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수단, 美 제재 해제 가능성 앞두고 플라스틱 수요 살아나
  • 트렌드
  • 수단
  • 카르툼무역관 임성주
  • 2017-09-29
  • 출처 : KOTRA

- 한국산 품질 인지도 높아 중저가 중동 HDPE, PP, PVC와 경쟁해 볼 만 -



 

□ 미 경제제재 해제 확정 시 플라스틱을 활용한 소비재 수요 증가 기대


  ㅇ 수단은 1997년부터 테러 지원, 인권 유린 등의 혐의로 인해 미국의 경제 제재*를 받아왔음. 트럼프 행정부는 2017년 10월 해당 제재 해제 여부를 결정할 예정임.
    * 제재의 골자는 미국 기업의 수단 기업 및 금융기관과 무역·금융 거래 금지, 미국 기업의 수단 내 석유화학산업에 대한 투자 금지, 수단 정부 자산 동결 등임.


  ㅇ 21년 만에 제재 해제 확정 시 단기적으로는 무역거래가 증가할 전망임. 중장기적으로는 외국인 투자유치 및 제조업 활성화, 플라스틱 제품 등 소비재 및 인프라 투자를 위한 산업재 중심의 소비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


□ 수단 내 관련 생산기업은 공기업 1개사, 주요 수입 대상 국가는 걸프 연안국과 중국


  ㅇ 수단 내에서 플라스틱 원료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은 Khartoum Petrochemical Co. Ltd.(KPC)가 유일, 해당 회사는 수단 석유공사와 중국 석유공사(CNPC)가 합작해 설립한 기업으로 연간 1만5000~2만 톤 규모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생산 중임.


Khartoum Petrochemical Co

 

대표 플라스틱 수요처 - 수단 최대 생수 브랜드(Safia)

 

 

  ㅇ 2016년 기준 수단 수입시장 규모를 보면 플라스틱 원료(HS Code 3901, 3902, 3903, 3904)류의 연간 수입액은 1억5000만 달러 내외 유지


수단의 플라스틱 원료 연간 수입규모
                                                                                                                                                                  (단위: 백만 달러)

품목명(HS Code)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에틸렌중합체 등(3901)

109.8

99.3

118

111.2

프로필렌·올레핀중합체 등(3902)

10.3

15.9

17.7

13.3

스티렌중합체등(3903)

4.5

3.5

3.3

3.7

염화비닐중합체 등(3904)

9

13.6

16.4

16.6

합계

133.6

132.3

155.4

144.8

자료원: 수단 통계청(Central Bureau of Statistics)


  ㅇ 같은 해 수입시장 점유율 1위 국가는 사우디아라비아로 7000만 달러 이상을 기록, 수단 수입시장의 절반 이상을 장악함. 이외 UAE, 이집트, 쿠웨이트, 중국 제품들이 그 뒤를 잇고 있음.
    - 한국산 제품의 수출 규모는 에틸렌중합체 240만 달러, 프로필렌·올레핀 중합체 80만 달러, 스티렌 중합체 10만 달러, 염화비닐 중합체 450만 달러 등 총 780만 달러 정도로 수입시장 점유율은 5% 내외 기록 중


  ㅇ 사우디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높은 이유는 거리상의 이점에 따른 운송비 절감과 사우디-수단의 긴밀한 외교 관계 등이 정치적 요인으로 작용. 한국산 제품은 물류상의 불리한 점에도 불구하고 품질상의 우위를 가진 것으로 시장에서 널리 인식되고 있음.


수단의 플라스틱원료 주요국별 수입 현황(2016년 기준)

품목명(HS Code)

수입 대상국

수입액(백만 달러)

에틸렌 중합체 등(3901)

사우디아라비아

60.6

UAE

25.8

쿠웨이트

5.8

중국

4.6

이집트

3.1

한국

2.4

프로필렌·올레핀 중합체 등(3902)

사우디아라비아

9.3

UAE

2.2

한국

0.8

중국

0.4

이집트

0.1

대만

0.1

스티렌 중합체 등(3903)

중국

2

대만

0.6

사우디아라비아

0.4

인도

0.2

이집트

0.1

한국

0.1

염화비닐 중합체 등(3904)

이집트

8.5

한국

4.5

사우디아라비아

1.7

대만

0.8

터키

0.3

자료원:수단 통계청(Central Bureau of Statistics)


  ㅇ 플라스틱원료 제품의 대수단시장 수출 관련 호조 요인은 하기와 같음.
    - 인구 4000만 명(1인당 GDP PPP기준 6300달러), 세계 16위 면적(190만㎢)을 보유한 잠재시장
    - 1997년부터 21년째 지속된 미국의 대수단 경제제재 해제 여부 2017년 10월 결정 예정. 제재 해제 시 단기적으로는 수출입 증가할 전망. 중장기적으로는 외국인 투자유치, 제조업 활성화, 플라스틱 제품 등 소비재 수요 증가 기대
    - 플라스틱원료 제품의 관세율은 3%로 매우 낮고 진입 장벽이 높지 않음.
    - 중동 등 주변국들로부터 해당 원료를 손쉽게 공급받음으로써 타 제조업에 비해 플라스틱 제조업이 발달
    · 가구, 파이프, 배관(PVC, PPR), 포장재 등 플라스틱 원료 활용 제조업이 타 제조업보다 발달

