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냉동식품 시장동향
1. 시장동향
□ 시장규모
○ 프랑스의 냉동식품 규모는 2013년 기준 113억5315만 달러규모로 작년대비 1.2% 감소
프랑스 냉동식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US$ 천, %)
구분 |
2011 |
2012 |
2013 |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
시장규모 및 성장률 |
9,107,470 |
1.8 |
11,491,000 |
2.1 |
11,353,150 |
-1.2 |
자료원: Revues – Le monde du surgelé
□ 시장전망
○ 수요증대 예상요인
- 최근 10년 동안 프랑스에서 냉동식품 소비는 17% 증가했으며, 2013년 기준 프랑스인 95%가 냉동식품을 소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냉동식품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부정적인 인식에도 제조업체는 꾸준한 기술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매년 새로운 신제품을 출시해 냉동식품의 질을 향상시키고 제품을 다양화하며 시장을 확대시켜나가는 추세
- 현대인 삶의 패턴을 분석해 시간절약, 간편한 조리, 이동의 편리성, 합리적인 가격, 좋은 품질 및 수준 높은 맛 등의 장점을 부각시키며 꾸준한 상승세를 보임.
○ 수요감소 예상요인
- 2013년 초 전 유럽을 휩쓸었던 냉동식품 말고기 파동으로 인해 최근 20년 만에 2013년 기준 전년대비 최초로 냉동식품의 소비가 하락함. 안전한 먹거리라는 인식에 큰 타격을 주었고, 거짓 재료 표기로 인해 그동안 쌓아온 가공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잃음.
-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 급증으로 인해 균형 잡힌 식단, 안전한 먹거리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인스턴트나 냉동식품보다는 Bio 및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
○ 종합의견
- 냉동식품은 시간 절약, 합리적인 가격, 간편한 조리, 편리함 등으로 최근 20년 동안 꾸준하게 식품시장에서 성장세를 이어왔으나, 2013년 말고기 파동으로 안전한 먹거리와 냉동 가공 식품에 대한 신뢰를 잃으며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 또한 유기농 친환경 식품이 소비자 사이에서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며 냉동식품에 대한 소비가 줄어들고 있으나, 바쁜 현대인의 삶에 부합하는 냉동 식품은 여전히 식료품시장에서 인기를 지속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임.
□ 소비자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20~40대인 학생 및 직장인이 주요 소비자 계층이며, 청소년 자녀가 있는 가구와 1인 가구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음.
- 최근 불경기로 50~60대에서도 냉동식품의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가 소폭 상승하고 있음.
○ 소비자 구매동기
- 소비자는 요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없거나 간편한 조리를 원하는 경우와 식재료 손질을 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원하는 경우에 냉동식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불경기 여파로 합리적인 가격에도 높은 질과 맛의 식품을 구매하기 원하는 경우와 직장이나 학교, 야외에서 간단한 식사를 원하는 경우에도 냉동식품을 선택함.
□ 제품 트렌드
○ 2013년 말고기 파동으로 인한 소비자 신뢰 추락
- 냉동가공식품의 안정성과 신뢰가 무너지면서 소비자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는 상황
- 먹거리에 관련해 타국가보다 민감한 프랑스 소비자를 위해 현재 유기농 냉동식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냉동 가공 식품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바꾸고자 노력하고 있음. 그럼에도 소비가 감소하는 추세
□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
○ 프랑스 정부는 식품 산업에서 안전, 균형잡힌 영양, 식생활 및 위생에 관련된 여러가지 정책을 진행 중임.
- 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한 지원체계를 확립해 특히 2013년도 말고기 파동 이후 식품에 관련된 정부의 정책은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보임.
