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유망] 몽골 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몽골
  • 울란바토르무역관 Nandintsatsral Amarsanaa
  • 2017-10-24
  • 출처 : KOTRA

- 전체 화장품 수입은 하락세…한국 화장품 수입은 증가세 -

- 한국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 수입 증가세와 동시 한국 두발용 제품 수입도 급증세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화장품

    - KOTRA 울란바토르 무역관은 우리 기업의 수출이 유망한 상품 중 하나로 화장품을 선정함. 화장품 중 특히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 관련 시장 동향을 분석함.


HS Code

한글 설명

영문 설명

3304

미용 또는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화장용 제품류(의약품을 제외하며, 썬스크린과 선탠 제품류를 포함한다) 및 매니큐어용 제품류와 페디큐어용 제품류

Beauty or make-up preparations and preparations for the care of the skin(other than medicaments), including sunscreen or sun tan preparations, 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자료원: 한국 관세청 및 한국 HS Code 조회 사이트


□ 선정 사유


  몽골 관세청 통계에 의하면, 세계 화장품 시장을 점유하는 폴란드와 프랑스가  몽골 화장품 시장을 압도하며, 다음으로 한국 화장품이 3위를 차지하고 있음.

    - 대한 수입 점유율은 지속 성장세를 보임(2015년 11.6%, 2016년 14.9%).


  ㅇ 2016년 기준으로 HS Code 3304에 해당하는 화장품 몽골 전체 수입이 2.7% 감소했으나 대한 수입은 46.7% 증가함.

    - 여기에 립제품과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 증가율이 큰 영향을 미침.


□ 몽골 화장품 시장동향


  ㅇ 화장품 시장 개요

    - 몽골은 인구 310만 명에 불과한 작은 시장이지만, 국내 생산기반이 취약해 화장품의 80% 이상을 수입하며 소득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 중

    - 2014년부터 경기침체 여파로 몽골 전체 수입이 감소으며 2017년부터 회복세로 화장품 수입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2016년 몽골 화장품 수입 규모는 2800만 달러로 추산되며 화장품 전체 규모의 약 85%를 점유함. 국내 제조업체들은 약 15%를 점유한다는 비공식적인 통계가 있음.


몽골 화장품 수입동향


  ㅇ 수입 화장품 규모

    - 2014년부터 몽골 화장품 수입은 하락세였으나 2017년부터 회복될 전망

    - 2016년 몽골 화장품 수입 규모는 2800만 달러(HS Code 3303, 3304, 3305, 3307 기준)이며 전년대비 5.1% 감소

    - 총 화장품 수입 중 메이크업 및 기초 화장품이 46%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두발용 제품, 향수 등 순임.

    - 관세청 통계에 의하면, 한국 두발용 제품(HS Code 3305) 수입이 지속 증가세로 나타나고 있음.


몽골 화장품 수입 규모

                                                                                                                                                        (단위: 천 달러, %)

HS Code

몽골 화장품 수입 규모(대한 수입 점유율)

2014

2015

2016

2017~2018

3303

4,126.6(0.1)

2,931.0(0.16)

2,919.1(0.08)

2,060(0.2)

3304

18,392.6(8.4)

13,651.3(9.8)

13,284(14.8)

11,511.7(13.9)

3305

13,342.3(20)

10,939.4(15.2)

9,953.7(17.2)

8,288.7(15.7)

3307

3,449.2(12)

2,906.2(18)

2,704.2(22.5)

2,1699(21.5)

합계

39,310.8(11.8)

30,427.9(11.6)

28,861(14.9)

24,029.4(14)

자료원: 몽골 관세청

 

  ㅇ 주요 수입국 동향

    - 몽골은 화장품을 약 50개국에서 수입하며 몽골 화장품 최대 수입 대상국은 폴란드임.

    - 폴란드는 약 19%의 점유율을 차지하나 2014년부터 지속 하락세 유지

    - 폴란드 다음으로 프랑스(18%), 한국(14.8%), 일본(11.2%), 독일(6.7%) 순이며 일본에서의 수입이 2016년부터 급증하기 시작

    - 최대 수입국은 폴란드와 프랑스, 이탈리아 등 고가제품 수출국에서의 수입액은 감소하는 반면에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국가에서의 수입이 증가 추세


몽골 상위 10개 화장품 수입국 현황(HS Code3304기준)

