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중국, 러시아 시장 진출 급속 확대
  • 투자진출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15-03-18
  • 출처 : KOTRA

 

중국, 러시아 시장 진출 급속 확대

- 서방의 러시아 경제 제재를 러시아 시장 진출 확대 호기로 활용 –

- 2015년 교역규모 1000억 달러 전망 -

 

 

 

□ 중국, 러시아와 경제 협력 강화

 

 ○ 러시아 - 우크라이나 분쟁에 따른 서방의 러시아 경제 제재 조치 시행을 기점으로 최근 러시아와 중국의 경제협력이 한층 강화되고 있음.

 

 ○ 서방의 경제 제재 조치와 국제 유가 하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러시아는 중국에 대한 경제 분야의 과도한 의존을 의식해 공식적으로는 중국의 정치적인 지원을 원한다고 밝힘.

 

 ○ 그러나 2010년 이후 중국과 러시아는 국제무대에서 정치 분야뿐 아니라 경제분야에서도 급속도로 가까워지고 있으며 교역규모 또한 금년 중 10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됨. 이와 함께 중국의 대(對)러시아 투자금액도 2013년 이후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중국의 대(對)러시아 직접 투자액 현황(2006~2013년)

                                                                                                             (단위: 100만 달러)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470

438

240

410

594

303

660

4,080

자료원: 러시아 경제 발전부

 

러시아-중국 교역액 현황(2003~2014년)

                                                                                                            (단위: 100만 달러)

 

총 교역액

러시아의 대(對)중국 수출액

중국의 대(對)러시아 수출액

2007년

48,164

19,676

28,488

2008년

56,830

23,825

33,005

2009년

38,795

21,282

17,513

2010년

55,448

25,836

29,612

2011년

79,248

40,345

38,903

2012년

88,157

44,100

44,057

2013년

89,205

39,599

49,606

2014년(1~9월)

70,797

31,365

39,432

자료원: 러시아 경제 발전부

 

□ 중국 – 러시아 간 경제분야 별 협력 현황

 

 ○ 에너지 분야

  - 2014년 러시아는 중국정부와 향후 30년간(2018~2047년) 천연가스 약380억 입방 미터를 공급하는 4000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가스공급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 러시아는 최근 유럽지역의 러시아산 천연 가스 수입 규모 축소 움직임에 따라 새로운 천연가스 수출 시장 확보 차원에서 중국에 대한 천연가스 공급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향후 추가적인 수출 계약도 예상되며 가스 외에도 석유를 포함한 다양한 자원분야 협력이 가시화되고 있음.

 

러시아 국영 가스프롬(Gazprom)의 대(對)천연가스 공급계획

자료원: 가스프롬(Gazprom)

 

 ○ 자동차 분야

 

  - 중국은 2000년대 중반에 저가 제품을 앞세워 러시아 시장에 의욕적으로 진출했으나 초기 깜짝 판매호조 이후 제품의 내구성 및 AS 등의 문제로 러시아 소비자에게 외면 받은 바 있으나 최근 품질이 향상된 SUV 등의 모델을 앞세워 러시아 시장을 재공략하고 있음.

  - 아직까지는 판매량이 미미한 수준이지만 체리(CHERY), 지리(GEELY), 리펑(LIFAN), 그레이트 월(GREAT WALL) 등 주요 브랜드 대부분이 현지 마케팅을 강화하고 현지 생산거점 확보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음.

 

중국 자동차의 러시아 시장 판매현황(1~3월 기준)

자료원: Association of European Business

 

  - 체리 자동차는 2014년 러시아 중부의 체르케스크(Cherkessk)에 조립 공장을 설립해 9월 한달 동안 약 300대의 트럭을 생산했으며 일부 세단 및 SUV 차량도 생산하고 있음. 향후 러시아 시장에 최적화된 제품의 개발 및 생산을 추진하고 있으며 CIS 국가로의 진출확대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 리펑 자동차도 중부 러시아 경제자유구역에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음. 2017년 러시아 중부의 리페츠크(Lipetsk) 지역에 공장을 설립할 계획으로 현지정부와 약 3억 달러 규모의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함. 이 업체는 여기서 연간 약 6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할 계획임.

