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가습기 시장동향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시장조사 전문업체 GfK가 독일의 1만5000가구를 대상으로 집안 내 건강·미용관리를 위한 보유 제품을 조사한 결과 2%에 해당하는 300가구가 가습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함.
- 독일 전자가전제품 도매시장 규모는 2013년 기준 약 640만 유로로 전년대비 1.03% 성장, 2009년부터 2014년 현재까지 미미하지만 매년 평균 1% 이상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추세로 이 추세는 2018까지도 이어질 것으로 예측됨.
자료원: www.statista.de
□ 시장전망
○ 수요증대 예상요인
- 겨울철 난방을 위해 방열기 작동 시 실내 적정 습도 40~60%를 벗어나 30% 이하로 떨어지게 됨. 이 경우 피부, 안구 건조, 면역력 저하 등의 건강 문제를 지적하며 Salssburger Nachrichten 등의 매체에서 가습기 사용 권유
- 독일 통계 자료 홈페이지 statista에 따르면 주거 환경의 질 하락 결정 요인을 조사한 결과 습도를 선택한 사람은 13%임. 이외 주요 요인으로는 소음(27%), 오염(22%)이고 이에 이어 습도는 3위를 차지함.
자료원: www.statista.de
○ 수요 감소 예상 요인
- 매체에서 계속해서 가습기의 위생 문제를 언급하며 식물 등의 천연 가습기를 권유해 수요 감소 예상
○ 무역관 전망
- 제품 특성상 위생에 취약해 제품의 주요 구매 요건 중 하나는 위생임. 인지도 높은 브랜드의 제품이나 독일 기업의 제품이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위생적 결함이 발견될 경우 틈새시장이 생길 수 있음.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일반 가정, 병원, 사무실, 쇼핑몰 등
○ 소비자 구매 동기: 에너지 효율성, 디자인, 소음, A/S, 인지도, 가격
□ 수입 동향
○ 개관
- 최근 3년간 해당 제품(EU HS Code 8509 80)의 수입은 매우 미미하지만 매년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
- 한국 제품 수입의 경우 2014년 9월까지의 수입액은 183만 달러로 2013년 한 해에 비해 29% 증가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독일 가습기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8509 80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2 |
2013 |
2014.9. |
2012 |
2013 |
2014.9. |
13/12 | ||
|
총계 |
175.96 |
222.88 |
259.37 |
100.00 |
100.00 |
100.00 |
16.37 |
1 |
중국 |
85.16 |
89.89 |
113.38 |
48.40 |
40.33 |
43.71 |
26.13 |
2 |
이탈리아 |
7.40 |
24.01 |
38.66 |
4.21 |
10.77 |
14.91 |
61.03 |
3 |
리투아니아 |
13.05 |
27.80 |
31.74 |
7.42 |
12.47 |
12.24 |
14.17 |
4 |
헝가리 |
16.57 |
7.21 |
9.21 |
9.42 |
3.24 |
3.55 |
27.65 |
5 |
스위스 |
6.99 |
7.91 |
9.06 |
3.97 |
3.55 |
3.49 |
14.47 |
6 |
미국 |
1.04 |
2.09 |
6.61 |
0.59 |
0.94 |
2.55 |
216.18 |
7 |
터키 |
6.86 |
5.37 |
6.04 |
3.90 |
2.41 |
2.33 |
12.52 |
8 |
네덜란드 |
5.52 |
14.68 |
5.96 |
3.13 |
6.59 |
2.30 |
-59.38 |
9 |
아일랜드 |
8.28 |
6.75 |
5.26 |
4.71 |
3.03 |
2.03 |
-22.00 |
10 |
오스트리아 |
3.18 |
3.95 |
4.62 |
1.81 |
1.77 |
1.78 |
16.98 |
16 |
한국 |
1.83 |
1.41 |
1.83 |
1.04 |
0.63 |
0.71 |
29.57 |
자료원: World Trade Atlas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 규제 제도
○ 필수 인증
- CE 인증
□ 관세율
○ 관세율: 한-EU FTA 발효 이후 한국 0%세율 적용(제3국 대상 2.2% 부과)
- 부과세: 19%
□ 주요 유통 채널
○ 주요 유통채널
- 전자제품 전문 매장: Media-Markt, Saturn 등
- 온라인 시장: 주요 온라인 유통업체(Ebay, Amazon, Otto 등), 해당 업체 홈페이지
3. 경쟁동향
□ 경쟁제품
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유로, ㎡)
