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고] 브렉시트에 따른 영국 지재권 재출원 안내
- 2020년 12월 31일 브렉시트 전환 기간이 종료됐으며, 이에 따라 기존에 등록된 유럽상표권 및 등록 유럽공동체디자인권은 영국 상표권 또는 영국 디자인권으로 자동 생성돼 영국에서의 보호가 유지되고, 전환기간 종료 전에 출원됐지만 2021년 1월 1일 기준으로 계류 중인 유럽상표/디자인 출원은 전환 기간 종료일로부터 9개월 이내 UKIPO에 영국 상표/디자인 출원으로 전환 신청을 할 수 있다.
- 독일
- 프랑크푸르트무역관
- 2021-02-02
-
- [기고] 말레이시아의 디지털 서비스세 및 세계적으로 확대되는 전자적 용역세
- 2020년 1월 1일부터 말레이시아 Service tax 세법이 확대됨에 따라 디지털 서비스를 말레이시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해외사업자(Foreign Service Providers)는 사업자등록 및 세무신고를 해야 할 의무가 생겼다. 디지털 서비스로 정의된 서비스를 말레이시아 소비자 또는 기업에 제공하는 해외사업자는 향후 12개월 동안 RM 500,000의 연간매출액이 예상될 때 사업자등록 의무가 생긴다.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 2021-01-25
-
- [기고] 中,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금지 조치에 따른 분해성 플라스틱 선별법 알아보기
-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플라스틱 오염을 실질적이며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2021년 1월 1일부터 주요 도시의 백화점/쇼핑몰/슈퍼/마트/약국 등의 영업장에서 일회용 플라스틱 쇼핑백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아울러 향후 분해가 용이한 분해성 플라스틱 사용을 권장하겠다는 중국정부의 의지에 따라 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해 쉽게 이해(선별)하기 위한 참고사항을 작성해 전달하고자 한다.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1-01-19
-
- [기고] 싱가포르 기업 내 전근자 근로비자(EP) 발급지침 변경
- 싱가포르 노동부(MOM)는 자국민 일자리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외국인의 근로비자(EP) 발급 지침을 변경했다. 2020년 11월부터 EP 비자 발급 시 신청인이 기업 내 전근자(Intra-corporate Transferee; ‘현지 주재원’)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해당하는 경우 주재원의 가족은 해당 FTA에서 특별히 정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가족비자(DP) 또는 장기 방문 비자(LTVP)를 발급받을 수 없다.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 2021-01-18
-
- [기고] 영국의 이민법 변화에 따라 기업이 참고해야 할 규정
- 영국 취업 및 이민 관련 2020년 말 확정된 중대한 사안들 및 변동사항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번 해부터 적용된 새로운 환경들과 규정들에 대해 이민법 관점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영국
- 런던무역관
- 2021-01-15
-
- [기고] 방글라데시 사업 시 유의사항
- 방글라데시는 최근 우리 건설 시장으로 각광 받기 시작해 많은 국내기업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리고 현지의 이러한 건설 경기의 활황은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이어져 코로나 상황에도 불구하고 올해는 플러스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력적으로 보이는 시장에도 많은 함정과 애로사항이 있는 만큼 사전에 철저한 조사와 대비를 통해 시행착오를 줄여야 한다.
- 방글라데시
- 다카무역관
- 2021-01-12
-
- [기고] 방글라데시 진출 팁
- 방글라데시는 최빈국으로 알려져 있지만 의외로 국민들은 똑똑하고 근면하고 치열한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최근 많은 경제적 성과도 거뒀으며 이러한 경제성장에 힘입어 우리 기업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특히 현지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점들이 있어 소개한다.
- 방글라데시
- 다카무역관
- 2021-01-12
-
- [기고] 日 규슈지역의 여행 억압수요를 대체할 콘텐츠에 주목해야할 때
- 코로나로 인적 왕래가 힘들어진 지금 일본 내에서는 관광 수요가 한국 콘텐츠에 대한 수요로 변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의 유명 드라마에서 삼겹살을 굽고 소주를 마시고 맥주 한잔에 치킨을 뜯는 장면을 봤을 때 한국행 티켓을 끊으면 그만이었지만 지금은 그럴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의사관광 콘텐츠(Dummy Tourism Contents)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 일본
- 후쿠오카무역관
- 2021-01-12
-
- 에티오피아 도로인프라 현황 및 시장 진출 조언
- 에티오피아 도로인프라 개발은 아직 초기 상태로 향후 EDCF, PPP, MDB 등 다양한 재원 확대와 첨단교통체계 프로젝트 등의 발주가 기대되나 중국 대비 국내 기업들의 관심도는 아직 낮은 편이다. 에티오피아의 도로 인프라 현황을 살펴보고 실질적인 조언을 통해 더욱 많은 국내 기업들의 에티오피아 도로 인프라 시장에 대한 진출을 기대해본다.
- 에티오피아
- 아디스아바바무역관
- 2021-01-11
-
- [기고] 인도 건설/부동산 시장 - 파트너십과 현지화에 대한 고찰
- 내가 본 인도는 상호 호혜적인 파트너십을 위해서 수없이 많은 대상을 찾음과 동시에 그 대상과 대등한 협상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현지인 채용, 즉 리쿠르팅(recruiting)의 성공에 해답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소위 글로벌 기업이라고 부르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와 같은 기업들은 기술력 뿐만 아니라 HR팀의 능력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고 있으리라고 확신한다. 훌륭한 현지인 인재를 채용하는 일 역시 매우 고된 노력과 오랜 시간이 …
- 인도
- 뭄바이무역관
- 202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