국어)

퍼시픽 덴탈 컨퍼런스

전시품목

구강 위생용품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캐나다/밴쿠버/연간

규모(참가자 기준)

1만2798명

개최기간(2015년)

2015년 3월 5~7일

웹사이트

www.pdconf.com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가격 경쟁력 및 브랜드 인지도가 우선순위

  - 일반 칫솔부터 전동 칫솔에 이르기까지 가격 경쟁력이 우선시 되고 있으며, 위생용품 특성 상 브랜드 인지도도 크게 작용

 

 ○ 현지 바이어 구매상담 시 우선 고려사항

  - 한국 제품은 브랜드 인지도가 높지 않아 가격 경쟁력을 갖추더라도 바이어의 관심을 끌기 어렵기 때문에 가격 외의 다른 경쟁력을 적극적으로 내세울 필요가 있음.

 

□ 마케팅 방안 및 타깃 고객층

 

 ○ 칫솔모 기능 및 디자인에서 저가 제품과 차별화 할 수 있는 제품 필요

  - 경쟁국 제품의 우수한 가격 경쟁력과 한국 제품의 낮은 브랜드 인지도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제품 필요

 

 ○ 튼튼한 내구성과 고효율 배터리를 이용한 저가의 전동 칫솔로 소비자를 유인한 뒤 지속적인 소모품 칫솔 구매를 유도하는 방법도 효과가 클 수 있음.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캐나다 칫솔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