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 세탁기 시장동향
1. 시장동향
□ 시장전망
○긍정적 요인
- 경제성장 및 구매력의 성장
- 에너지 절약성 전자기기 혁신개발 증가
- 금융시스템에 의한 신용공급 증가
○ 부정적 요인
- 온난화 현상으로 인한 니뇨 현상, 열섬현상으로 인한 전자제품구매결정지연
- 최근년도 경제성장률의 감소
○ 종합의견
- 2012년 말에 세탁기 판매시장은 1억 3천만 달러를 기록하였고, 두 번째가 냉장고로 조사됨.
- 현재 세탁기 시장은 페루의 해안 지대쪽으로 더 활성화되어 있음.
- 프리미엄분류(A,B)등급의 증가로 2014년도 8%~9% 성장률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
□ 소비자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으로는 중상류층의 수요가 가장 높으며, 지속성이 좋은 세탁기 구매를 원함
○ 페루는 겨울계절이 있어 두꺼운 재질의 옷을 세탁하는 기능이 필수적임. 여름에 세탁기를 가장 많이 구입함(냉장고도 여름에 구입을 많이 함)
○ 지구환경보호의 이슈로 인한 에너지절약추세로 전자제품의 구입율이 증가하고, 큰 용량 (300l~350l)으로 세탁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제품을 선호
□ 제품 트렌드
○ 95%이상의 페루인들은 반 건조옷이나, 여러 유형의 옷들을 자동화로 설정세탁 기능이 갖추어져 있는것을 선호
○ 페루 기상학 보고서에 따르면, 겨울계절이 되기 약 90일전에 이러한 유형의 제품구매가 이루어진다고 조사됨
○ 2014년 페루의 각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페루 경제 성장률이 4%~5%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
○ 2014년, 삼성제품관리자 파올라 오스텔링씨에 따르면, 세탁기제품의 판매액은 전국판매기준으로 1억 3천만 달러로 기록 될 것으로 전망
2. 수입동향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 US$ 천, %)
구분 |
2011 |
2012 |
2013 |
|||
수입규모 |
증가율 |
시장규모 |
증가율 |
시장규모 |
증가율 | |
수입규모 및 성장률 |
53,019 |
0.2 |
69,719 |
0.3 |
79,287 |
0.1 |
자료원 : SUNAT
□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한국수입통계 포함)
국가명/품목명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845020 기준)
(단위 : US$ 백만, %)
순위 |
국가 |
금액 |
점유율 |
증감율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3/12 | |||
0 |
총계 |
40.8 |
54.1 |
64.4 |
100 |
100 |
100 |
19.2 | |
1 |
멕시코 |
6.3 |
8.5 |
19.5 |
15.5 |
15.7 |
30.2 |
128.9 | |
2 |
한국 |
8.5 |
17.5 |
17.7 |
20.8 |
32.4 |
27.5 |
1.0 | |
3 |
태국 |
20.5 |
19.3 |
14.5 |
50.2 |
35.8 |
22.6 |
-24.7 | |
4 |
중국 |
3.3 |
4.4 |
8.2 |
8.1 |
8.1 |
12.7 |
86.0 | |
5 |
칠레 |
0.0 |
1.2 |
1.8 |
0.0 |
2.2 |
2.9 |
52.6 | |
6 |
미국 |
1.8 |
1.6 |
1.6 |
4.4 |
2.9 |
2.5 |
3.1 | |
7 |
스위스 |
0.3 |
0.1 |
0.7 |
0.1 |
0.2 |
1.1 |
402.1 | |
8 |
벨기에 |
0.1 |
0.2 |
0.2 |
0.2 |
0.3 |
0.3 |
1.7 | |
9 |
스페인 |
0.1 |
0.5 |
0.1 |
0.1 |
1.0 |
0.2 |
-73.3 | |
10 |
체코 |
0.1 |
0.1 |
0.1 |
0.4 |
0.2 |
0.2 |
13.0 | |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
HS Code |
관세 |
특소세 |
부가세 |
보험 |
845020 |
0% |
0% |
18% |
1.5% |
○ 통관시 유의사항 : 특이사항 없음
3. 유통구조
□ 주요 유통채널(온라인 시장, 조달시장 등)
○ 수입업체가 제품을 직접 수입하여, 백화점이나 체인점 등의 유통망(Falabella, repliey) 에 납품하는 형태임.
○ 전자제품 전문점 (hiraka, carsa, curacao) 등을 통해 판매되는 양은 약 83%인 것으로 조사됨
○ 세탁기제품을 조달 할 수 있는 매장이나 백화점은 전국에 어디든지 분포되어 있고, 전자제품판매 매장은 페루해안 지방으로부터 시작됨.
□ 주요 유통채널별 참고사항
○ 한국기업은 기업의 주요 판매력으로 구성되어있는 유통업자들로 인하여 페루시장에서 좋은 위치를 차지 하고 있음.
○ 주요 기업은 LG, Samsung, Daewoo등 대기업들이 대도시뿐만 아니라, 중소도시에도 활발한 진출 활동하고 있음
4. 경쟁동향
□ 경쟁제품 현황
단위(%)
회사명 |
시장점유율 |
Samsung |
33% |
LG |
15% |
Daewoo |
10% |
Electrolux |
6% |
Mabe |
4% |
Whirlpool |
2% |
○ 한국의 Samsung(33%), LG(15%), Daewoo(10%)社 주요기업들이 페루시장에 각각 1,2,3위로 시장 점유율을 차지함.
○ 한국의 Electrolux社의 세탁기 매출은 모델 EDFC042MXW에 전력과다 사용으로 인한 내부결함으로 기업 평판에 큰 타격을 줌으로서 시장점유율 10%감소.
○ 미국의 Whrilpool社의 경우는, 낮은 판매가격 높은 품질과 내구성에 의한 좋은 평판으로 페루시장에 진출
□ 한국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
○ 페루 시장에는 기술, 품질, 지속적인 개발면에서 우월하게 있는 삼성 엘지 대우를 많이 선호
○ LG전자는 최근에 개발된 LED(백색발광다이오드)조명을 더한 DNA청소기 개발로 심미성과 편의성을 더해서 페루인들의 구매의욕을 한층 더 끌어 올릴 것으로 전망
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 타깃 고객층 및 무역관 의견
○ 세탁기는 주로 가정용 및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미국브랜드 및 한국브랜드로 된 세탁기를 사용하고 있음
○ 또한 (20,30,40대)맞벌이 부부들을 위한 자녀들의 많은 양으로 옷을 세탁 할 수 있는 기능인 세탁기를 선호
○ 페루는 아시아국가나 미국에 비해 옷의 종류에 따라 처리 할 수 있는 세탁기를의 수요가 적음.
□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 현지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스페인어) |
Expo Tic |
전시회명(한국어) |
정보통신 및 컴퓨터 제품 전시회 |
전시품목 |
TV, 가전제품, 기업용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모바일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등 |
개최국가/도시 |
페루/ 리마 |
개최주기 |
매년 |
개최기간(2014년) |
2014.6.19. ~ 2014.6.22. |
웹사이트 |
http://www.expotic.com/ |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페루 세탁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페루 굴삭기 시장동향 | 페루 | 2014-12-11 |
2 | 일본 기타 양념소스 시장동향 | 일본 | 2014-12-15 |
3 | 중국 혈당계 시장동향 | 중국 | 2014-08-14 |
4 | 중국의 유아용 카시트 시장동향 | 중국 | 2014-08-14 |
5 | 크로아티아 다이아몬드 디스크 시장동향 | 크로아티아 | 2014-12-15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