- 식품안전정보를 위한 원산지 표시제도 활성 및 위생적인 식품의 안정적인 공급, 식품 안전관리 대책을 통한 피해 발생 시 즉시 구제를 진행
2. 수입동향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동향
최근 3년간 수입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US$ 천, %)
구분 |
2011 |
2012 |
2013 |
|||
수입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
수입규모 및 성장률 |
151,440 |
10.27 |
158,900 |
4.93 |
159,699 |
0.50 |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 최근 3년간 상위 10개국의 수입통계
프랑스 냉동식품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190220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
국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3/12 | ||
|
전체 |
151,440 |
158,900 |
159,699 |
100.00 |
100.00 |
100.00 |
0.50 |
1 |
이탈리아 |
75,280 |
77,041 |
75,601 |
49.71 |
48.48 |
47.34 |
-1.87 |
2 |
벨기에 |
34,282 |
35,354 |
37,950 |
22.64 |
22.25 |
23.76 |
7.34 |
3 |
헝가리 |
7,005 |
8,647 |
12,039 |
4.63 |
5.44 |
7.54 |
39.23 |
4 |
룩셈부르크 |
17,991 |
22,307 |
11,232 |
11.88 |
14.04 |
7.03 |
-49.65 |
5 |
태국 |
2,005 |
1,760 |
6,525 |
1.32 |
1.11 |
4.09 |
270.83 |
6 |
오스트리아 |
3,444 |
3,845 |
3,466 |
2.27 |
2.42 |
2.17 |
-9.84 |
7 |
베트남 |
2,554 |
2,807 |
2,988 |
1.69 |
1.77 |
1.87 |
6.43 |
8 |
스페인 |
784 |
942 |
2,068 |
0.52 |
0.59 |
1.29 |
119.47 |
9 |
독일 |
2,756 |
1,876 |
1,879 |
1.82 |
1.18 |
1.18 |
0.20 |
10 |
네덜란드 |
906 |
1,039 |
1,660 |
0.60 |
0.65 |
1.04 |
59.81 |
14 |
한국 |
220 |
315 |
275 |
0.15 |
0.20 |
0.17 |
-12.59 |
자료원: GTA(Global Trade Atlas)
□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
○ 조세율: 관세율, 부가세율, 소비세율 등
- 기준세율: 5.1%
- 한 EU FTA 발효 후 관세율: 무관세
- 한-EU FTA는 수출자가 물품 명세가 상세히 기재된 서류(상업송장, 포장명세서 등의 상업서류)에 원산지 신고서 문안을 기재해 특혜관세적용을 받을 수 있음.
○ 통관 시 유의사항
- 모든 사용재료는 체약당사국에서 완전 생산된 것이어야 하며, 라벨에 원산지 규정에 의거한 제조자, 유통업자, 포장업자 등을 정확히 표시해야 함.
- 통관 시 ‘FROZEN’이라는 반드시 표기해야함.
○ 필수 인증 현황
- CE인증 및 NF인증 필수
- 인증기관: AFNOR
* AFNOR(Association Française de Normailisation 프랑스표준협회)
- 프랑스 대표 시험 및 인증 기관으로 ISO, CE, NF 등 대부분의 필수인증과 Ecolabel 등 임의인증 관련한 시험, 검증, 인증 및 관련 컨설팅 담당 - 품목별 담당자가 정해져 있으며, 인증 및 관련 컨설팅을 위해서는 사전에 인터넷이나 우편을 통해 견적을 신청해야 함. AFNOR 한국 사무소를 통해서도 신청 가능
홈페이지 www.afnor.org 우편주소 11, rue Francis de Pressensé 93571 La Plaine Saint-Denis Cedex 한국사무소 AFAQ EAQA Korea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980-3 디지털엠파이어 A-604 032-303-4590~2 korea@afnor.org |
3. 유통구조
□ 주요 유통채널
○ 유통채널별 점유율
- 냉동식품 전문점: 냉동식품 시장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1위 업체는 Picard
- 냉동식품 배달점: 냉동식품 시장의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1위 업체는Toupargel
- 대형마트: 냉동식품 시장의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통망에 따라 냉동식품 매출 비중은 다름.
○ 유통채널 활용 방안
- 한국 냉동식품은 주로 한국 식품점을 통해서만 유통되고 있음. 그러나 현재, MR.MIN이라는 한국 회사에서 E Leclerc에 한국 야채 냉동만두를 유통해 좋은 반은을 얻고 있음.
- 프랑스 대형마트인 Carrefour나 E Leclerc 등 대형 유통망을 연결해 제품을 소비자에게 선보이면 인지도를 올릴 수 있음.