                                                                                                                                          (단위: 달러,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증감률

 '16/'15

2016년

비중

2014

2015

2016

2017~2018

1

폴란드

6,674,543

3,432,257

2,573,268

1,555,250

-25

19.4

2

프랑스

3,588,983

2,765,171

2,394,630

1,592,450

-13.4

18

3

한국

1,551,346

1,338,536

1,964,363

1,598,356

46.7

14.8

4

일본

896,447

812,186

1,490,489

1,802,095

83.6

11.2

5

독일

1,068,099

810,421

889,078

617,338

9.7

6.7

6

러시아

749,740

629,700

788,635

1,016,843

25.2

5.9

7

이탈리아

1,255,445

976,309

545,645

425,751

-44.1

4.1

8

말레이시아

301,025

227,829

311,956

215,730

36.9

2.4

9

중국

117,409

256,915

218,532

132,919

-15

1.6

10

인도

246,091

255,569

187,398

188,626

-26.7

1.4

11

기타

1,943,479

2,146,452

1,919,981

2,366,308

-10.5

14.5

합계

18,392,607

13,651,345

13,283,975

11,511,665

-2.7

100

자료원: 몽골 관세청/www.customs.gov.mn/

 

  ㅇ 대한수입 규모 및 동향

    - 2016년 한국 화장품 수입액은 196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용 제품류가 약 77%를 차지함.

    -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 수입이 전년대비 45.6% 증가한 150만 달러로 약 76.8% 비중을 차지함.

    - 그 뒤로 파우더(20만 달러, 10.4%), 눈화장용 제품(11만 달러, 6%), 입술화장용 제품(10만 달러, 5.3%), 매니큐어 및 패디큐어 제품(3만 달러, 1.5%) 순임.


몽골 대한 화장품 수입 현황

(단위: 달러, %)

제품류(HS Code)

2014

2015

2016

2017~2018

증감률

('16/'15)

2016년

비중

입술화장용 제품류(3304.10)

56,942

38,207

103.803

42,093

171.7

5.3

눈화장용 제품류(3304.20)

103,804

87,722

118,328

97,584

34.9

6

매니큐어·패디큐어용 제품류(3304.30)

76,654

35,567

28,863

17,130

-18.8

1.5

파우더, 분말상의제품류(3304.91)

272,104

140,963

204,436

158,064

45

10.4

메이크업·기초화장용제품류(3304.99)

1,041,842

1,036,077

1,508,932

1,283,288

45.6

76.8

합계

1,551,346

1,338,536

1,964,363

1,598,356

46.7

100

자료원: 몽골 관세청


몽골 화장품 인증 및 통관절차


  ㅇ 관련 인증

    - 현재 화장품 수입에 대한 특별한 규제는 존재하지 않고, 세관에 수출품 신고와 샘플 검사 결과를 기타 필요서류와 제출하면 됨.

    - 수출하기 전에 샘플 검사를 미리 해야 하며 현지 신임연구원에서 실시해야 함.

    - 화장품 샘플 검사를 6개월에 한 번 해야 하며, 6개월 이내 동일한 제품을 수시로 수출 가능함.


 검사 종류샘플 검사 시 필요한 용량

제품명

세균학적 검사

parazitology

화학성

방사선

보관용

합계

립제품

10ml

10ml

10ml

-

10ml

40ml

파우더, 섀도

15ml

15ml

20ml

-

15ml

65ml

크림

50ml

50ml

100ml

250ml

50ml

500ml

토닉 및 알코올 함유 제품

50ml

50ml

100ml

-

50ml

250ml

향수, 데오도란트

30ml

30ml

100ml

-

30ml

190ml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10m;

10ml

15ml

-

10ml

45ml

아이브로우 펜슬, 립 라이너

1

2

4

-

1

8

염색약

1/60ml

1/60ml

1/60ml

-

1/60ml

4/240ml

매니큐어 제품

-

1

2

-

1

4

아세톤

-

30ml

60ml

-

30ml

120ml

자료원: 몽골 전문감독청(www.inspection.gov.mn)

 

  ㅇ 화장품 통관 절차

    - 화장품의 경우 인증과 등록이 필요없으며 세관에 신고해야 함. 세관 통관절차는 다음과 같음.

        ① 통관신고

         통관 서류 검토

         물품 및 운송 수단 확인

         관세 및 기타 세금을 책정한 후 납부 확인

         신고자에게 허가 발급 또는 수출항 허가 발급

    - (참고) '신고'는 국가 관세구역을 통과하는 물품과 차량에 관한 정보를 통관신고서 양식에 따라 작성하고 필요한 서류를 첨부한 후 관세청에 제출하는 것을 의미

    - 또한 화장품은 샘플 검사 결과서를 다른 필요 서류와 함께 세관에 제출해야 통관 가능


  ㅇ 화장품 관세율

    - 수입하는 화장품에 대한 관세율은 5%, 부가세는 10%이며 통상적으로 관세 및 부가세를 수입자가 지불함.

 

경쟁동향


  ㅇ 몽골 화장품 시장 주요 브랜드

    - 몽골 화장품 시장을 1순위로 점유하고 있는 브랜드는 ORIFLAME 2016년 기준 약18% 점유율을 보임.

