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영국 경제 전망 및 최근 한영 교역현황
  • 경제·무역
  • 영국
  • 런던무역관 배열리미
  • 2018-05-24
  • 출처 : KOTRA

- 올해 영국 GDP 성장률은 1.5~1.6%대, 민간 소비는 전년대비 약 1%대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 -

- 18 1분기 우리나라의 대영 수출액은 12.4억불로 전년 동기대비 2.9% 증가 -

 

 

 

□ ’18년 영국 경제 전망

 

  ㅇ (GDP) 17년 영국의 GDP 성장률은 1.7%였으며, 영국정부 및 민간기관이 예측한 ’18 GDP 성장률은 1.5~1.6%대일 것으로 추정

 

주요 경제지표 예측치 (단위 : %)

 구 분

예산책임처(OBR) 예측치

('18.3)

재무부(HM Treasury) 예측치

('18.2)

PwC 예측치

('18.3)

  '18

  '19

  '18

  '19

  '18

  '19

실질 GDP 성장률

(Real GDP Growth)

1.5

1.3

1.6

1.5

1.5

1.6

민간소비 증가율

(Consumer spending Growth)

0.9

0.9

1.2

1.3

1.1

1.3

인플레이션

(CPI)

2.4

1.8

2.6

2.2

2.7

2.3

 자료원 : 예산책임처(OBR), 재무부(HM Treasury), PwC 

 

    - 그러나 영국 통계청(ONS)이 발표한 ’18년도 1분기 영국의 GDP 성장률은 2012년 이래 가장 낮은 0.1% 성장(잠정치)에 그쳤음.

    - BBC의 언론보도에 따르면, 영국 통계청의 국가재정책임관인 Rob Kent-Smith는 제조업 성장 침체와 건설 및 소비산업의 경기하락이 1분기 GDP 성장 둔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힘. 그러나 이는 초기 잠정치이며, 여타 다른 경제학자들은 영국의 1분기 성장률이 향후 0.3%까지 수정될 가능성도 언급하고 있음.

 

영국의 분기별 GDP 성장률

(단위 : %, 2008~2018)

EMB000036444d8b

자료원 : BBC (원자료 : ONS)

 

  ㅇ (민간 소비) 주택 및 공공요금에 대한 지출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되며, 올해 민간 소비는 전년대비 약 1%대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됨.

    - 기타로 분류된 금융서비스와 개인 생활용품(Personal Care)에 대한 지출도 상대적으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 반면 식료품, 의류 및 신발에 대한 총 지출 비율은 장기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


  ㅇ (인플레) 환율 및 세계 원자재가격의 큰 변화가 없다고 가정 시, 인플레이션은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

 

부문별 민간소비 지출 (단위 : %)

  구 분

 부문별 가계 소비지출 비중

 실질 성장률

 '18(잠정)

'20(잠정)

'30(잠정)

 '18~'20(잠정)

 '21~'30(잠정)

주류 및 담배

3.5

3.4

2.9

0.6

0.3

의류 및 신발

5.5

5.3

4.3

0.4

0.2

통신(커뮤니케이션)

2.0

2.0

2.0

1.3

2.3

교육

1.8

1.8

1.7

1.5

2.0

식료품

7.9

7.5

5.5

1.2

1.1

가구 및 비품

5.0

5.0

4.9

1.8

1.7

보건·건강

1.8

1.8

2.0

1.6

2.6

주택 및 공공요금

27.1

27.5

30.8

2.5

3.1

기타상품 및 서비스

13.4

13.7

14.9

2.7

2.8

오락 및 문화

9.6

9.7

9.9

2.0

2.3

숙박 및 요식업

9.3

9.3

9.4

1.4

2.1

교통

13.1

13.0

11.8

0.6

1.1

전체

100

100

100

1.5

2.0

자료원 : PwC, UK Economic Outlook (18.3)

 

□ 영국 5대 산업분야별 전망

 

5대 산업분야

(GVA 비중)

  성장률(%) 

 주요 이슈/동향

'17

'18

'19

제조업(10%)

2.8

2.7

1.7

파운드화 약세 및 유로존의 경기회복으로 최근 몇 달간 제조PMI지수 상대적으로 견고

건설(6%)

5.1

0.1

1.6

171/4분기에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였으나 건설PMI는 최근 몇 달간 약세 기록

유통·숙박업·

요식업(14%)

1.7

1.0

1.4

파운드화 약세로 관광업 호황

그러나 수입가격 상승 및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유발되어, 소비자의 실질지출액 증가를 상쇄시킴.

