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 사우디 농업 전시회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염광선
- 2018-10-25
- 출처 : KOTRA
-
- 사우디 지속 가능한 식량안보 달성 위한 농업 박람회 -
□ 개요
ㅇ 국제 농업 박람회 The 37th Int’l. Trade Show for Agriculture, Aquaculture & Agro-Industry가 사우디 환경수산부 후원으로 2018년 10월 7~10일 사우디 리야드에서 진행
- 사우디는 비전 2030 계획에 따라 경제 다변화 및 식량안보 달성 위해 농수산 분야 지속 투자
ㅇ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
The 37th Int’l. Trade Show for Agriculture, Aquaculture & Agro-Industry
기간
2018년 10월 16~17일
장소
사우디 Riyadh International Convention & Exhibition Center
분야
농업
홈페이지
http://saudi-agriculture.com/
전시장 전경
자료원: KOTRA 리야드 무역관
□ 전시회 특징
ㅇ 2018년 올해 37회를 맞는 사우디 농업 전시회는 전 세계 최신 농업 기술 트렌드 전시
- 사우디 비전 2030 계획 하 경제 다각화 및 지속 가능한 식량안보 달성 위해 전략적으로 농업 분야 투자
- 해당 전시회는 사우디 농업에 최신 기술을 전수하는 플랫폼 역할
□ 사우디 농업 시장 현황
ㅇ 5개년 개발 계획으로 농업 부문 육성 및 확장 위해 사우디 정부의 집중적 노력
- 댐, 담수화 시설 및 물 처리 네트워크에 지속 투자
ㅇ 자급자족을 목표로 하는 양계 사업
- 식용 닭 자급률 2016년 기준 42%에서 2020년까지 60%까지 증대 목표
- 목표 달성 위해 가금류 수입관세를 기존 5%에서 2017년 20%로 인상
- 가금류 사육시설 구입비 및 사료 보조금 도입, 2017년 245억 달러 규모 자금 승인
- 사우디 정부의 지원에 따라 양계업자들은 생산량 대폭 증대 계획이나 최근 사료가격의 폭등으로 공급가격 상승이 걸림돌
ㅇ 생산성 측면에서 선도하는 낙농업
- 2017년 사우디내 총 36만4958두의 소 목축
- 사우디 최대 유제품기업 Almarai의 2017년 우유 생산량은 2015년 대비 22% 증가한 15억 리터를 기록, 올해 더욱 증가할 전망
ㅇ 과일 및 야채 등 대체 생산활동에 대한 투자 장려 및 고급 재배 기술 도입
- 고급 재배 기술 도입 불구, 엄격한 물 절약 조치로 2017년 기준 곡물, 과일, 채소 생산량은 17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3%로 소폭 증가
- 곡물, 과일, 채소는 물 절약 조치와 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성장 전망
ㅇ 생산 비용 증대에 따른 압박 심화
- 사우디 정부는 2019년 완전 시장자유화까지 점진적으로 연료 보조금 축소 계획
-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도입되는 외국인 근로자 비용
□ 전시회 리뷰 및 시사점
ㅇ 사우디 농업 전시회는 사우디 비전 2030 계획에 따른 경제 다각화와 농촌 지역 균형발전 및 식량 안보를 위한 전시회로 다양한 투자기관 및 업체들이 참여해 네트워킹 기회를 가짐.
- 올해 37회를 맞는 농업 전시회는 사우디 농업 분야 대표 전시회로서 33개국 다양한 업체 참여
ㅇ 사우디 정부의 전폭적 지원으로 사우디의 농업 분야에 대한 관심도 및 정책 방향을 직접적으로 접할 수 있었던 기회
- The Saudi Exports Development Authority의 마케팅통신담당, Mazen O. Aljasser 국장은 사우디 농업 전시회를 이 분야 최대 행사로 묘사하며 향후 농부, 엔지니어, 농장주, 무역상 등 식품 보안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 전문가들을 지속 초청할 것이라고 함.
ㅇ 사우디 비전 2030에 의한 현지화 정책(Localization)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적 파트너십 구축 필요
- 온열램프 전문기업 Interheat, 동물사료 제조기업 Lotus A.C.T, 유기농 비료 및 자재기업 Vision Korea 등 한국 기업 3개사 참여
- IoT 활용 스마트 농장 등 한국의 우수한 농업 기술을 적극 홍보하고 이에 관심 있는 파트너를 발굴해 협력적 관계 구축 및 현지화 전략 마련 요망
자료원: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18 사우디 농업 전시회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식량안보 강화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2020-10-27
-
2
2019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수처리 전시회 참관기
인도네시아 2019-10-16
-
3
Gulfood Manufacturing과 ISM Middle East 2023 참관기
아랍에미리트 2023-11-21
-
4
2022년 베트남 인프라 산업 현황 및 전망 살펴보기
베트남 2022-04-11
-
5
2022 하노버 산업박람회(Hannover Messe) 참관기
독일 2022-06-16
-
6
2019 전북 중동(사우디) 무역사절단 참관기
사우디아라비아 2019-10-14
-
1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12-20
-
2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4-07-09
-
3
2021 사우디아라비아 방산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4
2021 사우디아라비아 재생에너지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4
-
5
2021 사우디아라비아 농림식품수산 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10
-
6
2021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산업 정보
사우디아라비아 2022-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