    - 현재 몽골 화장품 시장에는 유명 브랜드들이 다 진출됐으며, 몽골 유명 아티스트의 '몽골 화장품 시장은 이미 세계 수준에 달했다'라는 말이 현실적임.

   2016년 몽골 화장품 시장 주요 브랜드 점유율

브랜드명

국가명

현지 수입업체명

시장점유율(%)

1

Oriflame

스웨덴

Oriflame Mongol

18.4

2

Biomon, Mandukhai, Ichcream, Goo 등 국내 제조 화장품

몽골

-

15

3

Yves Rocher

프랑스

Naran beauty world

4.7

4

L’Oréal

프랑스

Nomin Trading, Nano International, Naran beauty world

4.3

5

Shiseido

일본

Bishrelt International

1.9

6

Clarins

프랑스

Tushig Prestige

1.8

7

Tony Moly

한국

Amar stars

1.8

8

Chanel

프랑스

Tushig Prestige, Ulaanbaatar Department Store

1.18

9

Estee Lauder

미국

Tushig Prestige

1.1

10

The Face Shop

한국

Amoon, Eco holiday

1.1

11

L’Occitane

프랑스

Tavanbogd Trade

0.6

12

Dior

프랑스

Perfumelux

0.4

13

Ohui, Whoo

한국

Eco Cosmetics

0.3

14

Coty

미국

Bishrelt International

0.2

15

Lancôme

프랑스

Tushig Prestige

0.18

16

Missha

한국

Uliastain Tenger

0.15

 -

Others

 

 

46.89

 -

Total

 

 

100.0

자료원: KOTRA 울란바토르 무역관 자체 조사


  ㅇ 몽골 화장품 제조업체

    - 몽골에는 몇 년 전만 해도 화장품 제조업체가 3~4개 정도만 존재했으나 최근 들어 급증하는 추세이며, 현지 특수 식물 및 원료를 이용 화장품을 제조하는 것이 현지 소비자와 해외 소비자 관심을 끌고 있음.


몽골 내 화장품 제조업체 개요

순위

기업명

브랜드

이미지

 


1


ㅇ Monos Cosmetic(Монос косметик)

- 설립연도: 1990

- 제조품목: 여성 및 남성 기초 화장품, 핸드케어, 풋케어, 샴푸, 린스 등

- 홈페이지: www.monoscosmetics.mn

Biomo

(Биомон)

    

2

ㅇ Mandukhai Khatan(Мандухай Хатан)

- 설립연도: 1990

- 제조품목: 기초화장품, 핸드크림, 베이비 크림 등

- 홈페이지: www.mandukhai-khatan.mn

Mandukhai

(Мандухай)

3

ㅇ Ich Cream(Ич Крем)   

- 설립연도: 2003

- 제조품목: 기초 화장품

- 홈페이지: https://www.facebook.com/IchCreamLLC/

Ich Cream

(Ич Крем)

4

ㅇ Goo Mongol(Гоо Монгол)   

- 설립연도: 2014

- 제조품목: 보디로션, 비누, 스크럽 제품, 기초화장품, 마스크 등

- 홈페이지: www.goo.mn

Goo

(Гоо)

자료원: 업체 홈페이지


시사점


  ㅇ 몽골 기후 환경에 적합한 고미백, 고탄력 제품 위주로 마케팅 전개 필요

    - 몽골은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로 극히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불며, 고지대의 강한 햇볕으로 인해 피부에 빨리 노화가 옴. 또한 기미나 주근깨가 생기기 쉬운 특성기후임.

    - 따라서 여성들이 기능성 화장품을 선호하는 추세이며, 특히 미백과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품이 인기가 있음. 우리 국내업체들은 미백과 주름개선 효과 있는 제품으로부터 진출하는 것이 유망적임.


  몽골 수입상들은 자국 시장이 협소하다는 이유로 독점권을 요구하는 경향이 보편적이므로, 이에 대한 대비 및 협상 전략이 필요함.


  ㅇ 몽골 화장품 시장에는 한국의 화장품 프랜차이즈 진출이 성공적인 결과를 이루고 있음.   

    - 한국 화장품 브랜드 Missha(2013), Etude house(2014), The Faceshop(2014), Tony Moly(2014), Its skin(2014), Skinfood(2015), Nature Republic(2017) 등이 이미 진출됨.

    - 상기 한국 브랜드들은 매년 매장수를 확대하는 등 성공적으로 사업을 해 한국 화장품 시장점유율이 상승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따라서 몽골 화장품 수입업체 및 소비자 성향은 화장품 프랜차이즈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화장품 프랜차이즈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보임.

 

 

자료원: 한국 관세청 및 한국 HS Code 조회 사이트, 몽골 보건개발센터, 몽골 법률 사이트, 몽골 관세청, 몽골 전문감독청, KOTRA 울란바토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망] 몽골 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