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파키스탄 가축 사료 첨가제 시장진출 기회와 방안은?
  • 상품DB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정주헌
  • 2019-02-15
  • 출처 : KOTRA

첨가제 100% 수입에 의존 중

- 한국제품 수입시장점유율 2.6%에 불과 -

- 현지 유통망 보유한 대형 가축용 사료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적극적 마케팅 노력 필요 -   

 

 


□ 시장현황

 

  ㅇ 시장수요

    - 파키스탄 식량안보연구부(Ministry of National Food Security and Research) 관계자에 따르면 과거 5년간 파키스탄 내 가축 수가 지속 증가해 가축 사료 및 첨가제 수요가 현지 생산량을 초과한 상태임.

    - 그러나 가축 사료 제조업은 파키스탄 내에서 대부분 소규모 가족 단위로 이루어지는 등 조직화되지 않아 생산성 향상 및 설비 자동화 등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지 못함.

    - 특히 첨가제의 경우 파키스탄 자체 생산이 불가능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가족 단위 사업체의 경우 주로 자체 보유한 농장에서 원료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최대 생산량에도 한계가 있으며 옥수수, 밀짚 찌꺼기 등을 이용해 생산하는 기존 방식을 고수하고 있음.

    - 현재 파키스탄에는 약 200개의 가축 사료 제조업체가 있으며 이 중 첨가제 등을 활용한 복합 사료를 생산하는 업체는 25곳이나 현지 수요를 감당하기에 생산량이 충분하지 않음.

    - 고급 사료를 생산하는 현지 제조사 Chakwal Feed Mills, Al-Hafiz Cattle Feed Industries Madina Cattle Feeds 6곳은 최신 시장동향 파악 및 신제품 도입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임.

 

파키스탄 내 종류별 가축 수

(단위: 백만 마리)

회계연도

물소

(일반)

염소

가금류

낙타

당나귀

노새

2013/14

34.6

39.7

66.6

29.1

855.0

1.0

4.9

0.4

0.2

2014/15

35.6

41.2

68.4

29.4

932.0

1.0

5.0

0.4

0.2

2015/16

36.6

42.8

70.3

29.8

1016.0

1.0

5.1

0.4

0.2

2016/17

37.7

44.4

72.2

30.1

1108.0

1.1

5.2

0.4

0.2

2017/18

38.9

46.1

74.1

30.5

1209.0

1.1

5.3

0.4

0.2

자료원: National Food Security and Research,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ㅇ 수입동향

    - 2017/18 회계연도 기준 공식적으로 집계된 파키스탄의 가축 사료 첨가제 수입 규모는 약 3522만 달러로 전년대비 17.31% 감소함.

    - 2017/18 회계연도 기준 중국산 제품이 약 852만 달러로 24.20%의 수입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며 선두를 달리고 있으나 소비재 등 타 제품군 시장에 비해 중국산 제품의 지배력이 높지 않음.

    - 그 뒤를 이어 말레이시아( 368만 달러), 네덜란드( 314만 달러), 프랑스( 263만 달러) 등의 국가들이 주요 수입대상국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약 7~10% 대의 수입 시장점유율을 보임.

    - 한국산 가축 사료 첨가제의 수입 시장점유율은 2.58%로 미미한 수준이나 2017/18 회계연도에는 전년대비 수입 규모가 18.94% 늘어나며 프랑스(27.38%)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임.

    - 현지 바이어 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파키스탄에서는 미국 및 유럽산 제품이 최고 수준의 품질로 간주되고 있으며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인지도는 아직 높지 않은 상황임.

 

파키스탄 가축 사료 첨가제 수입동향

(단위: 달러, %)

순위

수입 대상국

2015/16

2016/17

2017/18

수입규모

증감률

점유율

1

중국

14,406,378

11,031,652

8,522,613

-22.74

24.20

2

말레이시아

3,519,025

4,121,816

3,681,494

-10.68

10.45

3

네덜란드

3,995,913

3,448,295

3,144,733

-8.80

8.93

4

프랑스

1,925,069

2,064,410

2,629,736

27.38

7.47

5

독일

1,544,383

2,120,838

1,931,811

-8.91

5.48

6

미국

3,382,239

3,314,566

1,880,802

-43.26

5.34

7

벨기에

2,214,961

2,745,721

1,796,715

-34.56

5.10

8

싱가포르

2,174,163

1,591,867

1,694,153

6.43

4.81

9

베트남

598,479

1,685,496

1,250,280

-25.82

3.55

10

영국

2,344,288

1,069,448

1,140,797

6.67

3.24

11

한국

1,202,911

763,334

907,905

18.94

2.58

-

기타

14,658,562

8,639,742

6,643,005

-23.11

18.86

51,966,371

42,597,186

35,224,045

-17.31

100.00

: HS Code 2309.9020 기준

 자료원: Federal Board of Revenue 


□ 현지 바이어 인터뷰


  ㅇ 업체명: Al Barakah Dairy & Livestock Feeds/담당자: Mr. Khurram Ehsan(Manager)

    - Al Barakah Dairy and Livestock Feeds사는 파키스탄 현지 가축 사료 제조 및 첨가제 수입업체로 연간 생산량은 약 100톤임.

    - Mr. Khurram Ehsan에 따르면 파키스탄으로 수입되는 가축 사료 첨가제의 약 70%는 가금류용 제품들이며 소 전용 제품들은 약 15~2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소 전용 사료 첨가제는 Milk Pak, Olpers, Haleeb 등 현지 유제품 브랜드에 대규모로 납품하는 업체들이 주로 미국 및 유럽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음.