제조업체명 |
브랜드명 |
가격 |
권장사용면적 |
원산지 |
비고 |
Klarstein |
Monaco Digitaler |
59.90 |
40이하 |
독일 |
TECHNIK ZU HAUSE 평가(2014.08) 1.0점 |
Balmuda |
Rain |
499 |
28 |
일본 |
독일 reddot award 2014 디자인 상 |
Qlima |
ZIBRO H 509 |
129.99 |
40이하 |
네덜란드 |
|
Stadler |
Fred |
119 |
50이하 |
스위스 |
스위스 2008 Housewares Design Awards 가전제품부문 입상 |
Caso |
Air Vital 5400 |
99 |
- |
독일 |
|
Medisana |
Ultra Sonic Personal Humidifier |
49.95 |
- |
독일 |
스위스 2006 Housewares Design Awards 가전제품부문 1위 |
Steba |
LB 7 |
79.99 |
25 |
독일 |
|
Medisana |
Ultrabreeze |
109.95 |
- |
독일 |
Testberichte.de 평가(2009.11.) 4.7점 |
주: 평가결과의 경우 1.0이 매우 좋음이며 5.0이 결함있음임
자료원: 각 사 홈페이지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낮음
○ 선호 브랜드: 독일 브랜드(Klarstein, Medisana 등) 혹은 인지도 높은 브랜드(Philips 등)
□ 전문 전시회 정보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Consumenta Nuernberg |
전시회명(한국어) |
뉴렌버그 소비재 박람회 |
전시품목 |
가정용품, 건강, 소비재 등 |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
독일/뉴렌버그/매년 |
규모(참가업체수) |
851개 사/방문객 약 10만 명 |
개최기간(2015년) |
2015.10.24.~11.1. |
웹사이트 |
www.consumenta.de |
전시회명(현지어명) |
Baby + Kind |
전시회명(한국어) |
독일 프라이부르크 영유아 박람회 |
전시품목 |
완구, 유아의류, 유아위생용품 등 |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
독일/프라이부르크/매년 |
규모(참가업체수) |
63개 사/방문객 약 4500명 |
개최기간(2015년) |
2015.5.2.~3. |
웹사이트 |
www.baby-messe.freiburg.de |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 독일 소비자가 독일 기업의 제품 혹은 인지도 높은 브랜드의 제품을 선호하나 가장 중시하는 구매 요소인 성능, 디자인 면에서 차별화된 제품일 경우 바이어나 소비자는 기꺼이 구매함.
- 바이어와 소비자의 제품 신뢰 형성 가격 형성대는 50~100유로로 그 이하 가격은 저렴한 이미지를 주고 그 이상의 가격대 제품은 부담스러운 가격으로 생각됨.
□ 마케팅 방안 및 타깃 고객층
○ 한국 가습기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편이므로 자사 제품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마케팅 활동이 필요함.
- 가습기 관련 가정용품 및 유아용품 전시회 참가는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 중 하나
- 전시회 참가 시 영문 카탈로그와 영문 홈페이지 준비 시 바이어에게 좋은 인상 부여 가능
○ 차별화 된 기능과 디자인을 소비자와 바이어에게 어필하는 것이 중요
- 낯선 브랜드일지라도 디자인과 성능이 입증된 제품의 경우 구매 의향이 높아짐으로 이를 활용하는 것을 권장
- 스위스 Housewares Design Awards, 독일 reddot award 등의 디자인 어워드 또는 국제 발명품 어워드에 수상 혹은 출품해 제품의 품질을 증명하는 것은 좋은 마케팅 방안임.
- 바이어에게는 샘플을 제공해 직접 사용해보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나 샘플 제공 시 자사만의 디자인과 기능의 보호를 위해 비밀유지계약서(NDA) 체결 권장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독일 가습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UAE 제습기·가습기 시장동향 | 아랍에미리트 | 2018-12-05 |
2 | 러시아, 가습기·공기청정기 시장이 뜨고 있다 | 러시아 | 2015-11-30 |
3 | 파라과이 프린터기 및 액세서리 시장을 주목하라. | 파라과이 | 2014-11-30 |
4 | 중국 2기 자유무역시험구 어디에 있나 | 중국 | 2015-01-14 |
5 | 라오스 운동용품 시장동향 | 라오스 | 2014-08-14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