 

 ○ 부동산 분야

  - 국제 부동산 전문 컨설팅기업 CERE는 아시아계 투자자의 대(對)러시아 부동산 투자액은 2015년 약 5억 달러 정도로 전망되며 중국 자본의 투자가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함. 실제로 최근 중국 투자자들은 모스크바의 ZIL산업특구(ZIL INDUSTRIAL ZONE)를 포함해 NEW MOSCOW 프로젝트 내 지하철, 주택단지 및 상업시설 투자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외에 블라디보스톡과 레닌그라드주(뻬쩨르부르그)의 신규 항만개발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음.

  - 2015년 2월에는 중국계 자본의 투자로 모스크바에 약 10만 S/M 규모로 종합 비즈니스 센터 건립 착공식이 열린바 있음.

 

 ○ 수입대체 품목

  - 각종 과일 및 채소류

  - 2014년 1~11월 기간 중 러시아와 중국 간 국경(Manchuria)교역을 통해 반입된 중국산 과일 및 채소류의 수입액이 1억4000만 달러에 달해 2013년 같은 기간에 비해 20% 증가됨.  최근 중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및 유럽산 제품 수입제한 조치 시기를 틈타 러시아 인접 국경근처에 농산품 생산 특별구역을 설립하고 신선제품 물류창고를 건설해 토마토, 오이, 고추, 양파, 감자, 당근 등 과일과 채소류의 대(對)러시아 수출을 확대하고 있음.

  - 러시아 정부도 당장 수입 제한된 각종 야채 및 과일류의 대체수입국가로서 인접한 카자흐스탄을 포함해 중국산 상품의 수입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음.

  - 한편 중국 외에도 러시아는 최근 육류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과일류는 칠레 등 남아메리카 국가들과 교역을 확대하고 있음.

 

 ○ 기타 분야

  - 방산 및 항공 분야 : 최근 러시아는 방산 및 항공분야 각종 전자제품의 중국산 제품 구매를 확대하고 있음. 정확한 수입규모 자료는 없으나 연간 수입액이 수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 에너지 분야 : 서방의 러시아 에너지 개발 분야에 대한 자금 지원 및 관련 기술 수출 제한으로 심해 채굴 장비 등의 중국산 제품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의료 분야 : 러시아는 최근 미국 및 유럽의 의약품 및 의료장비 수입대체를 위해 일부 고품질이 요구되는 제품을 제외하고 전방위로 수입을 확대하고 있음. 러시아의2014년 중 의약품 수입 규모는 약 6500만 달러에 달함.

 

□ 시사점

 

 ○ 러시아 현지 전문가들은 서방의 경제 제재 이후 중국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대해 우호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중국에 대한 정치, 경제의 의존도가 심화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우려의 시선을 나타냄.

 

 ○ 특히 서방의 영향력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중국은 유럽 등 주요 경쟁국이 사라진 상황에서 식품, 의약품 및 에너지 분야 등에서 러시아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의 투자진출에도 매우 적극적인 행보를 보임.

 

 ○ 현재 러시아 루블화가치는 2014년의 같은 시기에 비해 달러화 대비 거의 반 토막이 난 상태로 국제 부동산 투자자로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중국 투자가들에게 러시아는 신규 투자처로 각광 받고 있음. 실제로 최근 모스크바 등 수도권을 비롯해 인접한 극동지역 등에서 각종 투자 프로젝트가 추진 중이거나 신규로 검토되고 있음.

 

 ○아직 우크라이나 사태가 확실히 해결되지 않아 러시아의 경제 기반이 약화돼 경제 회복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됨. 향후 정치적 불확실성들이 해소된 이후에는 러시아에서 중국의 위상이 매우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 다행히 기존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러시아 시장을 이탈하는 상황이 아직까지는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기존의 거래관계 유지를 위해 나름대로 열심히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그러나 향후 2~3년 이후를 대비한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국내기업의 대응은아직 미흡한 수준임. 또한 러시아 정부가 현위기 타개를 위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을 확대하려 하고 있어 현 시점을 생산거점 구축을 통한 현지화 기회로 적극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함.

 

 

자료원: Ria novosti, Tass, Chem-Courier agency 등 주요 일간지,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러시아 시장 진출 급속 확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