    - 축산 및 낙농업계에 종사하는 인력의 교육수준이 비교적 낮아 파키스탄 내부적으로 사료 첨가제를 활용한 생산성, 효율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임.

 

  ㅇ 업체명: Maxim International/담당자: Mr. Muhammad Ubaid(Sales Manager)

    - Maxim International사는 라호르 지역에 소재하는 파키스탄 현지 가축 사료 제조 및 수입업체로 연간 생산량은 약 800톤임.

    - Mr. Muhammad Ubaid에 따르면 소 전용 사료 시장의 경우 현지에서 생산되는 제품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으며 수입 제품의 높은 가격과 약 10%의 수분함량으로 인해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곰팡이를 주요 문제로 언급함.

    - 가축 사료 첨가제의 경우 미국 및 유럽산 제품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해당 지역에서 주로 수입되고 있음.

 

  ㅇ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인터뷰에 응한 바이어에 따르면 현재 파키스탄 내에서 유통되는 사료 첨가제의 원산지별 가격대 및 시장점유율은 아래 표와 같으며 Kemin, All Tech 등 미국 브랜드가 총 유통량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음.

    - 한국 제품의 가격 수준은 괜찮은 편이나 품질 및 이미지 측면에서 미국, 유럽 제품에 밀리는 경향이 있어 보다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이 요구됨.


파키스탄 가축 사료 첨가제 시장 유통 현황

(단위: 10kg 당 달러, %)

기업명(브랜드)

원산지

가격(달러)

시장점유율

Kemin

미국

15~16

25

All Tech

미국

14~15

25

Novus

유럽

12~13

15

CM Pro

중국

5~6

8

Gatawa

베트남

7~8

5

기타

복수국가

5~15

22

자료원: Al Barakah Dairy

 

□ 유통구조 및 관세율 등

 

  ㅇ 유통구조

    - 주로 현지 가축 사료 제조업체에서 직접 제품을 수입하고 현지에서 제조한 사료와 혼합해 각 수요처로 공급하는 형태임.

    - 제조업체들은 각 축산 및 낙농업 농장 소유자까지 이어지는 자체 판매 루트를 보유하고 있어 일반 수입상들과 거래하는 것에 비해 유통망을 확보하기 용이함.

 

파키스탄에서 유통 중인 가축 사료

                

Maxim international

Al Baraka Dairy &

Livestock Feed

Al-Hafiz Cattle

Feed Industries

자료원: Maxim international, Al Baraka Dairy & Livestock Feed

 

  ㅇ 관세율

    - 가축 사료 첨가제의 현지 수입 관세율은 20%로 높은 편이며 17%의 일반판매세 등 기타 세금을 충분히 고려해 신중하게 가격을 책정할 필요가 있음.

 

현지 수입관세 및 기타 세율

HS 코드

관세

(Custom Tariff)

일반판매세

(GST)

원천세

(WHT)

2309.9020

20%

17%

6%

자료원: Pakistan Customs Tariff

 

  ㅇ 수입규제  및 인증

    - 가축 사료 첨가제에 채소 및 곡식류 이외의 성분이 포함되었을 경우 할랄 인증을 획득해야 파키스탄 시장 내에서 원활한 판매가 가능함.

    - 할랄 인증 절차는 대전에 위치한 한국할랄인증원(Korean Halal Authority)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관련 세부 내용은 홈페이지(http://www.koreahalal.kr)에서 확인 가능함.

 

□ 시사점

  

ㅇ 파키스탄 시장진출을 위한 현지 제조업체 유통망 활용

    - 가축 사료 첨가제 제품의 경우 해당 물량을 소화할 수 있는 현지 제조업체들이 자체 유통망까지 확보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반 수입상보다 대형 사료 제조업체와 업무를 진행하는 편이 파키스탄 시장 진출에 수월함.

    - KOTRA 카라치 무역관에서 파악한 주요 사료 제조업체는 Chakwal Feed Mills, Al-Hafiz Cattle Feed Industries Madina Cattle Feeds 등이 있으며 연락처는 무역관으로 개별 문의 시 안내 가능함.

 

  ㅇ 인지도 및 품질 신뢰도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

    - 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현지에서 한국산 가축 사료 첨가제 제품은 미국 및 유럽산 제품에 비해 품질 등의 면에서 한 단계 낮은 브랜드로 인식되고 있음.

    - 2017/18 회계연도 기준 말레이시아, 네덜란드 등 가축 사료 첨가제 수입시장 2~10위 국가들이 각각 3~10%의 점유율을 나눠가진 상태로써 시장이 확대되는 시기에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통해 인지도 및 품질 신뢰도를 상승시키는 노력이 필요함.

    - KOTRA 카라치 무역관을 통해 타깃 바이어를 대상으로 샘플을 제공해 바이어가 현장에서 실제 제품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음. 

    - 현지 시장 동향 파악 및 자사 제품 홍보를 위해 관련 현지 전시회에 참가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임. 올해로 7회차를 맞이하는 파키스탄 농업 전시회 The Dawn Pakistan Agri Expo 2019가 올해 328~29일 라호르 엑스포 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세부 내용은 홈페이지(https://agri.dawn.com)에서 확인 가능함.

 

 

자료원: Federal Board of Revenue, Pakistan Customs Tariff, Pakistan Ministry of Finance,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Al Barakah Dairy & Livestock Feed, Maxim International, All Pakistan Feed Millers Association, KOTRA 카라치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파키스탄 가축 사료 첨가제 시장진출 기회와 방안은?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