4. 경쟁동향
□ 경쟁제품 현황
주요 경쟁제품 현황
(단위: 유로, %)
업체명 |
브랜드명 |
가격 |
시장점유율 |
원산지 |
Picard |
Picard |
1~27 |
12 |
프랑스 |
Nestlé |
Findus |
1~35 |
9 |
프랑스 |
Bonduelle |
Bonduelle |
1~30 |
- |
프랑스 |
자료원: Euromonitor
□ 한국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 프랑스에서 아직 한국 냉동식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는 그리 높지 않음. 주로 한국 식품점에서만 한국 냉동식품을 유통해 프랑스인에게는 생소한 편
- 현재 Mr. MIN이라는 한국 브랜드가 E Leclerc라는 대형마트에 한국 냉동만두를 유통하고 있음. 100% 야채냉동만두로 인지도를 높이고 있음.
- 일본, 중국, 태국에 이어서 현재 프랑스 대형 유통매장 한국 냉동제품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
○ 선호 브랜드
- 프랑스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냉동식품 브랜드는 Picard, Findus, Bonduelle 등임.
- Picard는 프랑스 전역에 920개의 매장을 가지고 있으며, 냉동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바꾸어 놓은 대표적인 브랜드로 소비자의 높은 신뢰를 받고 있음.
- Findus는 현재 가장 주목받으며 급성장 중인 브랜드로 천연 재료와 신선함을 어필하며 생선, 감자 관련 냉동제품에서 독보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5.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 타깃 고객층
○ 타깃 고객층
- 시간이 부족하거나 요리를 즐겨하지 않는 20~40대의 학생 및 직장인, 1인 가구
○ 타깃 사유
- 냉동식품의 장점은 시간 절약과 간편함으로 직장인과 학생은 바쁜 일상으로 요리하고 장보는 일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을 원하지 않아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간편한 냉동식품을 선호
- 1인 가구는 혼자서 간편히 먹을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 현지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SIAL - Salon de l'industrie agroalimentaire |
전시회명(한국어) |
국제 식품 박람회 |
전시품목 |
낙농업 제품, 수산물, 과일 및 채소류, 육류, 케이터링, 냉동식품, 통조림, 음료, 식품첨가물, 과자류, 유기농제품, 건강식품 |
개최국가/도시 |
France / Paris |
개최주기 |
격년 |
개최기간 |
2016.10.16.~20. |
웹사이트 |
www.sialparis.fr |
○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 프랑스인은 자신이 알지 못하는 식품을 경계하는 편으로 생소한 한국 제품을 프랑스인에게 알리기 위해 시식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 직접 맛 보고 제품에 친숙해지면 호기심과 관심을 가질 수 있음.
- 채식주의자나 종교에 따라 음식을 제한하는 등 다양한 기호를 가진 사람이 공존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는 것 또한 좋은 마케팅이 될 수 있음.
- 고품질의 재료 사용, 패키지 디자인 고급화 등 안전한 먹거리 이미지를 강조하는 것도 중요
- 한국 음식을 중국, 일본, 태국 음식 등과 잘 구분하지 못하므로 한국 제품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다른 아시아 음식과 차별화하는 전략을 전개할 필요도 있음.
○ 유력 홍보 방안
- 프랑스 내 가장 큰 냉동식품 전문잡지인 Le monde du surgelé에 광고 게재 등을 통한 홍보활동도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됨.
Le Monde du Surgelé Pyc Edition 16-18, place de la Chapelle 75018 Paris FRANCE Tél: +33 (0)1 53 26 48 00 Fax: +33 (0)1 53 26 48 01 |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프랑스 냉동식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美 가공식품 시장에서 다시 주목 받는 냉동식품 | 미국 | 2019-05-29 |
2 | 프랑스 식품시장 트렌드 | 프랑스 | 2018-07-19 |
3 | 이탈리아 소형 주방 가전기기 시장동향 | 이탈리아 | 2014-11-28 |
4 | 美, 자택대피령 특수 누리는 냉동식품시장 | 미국 | 2020-05-15 |
5 | 독일 냉동만두 시장동향 | 독일 | 2019-04-12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