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과이 프린터기 및 액세서리 시장을 주목하라.
1.시장동향
□ 시장규모
○ 파라과이의 프린터기 및 이의 부품과 부속품(Hs Code 8443.31, 8443.32, 8443.99) 수입시장 규모는 2014년 10월 기준 5131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 성장함. 파라과이는 자국 생산이 전무하기 때문에 수입규모를 시장규모로 볼 수 있음.
프린터기 관련 품목 수입통계
(단위: US$ 천, %)
HS Code |
2011 |
2012 |
2013 |
2014 (1~10월) |
||||
시장규모 |
성장률 |
시장규모 |
성장률 |
시장규모 |
성장률 |
시장규모 |
전년대비성장률 | |
8443.31 |
19,996 |
24.6 |
15,534 |
-22.3 |
12,896 |
-17.0 |
16,595 |
50.7 |
8443.32 |
16,934 |
13.5 |
15,602 |
-7.9 |
13,339 |
-14.5 |
14,185 |
24.0 |
8443.99 |
26,885 |
13.3 |
35,539 |
32.2 |
32,740 |
-7.9 |
20,535 |
-27.3 |
총계 |
63,815 |
16.7 |
66,675 |
4.5 |
58,975 |
-11.5 |
51,315 |
1.2 |
주: 8443.31 자동자료처리기계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인쇄, 복사, 팩시밀리 전송의 기능 중 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계
8443.32 자동자료처리기계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기타의 기기
8443.99 기타(부품 및 부속품)
○ 시장개요 및 전망
- 2013년과 2014년 지속적인 경제성장률을 기록함과 동시에 새로운 기업과 사무실이 다수 개설돼 프린터기 관련 시장이 점진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됐음.
-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소수의 가정과 민간 기업만이 프린터기를 보유했었고 동 산업 관련 서비스 기업 또한 적었으나 최근 소비자 구매력 상승과 동시에 프린터 및 관련 소비품의 사용빈도가 높아졌음.
- 2012년과 2013년 프린터기 수입은 다소 소극적이였으나 관련 수입업체는 2014년을 기반으로 향후 3년 가량 수입률이 상승할 전망이라는 의견을 비췄음.
- 프린터기 부품 및 액세서리의 수입이 최근 4~5년간 가장 큰 성장을 보였으며 관련 품목 중 잉크(cartucho)가 가장 많이 수입됐음.
○ 시장 특성 및 종합의견
- 현재, 파라과이에는 수입 규모가 약 100만 달러되는 수입업체는 10개사 미만인 것으로 추정되며 시장점유율 중 50%를 차지하고 있음.
- 동 품목 소비자 성향은 가격 경쟁력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소비자와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로 분류되는 것으로 조사됐음.
○ 소비자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수도 아순시온을 비롯한 국경지대 도시인 씨우닫 델 에스떼와 엔카르나시온에 관련 기업과 대리점이 입주해 있음.
· 일반 소비자 또한 프린터 및 소모품의 중요한 소비자임.
- 소비자 구매동기
· 비교적 저렴한 가격.
· 제품의 기능.
○ 제품 트렌드
- 파라과이시장 내 가장 많이 쓰이는 프린터기 및 소모품 종류는 가정용 소형 흑백·칼라 프린트와 관련 소모품이며, 소-중형 사무실용 프린터기 또한 많이 쓰임. 브랜드와 유형에 따라 기능이 각각 상이함.
파라과이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프린트와 소모품 예
흑백·칼라 잉크 소형 프린터 |
흑백·칼라 잉크 복합기 |
|
|
흑백·칼라 레이저 복합기 |
사무실용 대형 흑백 복합기 |
|
|
잉크프린터기용 카트리지 |
레이저프린터기용 카트리지 |
|
|
○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
- 프린터기와 소모품 관련 특기할만한 정부 정책은 없음.
