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부품소재] 스위스 공작기계 시장 현황 (HS 845611) | |||||||||||||||||||||||||||||||||||||||||||||||||||||||||||||||||||||||||||||||||||||||||||||||||||||||||||||||||||||
---|---|---|---|---|---|---|---|---|---|---|---|---|---|---|---|---|---|---|---|---|---|---|---|---|---|---|---|---|---|---|---|---|---|---|---|---|---|---|---|---|---|---|---|---|---|---|---|---|---|---|---|---|---|---|---|---|---|---|---|---|---|---|---|---|---|---|---|---|---|---|---|---|---|---|---|---|---|---|---|---|---|---|---|---|---|---|---|---|---|---|---|---|---|---|---|---|---|---|---|---|---|---|---|---|---|---|---|---|---|---|---|---|---|---|---|---|---|---|
작성일 | 2019-08-16 | |||||||||||||||||||||||||||||||||||||||||||||||||||||||||||||||||||||||||||||||||||||||||||||||||||||||||||||||||||||
국가 | 스위스 | |||||||||||||||||||||||||||||||||||||||||||||||||||||||||||||||||||||||||||||||||||||||||||||||||||||||||||||||||||||
무역관 | 취리히무역관 | |||||||||||||||||||||||||||||||||||||||||||||||||||||||||||||||||||||||||||||||||||||||||||||||||||||||||||||||||||||
작성자 | 김민혁 | |||||||||||||||||||||||||||||||||||||||||||||||||||||||||||||||||||||||||||||||||||||||||||||||||||||||||||||||||||||
□ 관련품목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규모 - 기계/전자/금속산업(MEM-Machine, Electro, Metal) 3개 산업을 통틀어 MEM 산업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통계도 보통 이 세가지 산업을 묶어서 발표함. - 스위스의 MEM* 산업은 총 GDP의 7.3%(2017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으며, 32만 명 이상이 근무하는 중요 산업분야로, 화학 산업과 더불어 스위스 최대 제조업을 형성하고 있음. 생산품의 80%를 해외로 수출하는 수출 집약적 산업임. - 2017년 공작기계의 수출규모는 212억 스위스 프랑으로 2016년 대비 2.3% 증가한 규모임. 공작기계는 MEM산업 내에서 Mechanical Engineering로 분류됨. Mechanical engineering은 2017년 MEM 전체 수출 중 31.7%가 Mechanical engineering에서 이루어졌으며 가장 중요한 분야로 손꼽히고 있음.
ㅇ 시장동향 - 2018년 스위스의 MEM 산업은 호황기를 맞이하였음. 전년대비하여 신규수주, 매출, 각각 6.5%, 11.4% 증가하였으며, 수출은 전년 대비 4.4% 증가한 697억 스위스 프랑을 달성하였음. 공작 기계분야는 4.5% 증가하였음. - 2018년 말부터 수주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19년에는 성장률이 둔화되기 시작함. 2019년 MEM 산업의 성장 둔화로 인해 1분기의 실적은 전년 동기대비 1.1% 감소하였으며, 수주 또한 5.1% 감소함. 미국으로의 수출은 6.4% 비교적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나, EU와 아시아 지역으로의 수출은 각각 0.5%, 0.6%감소하였음.
ㅇ 소재국 해당품목 수출규모 및 대상 국가
스위스의 레이저 공작 기계(HS code : 845611) 주요 수출대상국 (단위 : 천달러,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 스위스의 주요 수출 대상국은 독일과 미국으로, 이 두개국이 약 30% 이상의 수출 점유율을 차지함. 한국도 독일 미국 이탈리아에 이어 4위로 주요 수출국에 해당함. 전체적으로 2018년 Machine tool의 수출 규모는 전년대비 18.36% 증가하였으나, 한국으로의 수출은 15.76% 감소함.
□ 해당품목 수입시 관세율(소재국→한국)
ㅇ EFTA 협약으로 Hs code 8456 품목은 모두 무관세임.
자료원 : 관세청
□ 해당 품목에 대한 기타사항
ㅇ 한국에서 해당품목의 대일 의존도는 92.4%임. 세계 주요 10대 수출국 중에 스위스는 일본을 제치고 2위를 차지하고 있음.(1위는 독일)
ㅇ 스위스의 대표적인 공작기계 전시회는 Prodex로 2019년에는 5월 14일부터 17일까지 4일간 스위스 도시 바젤(Basel)에서 개최되었음. - 500개가 넘는 공작기계 관련 기업들이 전시회에 참가하였으며 약 3만4천여명이 방문함. .
□ 품목 관련 소재지역 협․단체
ㅇ 협단체명 : Swissmem - 홈페이지 : www.swissmem.ch - 연락처 : +41 44 384 41 11
□ 주요 제조기업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대한민국 관세청, 스위스 관세청, Tornos 홈페이지 무역관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 KOTRA의 저작물인 ([부품소재] 스위스 공작기계 시장 현황 (HS 845611))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