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루 철근형강 시장동향
1. 시장동향
□ 시장전망
○ 긍정적 요인
- 두 개의 주요 생산업체에 의해 지배되어지는 시장: 아레키파 철강, 사이더 페루
- 리마 및 지방 공공 도로인프라 프로젝트투자 지속화
- 부동산 건설 산업부문의 수요상승(2014년 말 2.4%성장률로 전망)
- 2014-2015년간 인프라 프로젝트에 관한 공공투자사업추진
○ 부정적 요인
- 건설부문 시장의 침체 (전년도 8.4%에비해 2014년도1.6%하락)
- 국내에 철근생산 증가 (2013년은 21.1%에 도달함)
- 2014년 건설업체 참여저조
○종합의견
- 철강소재의 형강들은 인프라 건설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고, 이미 항구 및 부동산건설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음
- (철강소재)형강들은 최근 몇 년간 페루 칼라오지역에 전기기차, 부두건설, 기타 건설등에 2억 2천2백만 달러를 투자
- 수입에 대한 지출만으로 내부수요를 만족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철근형강 생산율은 최근 2년간(2012년-2013년)동안 21.1%로 성장에 기록하였음. 대표적인 주요기업으로는 SIDERPERU社 및 AREQUIPA 철강社가 있음
□ 소비자 구매 패턴
○ 대부분 바이어들은 제품브랜드에 기입된 원산지에 주로 초점을 많이 둠
○ 주요기업들은 대부분 원자재가 싼 가격으로 구입을 원함
○ 항구건설, 도로건설, 주요 도시 인프라시설부문에서 사용되고 있음
○컨설팅 업체인 Arellano社에 의하면 신규 구매층으로 떠오르는 일명 ‘진보계급’의 경우, 다음과 같은 성향을 보이것으로 조사됨
□ 제품 트렌드
○ 2014년 가구분야 및 자동건설 분야에서 브라질이나 중국의 낮은 수입가격을 선호함
○ 2009년-2013년까지 4년간 건설분야에 상당한 성장(61.8%)을 기록하였으나, 2014년도에는 5개월간 예
상외로 낮은성장률을 나타남
○ BBVA 경제분석가 Hugo Perea에 따르면, 2014년도에는 전반으로 성장률이 떨어졌지만, 정부의 광물 및 공공인프라에 적극적인 투자로 인해 수요가 늘어나고, 2015년에 다시 회복 될 것으로 전망함
2. 수입동향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단위: US$ 천, %)
구분 |
2011 |
2012 |
2013 |
|||
수입규모 |
증가율 |
수입규모 |
증가율 |
수입규모 |
증가율 | |
수입규모 및 성장률 |
27,433 |
0.04 |
51,038 |
1 |
42,029 |
0.2 |
자료원 : SUNAT
□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페루/철강형강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721633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
국가 |
금액 |
점유율 |
증감율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3/12 | ||
0 |
총계 |
25.0 |
44.0 |
37.8 |
100 |
100 |
100 |
-14.13 |
1 |
한국 |
6.03 |
43.97 |
19.33 |
24.2 |
74.8 |
51.1 |
-41.2 |
2 |
브라질 |
5.59 |
32.89 |
11.73 |
22.4 |
0.0 |
31.1 |
0.0 |
3 |
미국 |
9.59 |
0.00 |
5.57 |
38.5 |
5.7 |
14.7 |
123.9 |
4 |
칠레 |
1.83 |
2.49 |
0.41 |
7.4 |
0.0 |
1.1 |
0.0 |
5 |
스페인 |
0.54 |
6.16 |
0.28 |
2.2 |
14.0 |
0.7 |
-95.5 |
6 |
중국 |
0.19 |
0.67 |
0.27 |
0.7 |
1.5 |
0.7 |
-60.0 |
7 |
룩셈부르크 |
0.88 |
0.66 |
0.19 |
3.6 |
1.5 |
0.5 |
-70.6 |
8 |
터키 |
0.00 |
0.00 |
0.01 |
0.0 |
0.0 |
0.0 |
0.0 |
9 |
노르웨이 |
0.00 |
0.00 |
0.01 |
0.0 |
0.0 |
0.0 |
0.0 |
10 |
폴란드 |
0.00 |
0.00 |
0.00 |
0.0 |
0.0 |
0.0 |
0.0 |
자료원 : World Trade Atlas
□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
ㅇ 조세율
(단위: %)
HS Code |
관세 |
특소세 |
부가세 |
보험 |
721633 |
0 |
100 |
16 |
2 |
3. 유통구조
□ 주요 유통채널
○ 제조업체는 국내 · 외국제조업체로 나뉘고, 양쪽업체는 페루의 모든 전역에 유통되기 위해 중개인을 통
해서 거래가 이루어 짐. 외국제조업체의 경우는 철강 산업, 기타같은 국내 수입업체들과 가공 및 거래가
이루어짐
○ 국내제조업체는 대규모 공사를 담당하는 기업, 구매업자 또는 중소기업들에 공급해 줄수 있으며, 구매업
자나 중소기업인 경우에는, 최종소비자는 집이나 아파트 건축을 원하는 소비자이거나 소규모 건축 회사
가 될 수 있음
4. 경쟁동향
□ 경쟁제품 현황
단위(%)
국가 |
시장점유율 |
대한민국 |
52% |
미국 |
18% |
브라질 |
15% |
스페인 |
8% |
중국 |
2% |
칠레 |
2% |
기타국가 |
3% |
○ 대한민국은 최근 몇 년 동안 페루 철강도리시장에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52%)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순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음
○ 철강소재도리 수입추세를 보아, 2011-2012년 기간에 283%로 크게 증가했었음
○ 2012-2013년에 철강소재도리시장의 수입규모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
할 수 있었던것은 페루의 Tubisa, Tradi, Ragen社의 지속적인 수입으로 유지할 수 있었음
□ 한국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페루에 뛰어난 품질로 한국제품에 대한 좋은 인식을 가지고 있어서, 페루 철강 대형 유통 업체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 현지 페루기업체들은 주로 제품브랜드에 기입되어 있는 원산지를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음
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 타깃 고객층 및 무역관 의견
○ 고객은 광물 및 건설 분야에 좋은 관계를 맺고 있는 철강 및 제철업의 상품 유통업자 및 구매업자임
○ 한국제의 높은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이용해서 현지의 유통업자 및 구매업자들 간의 좋은 관계로 유지하면서 한국지사를 확장해야만 페루의 더 나은 시장조사 및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에 입찰에 좋은 성과를 낼 것으로 전망
□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 현지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ExpoMina Perú 2014 exposición minera de Perú, Lima |
전시회명(한국어) |
2014년 국제 광물자원 엑스포 전시박람회 |
전시품목 |
철강형강(건축) ,굴삭기, 파이프관, 광산채굴보호장비, 운반 장비 |
개최국가/도시 |
페루/리마 |
개최주기 |
매년 |
개최기간(2014년) |
2014.9.10.~2014.9.12. |
웹사이트 |
www.expominaperu.com |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페루 철근형강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네덜란드, CSR도 트렌드가 있다 | 네덜란드 | 2015-03-06 |
2 | 미국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 시장 | 미국 | 2014-08-14 |
3 | 브라질 변압기 시장현황 | 브라질 | 2014-08-09 |
4 | 페루 초음파 장비 시장동향분석 | 페루 | 2014-12-11 |
5 | 네덜란드 대형 PL 유통망이 진단하는 소매시장과 마케팅 전략 | 네덜란드 | 2015-03-07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