2.수입동향
□ 수입동향
○ 최근 4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Hs Code 8443.31, 8443.32, 8443.99 기준)
(단위: US$ 천, %)
HS Code |
2011 |
2012 |
2013 |
2014 (1월~10월) |
||||
시장규모 |
성장률 |
시장규모 |
성장률 |
시장규모 |
성장률 |
시장규모 |
전년대비성장률 | |
8443.31 |
19,996 |
24.6 |
15,534 |
-22.3 |
12,896 |
-17.0 |
16,595 |
50.7 |
8443.32 |
16,934 |
13.5 |
15,602 |
-7.9 |
13,339 |
-14.5 |
14,185 |
24.0 |
8443.99 |
26,885 |
13.3 |
35,539 |
32.2 |
32,740 |
-7.9 |
20,535 |
-27.3 |
총계 |
63,815 |
16.7 |
66,675 |
4.5 |
58,975 |
-11.5 |
51,315 |
1.2 |
파라과이 프린터기 및 액세서리 주요 수입업체
(단위: US$ 천, %)
수입업체 |
2014년 10월 수입액 |
전년대비 성장률 |
회사정보 |
|
순위 |
총계 |
51,315 |
1.2 | |
1 |
ESPANA INFORMATICA |
6,800 |
7.9 |
브라질과 국경지대에 시우다드 델 에스떼에서 위치한 회사임. 2014년 10월 기준 14%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함. |
2 |
SOL CONTROL |
6,500 |
7.0 |
1994년 전 창립된 회사이며 가전제품 및 기타 전자제품 수입과 유통에 경험이 많음. |
3 |
POLE S.A. |
4,100 |
1.150 |
전자제품 수입 전문회사이며 2014년 10월 기준 8%의 시장점유를 차지함. |
4 |
J. FLEISHMAN |
3,200 |
-3.0 |
25년 전에 설립된 이 회사는 인쇄업을 경영하는 업체임. 현재 시장의 7%를 점유하고 있으나 2014년 10월 기준 수입액은 3%로 감소함. |
5 |
ECLIPSE GROUP |
2,500 |
-73.1 |
이 회사는 전년 대비 수입액이 많이 감소됐으며 시장의 5%를 점유했음. |
자료원: Penta- Transaction 2014 10월 기준
- 프린터기와 프린터기 액세서리의 주요 수입원은 가전제품과 전자제품 분야, 그리고 인쇄업의 전문회사임.
최근 3년간 상위 7개국의 수입통계
(단위: US$ 천, %)
순위 |
국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2 |
2013 |
2014 10월 |
2012 |
2013 |
2014 10월 |
13/12 | ||
|
총계 |
66,675 |
58,975 |
51,315 |
100 |
100 |
100 |
-11.5 |
1 |
중국 |
40,999 |
36,910 |
35,599 |
61.49 |
62.59 |
69.37 |
-10.0 |
2 |
미국 |
6,940 |
6,846 |
5,083 |
10.41 |
11.61 |
9.91 |
-1.4 |
3 |
스페인 |
230 |
93 |
1,842 |
0.34 |
0.16 |
3.59 |
-59.6 |
4 |
일본 |
6,149 |
3,462 |
1,375 |
9.22 |
5.87 |
2.68 |
-43.7 |
5 |
우크라이나 |
0 |
0 |
1,267 |
0.00 |
0.00 |
2.47 |
- |
6 |
브라질 |
1,094 |
1,535 |
860 |
1.64 |
2.60 |
1.68 |
40.3 |
7 |
인도네시아 |
832 |
1,088 |
815 |
1.25 |
1.84 |
1.59 |
30.8 |
8 |
독일 |
2,283 |
4,897 |
788 |
3.42 |
8.30 |
1.54 |
114.5 |
9 |
멕시코 |
1,129 |
946 |
604 |
1.69 |
1.60 |
1.18 |
-16.2 |
10 |
푸에르토리코 |
1,443 |
714 |
427 |
2.16 |
1.21 |
0.83 |
-50.5 |
14 |
한국 |
143 |
164 |
253 |
0.21 |
0.28 |
0.49 |
14.7 |
주: CIF 기준
자료원: Penta- Transaction 2014년 10월 기준
- 파라과이는 프린터기와 액세서리를 중국에서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음. 한국 또한 수입국이나, 수입량이 여전히 작음.