 

  ㅇ 반면, 중동 국가들과의 경쟁, 수단 정부의 플라스틱 사용 억제정책 등은 넘어야 할 과제로 판단됨.
    - 중동국가 생산 제품은 물류, 생산 단가면에서 한국산 대비 가격경쟁력 갖춘 것으로 평가
    -  카르툼 시에서는 2018년부터 쇼핑용 비닐백 사용을 금지함. 또한 재활용 확대 정책을 시행하는 등 환경 보호를 위해 플라스틱 제품 사용을 억제해야 한다는 정부와 민간의 인식이 확산됨.
    - 단기적으로는 미국 경제 제재에 따른 자국산 화폐가치 하락, 물가 급등이 플라스틱 등 소비재 수요의 수입 지연, 수요 감소로 이어지고 있음.


□ HDPE·PVC·PP 시장을 놓고 중동국가와 중국, 한국 기업이 경쟁


  ㅇ 수단은 제조업 발달이 극히 미약하나 플라스틱 산업의 경우 일부 배관, 드럼, 병류, 포장재, 가구, 비닐백 생산 공장 존재
    - 이들 기업은 해당 원료를 직접 수입하기도 하고, 해당 분야에 특화된 전문에이전트를 통해 수입하기도 함.
    - 수단 정부는 외환관리를 위해 수출입 기업을 통제하고 있으며, 극히 제한된 기업만이 정부에 등록 수출입 활동을 하고 있음. 이들 대부분은 수입대금 외환 결제 등을 위해 두바이 등 제3국에 협력사 보유


  ㅇ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료는 폴리에틸렌(HDPE)과 PVC이고, 폴리프로필렌(PP) 수요도 존재


  ㅇ 수단 내에서 가장 잘 알려진 브랜드는 사우디의 Sabik·Tusnee·Alwaha·Marlix와 UAE의 Brooj, 카타르의 Babco, 한국의 LG석유화학, 수단의 로컬기업인 KPC 등임.
    - LG 석유화확 제품은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고 다수 공장에서 사용 중


□ 플라스틱 원료 산업 관련 전시회 및 수입 제도


  ㅇ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for chemical & Plastic Industries (www.nilechemex.com)
    - 기간 및 장소: 2017년 11월 22~25일, Khartoum International Fairgrounds.
    - 주관: Vision CO.

 

  ㅇ Khartoum International Fair
    - 기간 및 장소: 2018년 1월 22~29일, Khartoum International Fairgrounds.
    - 주관: The Sudanese markets & Free Zones Co.

 

  ㅇ 플라스틱 원료 수입에 대한 특기할 만한 규제사항은 없음. 단, 수입업자는 해당 제품 수입 및 판매를 위해 수단 표준협회(SSMO: Sudanese Standards and Metrology Organization)에 제품을 등록해야 함.
    - SSMO에 등록 시 제품 데이터, 시험성적서, 선적 서류 등을 첨부해야 함. 최초 수입 시 서류, 샘플테스트를 거쳐야 함.
    - 수입 전 서류 및 샘플 검사를 받고, 통관 시 제품과 상기 서류 간 일치 여부를 검사받음.
    - 해당 제품 수입관세는 3%지만 하기와 같이 VAT, 개발세, 영업수익세 등을 수입자가 일괄 납부해야 함. 이를 감안한 수출가격 책정 필요
 

플라스틱원료 판매 시 세금 부과 내역

HS Code

관세

VAT

개발세(development Tax)

영업수익세

3901, 3902, 3903, 3904

3%

17%

13%

3%

자료원: 수단 관세청(Sudan Custom Authority Statistics)


□ 시사점


  ㅇ 수단 정부는 남수단 독립(2011년)에 따른 유전지대 상실, 저유가에 따른 석유 수출 감소분 만회를 위해 플라스틱, 자동차 등 제조업 육성 및 수출산업화 목표*를 제시한 상태
    * 2015~2019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핵심은 농축산업, 광업, 제조업 육성 및 수출산업화임.


  ㅇ 아직 그 가능성을 점치기는 어려우나 2017년 10월 미국 경제제재 해제 시 무역, 외국인 투자 활성화, 제조업 및 수요 증가로 플라스틱 제품 등 소비재 시장 확대 기대


  ㅇ 수단 플라스틱 원료 시장은 물류 및 단가면에서 우세한 걸프국들이 지배하고 있지만, 한국산의 우수한 품질에 대한 인지도 바탕으로 적극적인 마케팅 전개 시 시장 확대 여지가 높은 것으로 평가
    - 미 제재 해제 전까지는 출장 등을 통한 거래선 검증, 저개발 국가에 맞춘 적정가격 제시 및 결재 조건의 유연화를 통해 신규 거래선을 발굴하고, 제재 해제 가능성에 대비한 모니터링, 진출 방안 마련 등 사전 준비도 필요



자료원: 수단 통계청, 수단 엔지니어링협회(Chamber of Engineering Industries),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카르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수단, 美 제재 해제 가능성 앞두고 플라스틱 수요 살아나)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