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자연 건강식품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워싱턴DC무역관 이현경
- 2018-10-27
- 출처 : KOTRA
-
- 미국 인구의 건강식(Healthy Eating)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 건강식품의 수요 또한 증가할 전망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홍삼을 포함하는 자연 건강식품
ㅇ HS Code: 210690 홍삼, 인삼 등을 포함하는 따로 분류되지 않은 조제식품류
- 한국에서는 홍삼제품이 210690302로 분류돼 있으나, 미국 내 해당 HS code는 존재하지 않아, 1302194120 및 1302194020으로 분류함. 통계 집계 목적으로 해당 HS code 130219을 사용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글로벌 산업 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 monitor)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미 자연 건강식품 시장규모는 약 55억 달러에 달하며, 이 시장은 연평균 3% 성장해 2023년 약 66억 달러에 달하는 시장으로 성장할 전망
ㅇ 보고서 원문은 Herbal and Traditional Products로, 여기서는 이해를 높이기 위해 자연 건강식품으로 표기함. 이 시장은 화장품, 치약 등의 생활건강제품 등을 포함함.
- 이 시장에서 식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74% 정도로, 55억 달러의 시장규모 중 41억 달러를 차지
- 자연 건강식품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약 3.6%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보일 전망
미국 자연 건강식품 시장동향
(단위: 백만 달러, %)
자료원: Euromonitorㅇ 현재 미국 인구의 건강식(Healthy Eating)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허브 및 전통식품과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할 전망
- 세계적 조사기관 IBIS World의 Healthy Eating Index*는 2017년 기준 0.66에서 2023년 0.70으로 증가할 전망
* 평균 미국인 소비하는 식단 중 농무부(US Department of Agriculture)에서 발표하는 권장 식단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수로, 2023년에는 건강식이 미 인구 식단의 70%를 차지할 전망
미 인구의 Healthy Eating Index 추세
자료원: IBIS World
ㅇ 미 경제 호황이 지속되고 미 소비자의 가처분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해당 식품에 가용할 수 있는 소득이 증가
- 미국의 일인당 가처분소득은 US$1만4300대에 머물렀던 2017년 대비 2018년 5월 US$1만4929로 약 4% 상승함.
ㅇ 한국인삼공사(Korea Ginseng Corp)의 홍삼건강식품 경우 미 시장점유율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
- 2013년 전체 시장의 0.4%를 차지하고 있던 KGC의 제품은 2018년 현재 0.6%의 시장점유율을 기록
- 2018년 기준 자연 건강식품 시장은 약 70%를 기타 제조업체가 차지하고 있으며,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업체는 Mondelez International Inc.(7.2%), Ricola Inc(3.5%), Performance Health Inc(2.6%) 순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2017년 미국의 HS 130219은 전년 대비 약 8.35%의 성장률을 보여 약 7억4000만 달러를 기록
- 주요 수출국으로는 중국, 인도, 프랑스, 호주 순임. 2016년 대비 가장 높은 수출성장률을 보인 국가는 호주와 한국임(각 75%, 46%).
- HS 130219 대미 수입 시장은 중국과 인도가 50%를 넘게 점유하고 있음.
- 미국 1위 수입국인 중국의 점유율은 2015년 31.14%에서 2017년 27.69%로 점차 하락하는 추세인 반면, 인도와 한국의 점유율은 증가하고 있음.
미국 자연 건강식품 국가별 수입동향(HS 130219)
(단위: US$, %)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15
2016
2017
2015
2016
2017
-
전체
648,012,830
691,700,318
749,451,383
100
100
100
8.35
1
중국
201,769,563
211,112,875
207,533,915
31.14
30.52
27.69
-1.7
2
인도
141,786,172
170,977,812
186,612,979
21.88
24.72
24.9
9.14
3
프랑스
67,780,593
66,442,618
74,695,484
10.46
9.61
9.97
12.42
4
호주
32,555,585
24,456,986
42,750,918
5.02
3.54
5.7
74.8
5
스페인
28,406,105
34,074,221
38,751,896
4.38
4.93
5.17
13.73
6
독일
15,114,500
27,693,007
34,614,156
2.33
4
4.62
24.99
7
이태리
23,974,216
32,709,174
29,041,096
3.7
4.73
3.87
-11.21
8
멕시코
29,875,061
26,646,037
25,846,746
4.61
3.85
3.45
-3
9
스위스
6,149,923
13,087,222
14,884,881
0.95
1.89
1.99
13.74
10
한국
6,434,920
9,310,098
13,628,663
0.99
1.35
1.82
46.39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한국의 2017년 HS 130219 대미 수출액은 2016년 대비 약 46.39% 증가한 1363만 달러를 기록
- 2017년 전체 대미 수출액이 약 8% 성장한 가운데 한국의 대미 수출액은 약 두 배 가까이 성장
- 2017년 한국의 대미 수출액은 전체 대미 수출액의 약 1.8%를 차지하며 10위를 기록했으며, 지난 3년간 한국의 점유율은 지속 증가했음.