○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
- 조세율: 관세율, 부가세율, 소비세율 등
HS Code |
관세 |
특소세 |
부가세 |
소비세 |
8443.31 |
0% |
0% |
1.5% |
0% |
8443.32 |
0%~2% |
0% |
1.5% |
1% |
8443.99 |
0%~2% |
0% |
1.5% |
0% |
자료원: Mercosur External Common Tariff 자료
· 남미공동조합(MERCOSUR)의 회원국인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 등에서는 무관세로 수입됨.
· MERCOSUR의 회원국 중에서 파라과이와 우루과이에서는 특별하게 프린터와 이의 액세서리가 정보 및 텔레콤 재산(BIT)으로 구별이 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제품의 세금이 0~2%로 매우 낮은편임. 또한 1.5%의 부가세가 부가됨.
□ 유통구조
○ 주요 유통채널
- 유통채널별 점유율
· 파라과이 소비자는 가전제품과 전자제품 전문점, 인쇄업의 전문업체 등에서 주로 구매함.
- 유통채널 활용 방안
· 동 제품의 경우 특기할만한 유통채널이 존재하지는 않음.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현황
○ 파라과이 내 프린터기 및 관련 제품시장은 주로 브라질산임. 한국산 또한 수입되며, 최근 중국산 제품도 수입되기 시작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파라과이 프린터기시장의 주요 수입국이 될 것으로 전망함.
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US$ 천, %)
브랜드명 |
수입액 |
브랜드 시장점유율 |
HEWLETT PACKARD |
16,000 |
51.0 |
EPSON |
5,200 |
17.0 |
RICOH |
2,400 |
8.0 |
SAMSUNG |
900 |
3.0 |
BROTHER |
700 |
2.3 |
주: 동 데이터는 수입통계를 바탕으로 자체 계산한 잠정치임.
자료원: Penta-Transaction - 2014 10월 기준
4.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 타깃 고객층
○ 가전제품과 전자제품 전문점, 인쇄업의 전문업체, 일반 소비자
○ 타깃 사유
- 최근 파라과이의 지속적 경제성장에 따라 민간 소비도 증가할 추세이며, 이에 따라 프린터기와 기타 가전제품 및 전자 제품 수요 또한 상승할 것으로 보임.
- 일반 소비자는 프린터기를 필요로 할 때, 가전제품과 전자제품 전문 회사에 의뢰함.
□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현지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EXPO Paraguay |
전시회명(한국어) |
파라과이 박람회 |
전시품목 |
종합품목 |
개최국가/도시 |
파라과이/Mariano Roque Alonso |
개최주기 |
매년 |
개최기간(2014년) |
7월 |
웹사이트 |
주: 파라과이는 아직 전문전시회가 초기 시작 단계이며, 매우 소규모임.
○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 바이어 직접 접촉이 가장 효과적임.
□ 시사점
○ 2013년 수입이 저하됐으나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구매력이 상승하고 민간 기업과 가정에서의 소비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함.
○ 동 산업 소비자의 경우 품질을 우선시하는 소비자와 가격을 중시하는 소비자로 분류됨. 현지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타깃 소비자층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
○ 파라과이 바이어와 소통하는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면대면 미팅임. 대부분의 바이어는 이메일과 유선 통화에 대한 답변이 늦음. 또한 대부분의 관련 업체는 중국에 딜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됨.
○ 동 제품 수입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잉크, 부품 등 관련 업계 제품의 진출이 원만할 것으로 예상함.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파라과이 프린터기 및 액세서리 시장을 주목하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브라질 안경테 시장동향 | 브라질 | 2014-10-30 |
2 | 브라질 의약품 시장동향 | 브라질 | 2014-10-29 |
3 | 캐나다 면류시장 동향 | 캐나다 | 2014-11-15 |
4 | 폴란드 구급상자 시장동향 | 폴란드 | 2014-11-15 |
5 | 호주 2015년 경제 전망 | 호주 | 2015-01-15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