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바이든 정부 기후변화 대응정책 동향 및 향후 전망
- 작성자 : 이정선 등
- 총서번호 : GMR 21-009
- 발간일 : 2021-03-19
- 게재일 : 2021-03-19
- 페이지 : 17
- 게재자 : 이은혜
- 관련지역 : 북미
목차
I. 바이든 대통령 기후변화 대응 행정명령 서명
II. 기타 기후변화 대응 관련 행정부 발표 내용
III. 전망 및 시사점
요약
□ 바이든 대통령, 기후변화 대응 본격 착수
◦ ’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기후관련 특별조직과 보직* 신설및 기후 변화 대응 행정명령을 통해 기후공약 실현에 속도
* 백악관 內국내기후정책실(Office of Domestic Climate Policy)을 마련하고 기후변화 특사(John Kerry) 및 기후변화 차르(Gina
McCarthy) 등 보직 신설
※ 바이든 대통령 에너지·기후 공약 주요내용 |
□ 행정명령 주요내용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공중보건 및 환경보호, 과학기술 복원’ 행정명령(1.20) 및 ‘국내외 기후위기 대응’ 행정명령(1.27) 내용 중점
분석
➊ 기후변화 대응을 미국 외교·안보 정책의 핵심요소로 간주
- 美국가정보국장(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은 국가 경제·안보 관점에서 기후변화 영향 보고서 제출 의무 (120일 이내)
➋ 국제적 협의채널(G7,G20 등)을 통해 기후변화 아젠다 우선적 논의 추진
- 파리협약 재가입 및 이에 필요한 국가결정기여*(NDC :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목표수립 작업 착수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분야별로 당사국이 취할 노력을 스스로 결정하여 제출한 목표
➌ 에너지·환경규제 강화 예고
- 부처별로 親기업적이었던 트럼프 행정부 조치 검토를 통해, 유예·수정·철회 여부 고려
· ➀오일 가스분야 메탄가스 배출 감축, ➁자동차 연비, ➂가전·기계 에너지 절약 기준 및 ➃유해 공기오염 물질 배출기준 관련, 의견을 수렴하여 구체적인 시한 내 조치결정 예정인 바, 동 분야 內규제강화 전망
- 온실가스 배출의 사회적 비용 추계*
* 탄소, 아산화질소, 메탄 등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각각 추정할 것을 지시
➍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화
- 키스톤 송유관 건설 허가 취소, 석유·천연가스 시추 신규허가 중단 및 연방정부 화석연료 직접 보조금 중단
- 연방정부 구매력과 자산을 활용한 청정에너지 산업 성장 촉진
※ 연방정부 구매력 및 자산을 활용한 청정에너지 산업 성장 촉진 조치 |
- (연방정부 인프라 투자) 기후공해 축소를 의무화하고, 클린에너지 프로젝트 가속화
□ 기타 기후변화 대응 관련 행정부 발표내용
◦ (2021 USTR 통상아젠다) 탄소국경세 도입 검토 및 교역국이 기존 무역협정 내 환경기준을 위반할 경우 대응 계획
◦ (WTO 각료결의안 초안*) 환경규정 위반도 WTO에서 규정하는 상계 가능 보조금으로 규정하여 동일하게 대응토록 제안
* ‘공정경쟁환경 무역규칙을 통한 지속가능목표 추진’이라는 제목으로 제출(‘20.12.17)
- 트럼프 행정부에서 제출하였으나, 바이든 행정부 정책기조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동 제안을 지속적 추진할 가능성 다대
- (향후일정) 차기 각료회의(시기 미정)에서 만장일치로 승인 필요
◦ (SEC 정보공시) SEC(증권거래위원회) 위원장 지명자 게리 겐슬러는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기후변화 관련 상장회사 공시 강화 필요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힘. * 미국은 자율적으로 ESG 공시 여부 선택 가능
- 상장기업의 기후관련 리스크, 의무 준수여부 투명공개 및 투자자 대상 충분한 정보를 제공토록 하는 내용 포함 예상
□ 전망 및 시사점
◦ (대내적) 환경규제 강화 가운데, 연방정부 자산과 구매력을 레버리지로 삼아 기후변화 대응산업(전기차 등)을 미래 핵심역량으로 육성 추진
- 현재 논의 중인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최소 2조 달러 규모 전망*)는 바이 아메리칸 조항 등을 활용하여, 미국 그린산업 경쟁력 강화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
* (Goldman Sachs) 기존 제안내용과 미국 인프라 강화를 위해 필요한 투자규모 예측치를 바탕으로 향후 10년 간 최소 2조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추정
- 아울러, EGS 공시강화 등 그린금융 정책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관련 기업의 자발적인 참여도 유도할 것으로 기대
◦ (대외적) 기후변화대응을 외교·안보 정책의 핵심 축으로 규정한 바, 기후정책과 무역정책을 직접 연계하여 교역국(특히, 신흥국) 압박 전망
- (탄소국경세) 특히,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자국 기업경쟁력 약화를 상쇄하기 위해 검토 중인 ’탄소국경세‘ 도입시, 시멘트·석유화학·철강 등 탄소배출이 집중된 산업 중심으로 영향 불가피. 끝.
※ 바이든 행정부 탄소국경세 추진전망 (자료원 : 미국 로펌 Steptoe 인터뷰 결과) |
관련 보고서
순서 | 보고서명 | 저자 | 발행일 | 다운로드 |
---|---|---|---|---|
168 | 미국·EU 정부 미래산업 공급망 구축동향 및 전망 | 이정선 등 | 2021-03-10 | 다운로드 |
166 | 美 바이든 정부 바이 아메리칸 정책 주요내용 및 향후 전망 | 이정선 등 | 2021-02-24 | 다운로드 |
167 | 미국 공공조달시장 진출 전략 보고서 | 정아름 등 | 2021-02-24 | 다운로드 |
165 | 미국 지식재산권 이슈 및 사례: 2020 뉴욕 IP-DESK 발간 뉴스레터 모음 | 박다미 | 2021-02-22 | 다운로드 |
164 | 2020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경제·통상 정책 방향 전망과 시사점 | 허유진 등 | 2021-01-13 | 다운로드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