비즈니스·

금융서비스(31%)

1.8

2.2

2.0

EU 금융시장으로의 자유로운 접근권한(금융 Passport) 상실 우려 존재

일부 은행 및 금융권의 해외 이전 준비 가능성 상재

공공 및

기타서비스(23%)

0.2

0.9

1.2

공공서비스 분야는 타이트한 예산에 직면해있지만, 향후 2년간 재정 긴축 기조가 완화될 것으로 예상됨.

GDP 전체(%)

1.7

1.5

1.6

-

 자료원 : PwC, UK Economic Outlook (18.3)

* 17년은 영국 통계청(ONS) 추정치이며, 18년과 ‘19년은 PwC 시나리오 예측치

 

  ㅇ 영국 총부가가치(GVA) 비중의 85%를 차지하는 5대 산업분야는 제조업(10%), 건설(6%), 유통·숙박·요식업(14%), 비즈니스·금융서비스(31%), 공공 및 기타서비스(23%).

 

  ㅇ (제조업) 파운드화 약세에 따른 수출 호조로 ’17 2.8% 성장을 기록, 올해도 작년과 비슷한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

 

  ㅇ (건설) 영국정부는 인프라 투자확대로 민간건설 분야의 위축을 상쇄시키려 하지만 올해는 0%대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

 

  ㅇ (유통·숙박·요식업) 16년에는 5%대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17년에는 1.7%로 성장률 하락, 올해는 1%의 성장만 기록할 것으로 예측

 

  ㅇ (비즈니스·금융서비스) 연간 2%대의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일 기록할 것으로 전망

 

  ㅇ (공공 및 기타서비스) 공공서비스분야 긴축재정 완화로 향후 2년간 약 1% 전후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임.

 

□ 영국의 FDI(Foreign Direct Investment)

 

  ㅇ OECD 통계에 따르면 ’17년 영국으로 유입된 FDI는 약 151억불로, 전년 대비 92% 하락

 

영국 FDI 유입(단위 : 백만 달러)

구분

16(잠정치)

17(잠정치)

1분기

51,775

-1,173

2분기

-3,799

-3,822

3분기

39,099

13,358

4분기

108,960

6,734

연간 합계

196,034

15,098

자료원 : OECD

 

  ㅇ 가디언지도 영국 기업등록소(Companies House)의 수치를 인용, 2016/17년도 기준 영국 내 네덜란드 기업의 등록 수는 52% 감소, 프랑스기업 등록 수는 전년대비 48%, 벨기에 기업은 38% 하락하였다고 보도. 민간대출기업인 Evolution Money의 마케팅 담당책임인 Lynne Hardwick은 “EU기업 등록의 감소는 해외기관들이 영국 경제를 비즈니스하기에 안전한 곳으로 여기게 되지 않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감을 표시하기도 함.

 

□ 최근 한영 교역동향

 

  ㅇ ’17년 한국의 대영 수출은 81억2000만 달러 수입은 63억2000만 달러, 18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 기록

    - 영국은 한국의 14대 수출대상국이자, 18대 수입대상국(17)

 

  ㅇ ’18 1분기 대영 수출액은 12억4000만 달러불로 전년 동기대비 2.9% 증가, 대영 수입액은 16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0.6% 상승

 

한영 연도별 교역 현황 (단위: 억 달러 , 전년 동기대비 %)