- 전체 130219류의 대미 수출 중 홍삼제품은 2017년 기준 약 42%를 차지
미국 자연 건강식품 대한국 수입동향
(단위: US$, %)
HS Code
2013
2014
2015
2016
2017
홍삼제품 점유율*
130219
5,746,459
6,716,261
6,434,920
9,310,098
13,628,663
100
1302194020
4,115,561
4,973,929
3,777,680
4,877,416
1302194120
5,745,311
42
주: 1) 2017년부터 홍삼제품류의 HS Code가 1302194120으로 변경됨에 따라,
2017년 이전 통계는 HS code 1302194020으로 집계
2) 점유율은 2017년 기준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ㅇ HS Code 13021941은 중국이 홍삼제품의 대미 수출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한국이 2위로 양국의 미 수출 시장점유율은 약 2.5% 차이- 미중 통상갈등이 심화됨에 따라 한국 제품이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음.
홍삼제품류(1302194120)의 중국 및 한국 대미 수출 경합
(단위: US$, %)
국가
2015
2016
2017
점유율
전체
19,752,721
25,216,833
17,901,300
100
한국
4,877,416
5,867,050
5,745,741
32.09
중국
5,466,763
7,253,137
6,200,741
34.64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신제품의 출시가 잦고 천연제품에 대한 규제가 약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낮아 다수의 기업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특징을 보임.
- 시장 선도업체도 점유율이 두 자리에 미치지 못하며, 시장의 70%가 기타 업체들로 이뤄져 있음.
ㅇ 가장 점유율이 큰 업체는 Mondelez International Inc.(7.2%)로 Halls와 같은 목캔디류 등을 판매하고 있음. 두 번째로 큰 업체인 Ricola, Inc.(3.5%)의 경우 꿀, 레몬, 생강 등을 함유한 기침을 멎게 하는 사탕류 등을 판매
- 동양적 특성이 강한 홍삼 및 허브(Herbal)가 포함된 건강보조제 등이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음.
- 식품뿐만 아니라 천연성분을 포함한 로션, 치약, 국소진통제류의 바이오프리즈(Biofreeze)나 호랑이 연고 등의 점유율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ㅇ 미국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인도와 유럽은 자연 건강식품 섭취가 건강보조제 혹은 치료 목적으로 매우 보편화돼 있음.
- 프랑스의 경우 전체 인구의 40%가 자연 건강식품을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며, 30% 정도의 의사가 해당 제품을 처방하고 있음.
- 식품뿐만 아니라 생활용품, 치약, 로션, 비누 등으로 제품군을 다양화해 미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음.
□ 유통구조
ㅇ 이 제품의 경우 약 76.8% 정도가 편의점, 슈퍼마켓 등의 소매업체를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나머지 23.2% 정도가 인터넷 및 홈쇼핑 등을 통해 판매
- 디스카운트 판매를 통해 그 세력을 확대해나가고 있는 하이퍼마켓(Hypermarket)의 유통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판매도 증가하는 추세
- 점차적으로 전통적인 소매 판매보다는 인터넷 판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
미 유통구조자료원: Passport, Euro monitor
□ 관세율, 수입규제 및 인증
ㅇ HS 13021941 관련 미국의 일반 수입관세는 kg당 1%이나, 한국의 경우 FTA가 적용돼 무관세임.
HS 13021941 관세율
일반 관세율
한국 FTA 적용 관세율
1%
0%
자료원: US ITC
□ 시사점
ㅇ 현재 미 수출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중국산 제품이 미중 통상갈등으로 인해 한국산 제품이 상대적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음.
-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수입되는 전체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표한 바 있음.
ㅇ 미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천연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시점에서 홍삼의 효능을 적극적으로 홍보해 미국 내 한국인뿐만이 아닌 현지인에게 홍삼에 대한 인식을 높일 필요가 있음.
ㅇ 인도 및 유럽 등의 업체는 천연성분을 함유한 로션, 치약 및 화장품 등 제품을 차별화해 자연 건강식품(제품)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음. 현재 K-Beauty가 미국 내 인지도를 높여가는 시점에서, 홍삼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전통 천연성분을 포함한 화장품 등을 출시해 적극 홍보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음.
자료원: Euromonitor, Ibis World, US ITC, Global Trade Atlas 및 KOTRA 워싱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자연 건강식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건강기능식품 시장동향
미국 2022-12-02
-
2
美 기능성 식품 시장동향
미국 2021-09-23
-
3
베트남 인삼 시장동향
베트남 2021-10-13
-
4
일본 내 인삼 식품 시장동향
일본 2021-07-01
-
5
중국 인삼 산업 동향
중국 2020-08-11
-
6
독일 인삼 시장동향
독일 2019-06-20
-
1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2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3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4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
-
5
2021년 미국 사이버 보안 산업
미국 2022-01-04
-
6
2021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2-01-03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