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경제성장률 (%) | 2.85 | -4.71 | 1.25 | 0.59 | - |
명목GDP (십억$) | 109.38 | 119.53 | 141.65 | 137.59 | - |
1인당 GDP (PPP, $) | 69,095.27 | 66,102.77 | 66,652.39 | 66,386.73 | - |
1인당 명목 GDP ($) | 25,267.15 | 26,863.33 | 30,969.44 | 29,266.98 | - |
정부부채 (% of GDP) | 10.02 | 20.68 | 14.74 | 15.25 | - |
물가상승률 (%) | 3.48 | 1.51 | 0.58 | 1.5 | - |
실업률 (%) | 1.32 | 1.32 | 1.32 | 1.32 | - |
수출액 (백만$) | 46,278.8 | 54,922.13 | - | - | - |
수입액 (백만$) | 30,828.42 | 33,597.23 | - | - | - |
무역수지 (백만$) | 15,450.38 | 21,324.9 | - | - | - |
외환 보유고 (백만$) | 31,146.77 | 33,725.12 | 37,152.47 | 39,924.44 | 40,394.25 |
이자율 (%) | - | - | - | - | - |
환율 (자국통화) | 0.3 | 0.3 | 0.3 | 0.3 | 0.31 |
<자료원 : IMF>
경제 동향
쿠웨이트는 산유국으로 국가 경제와 산업의 대부분을 원유 생산과 석유화학 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경제성장률은 유가에 따라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쉐일가스의 상용화 이후 지속되고있는 저유가 상황으로 인하여 타 산유국들과 마찬가지로 최근 5년간 매우 저조한 경제성장률을 달성중이나, 이로 인한 재정적자에도 불구하고 쿠웨이트 정부는 매년 재정수입에서 별도로 적립하여 비축한 '미래세대 발전기금(약 5,920억 달러)' 및 '이라크의 전후 피해 복구 보상금(매년 50억~60억 달러)'등을 활용하여 석유산업에 대한 경제의존도를 낮추고 고용 및 경제 안정성 강화를 위한 산업 다각화를 목표로 하는 국가개발 계획인 New Kuwait 2035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경제 전망
제조업 기반이 약한 전형적인 소비 국가 쿠웨이트는 국내총생산(GDP)의 약 50%, 재정수입의 약 90%를 원유 및 석유화학 중간재 수출로 달성하고 있다. 지속되는 저유가 및 코로나 사태로 재정수입이 감소함에 따라 보조금 축소, VAT와 같은 각종 세금 도입을 추진하며 세수 증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로 인한 유가 폭락 및 락다운 조치 등으로 인하여 금년도로 예정되었던 공공부문 프로젝트 중 상당수가 연기되거나 취소될 것으로 보이는 등 경제부문 전반에 어려움이 다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KUWAITIZATION으로 대표되는 신보호주의 및 자국산업육성 기조 역시 지속 될 것으로 보여진다.

국가정보[일반-경제지표] 항목은 "공공누리 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최종수정 : 2020-11-02 15:2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