  구분

'11

'12

'13

'14

'15

'16

'17

'18.3

수 출

금액

49.7

49.0

47.3

57.8

73.9

62.9

81.2

12.4

증가율

10.5

1.5

3.5

22.3

27.8

14.9

29.2

2.9

수 입

금액

38.2

63.7

61.9

74.5

61.3

52.1

63.2

16.3

증가율

16.9

66.8

2.7

20.2

17.7

14.9

21.2

0.6

무역규모

87.9

112.7

109.2

132.3

135.2

115.0

144.4

28.6

무역수지

11.5

14.7

14.6

16.7

12.6

10.8

18.0

3.9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 대영 10대 수출입 품목

 

  ㅇ (수출) 17년 대영 수출 1위 품목은 해양구조물이며, 주요 수출품인 승용차, 선박, 항공기 부품, 자동차부품이 2~5위를 차지

    - 지난해 10위권 밖에 있던 축전지, 무선전화기, 타이어 품목이 10대 수출품목으로 진입

 

  ㅇ (수입) 17년 대영 수입 1위 폼목은 원유이며, 승용차, 의약품, 원동기, 주류는 지난해에 이어 견실한 호조세를 유지

    - 그림, 계측기, 농약이 전년대비 상승세를 보이며 ’17 10위권 내 진입

 

對英 10대 수출입 품목 (17년, 단위 : 백만 달러, %)

  순위

  수출 

  수입 

  품목명

  금액

  증가율

  품목명

  금액

  증가율

1

해양구조물

2,614

865.3

원유

1,907

149.4

2

승용차

1,507

9.1

승용차

951

10.2

3

선박

843

41.5

의약품

251

0.1

4

항공기부품

371

15.8

원동기

167

29.4

5

자동차부품

240

8.4

주류

148

9.0

6

건설중장비

192

37.1

백금

133

8.0

7

축전지

143

88.5

그림

116

786.1

8

무선전화기

126

142.2

계측기

114

0.9

9

합성수지

101

21.8

합성수지

107

23.5

10

타이어

98

38.3

농약

794

41.2

자료원 : 한국무역협회, MTI 4단위 기준

 

□ 시사점 및 전망

 

  ㅇ (영국 경제) 17년 영국의 GDP 성장률은 1.7%였으며, 18 GDP 성장률은 1.5~1.6%대일 것으로 예측됨.

    - 18년도 1분기 영국의 GDP 성장률은 제조업 성장 둔화 및 건설 및 소비서비스 관련 산업의 경기가 하락하면서 2012년 이래 가장 낮은 0.1% 성장에 그쳤는데, 이는 초기 잠정치인 만큼 0.3%까지 수정될 가능성도 있음.

    - 민간 소비의 경우 전년대비 약 1%대의 증가율을 보일것으로 예측되며, 주택 및 공공요금에 대한 지출이 가장 클 것으로 보임. 또한 식료품, 의류 및 신발에 대한 총 지출 비율은 장기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

 

  ㅇ (5대 산업분야) 영국 총부가가치(GVA) 85%를 차지하는 5대 산업분야는 제조업, 건설, 유통·숙박·요식업, 비즈니스·금융서비스, 공공 및 기타서비스이며, 올해는 산업분야별로 1.2~2.0% 사이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됨.

    - 제조업은 파운드화 약세 흐름 속 작년과 비슷한 수준의 성장이 기대되며, 비즈니스 및 금융서비스 분야는 브렉시트에 따른 금융 패스포트 상실 우려 속에서도 연간 2%대의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그러나 건설 및 유통·숙박·요식업은 전년대비 산업 성장이 침체되거나 둔화될 우려감 존재

 

  ㅇ (한영 교역) 올해 1분기 우리나라의 대영 수출액은 12억4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9% 증가하였으며, 대영 수입액은 16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0.6% 상승 기록



자료원 : PwC, 영국 예산책임처(OBR), 영국 재무부(HM Treasury), 영국 통계청(ONS), 영국 기업등록소(Companies House), BBC, OECD, 한국무역협회, 가디언지, 런던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영국 경제 전망 및 최근 한영 교역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