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오토바이 시장동향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대만 오토바이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356억9400만 대만 달러로 전년 대비 7.73% 증가함.
대만 오토바이 시장규모 동향
(단위: NT$ 백만, %)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및 성장률 |
34,036 |
18.66 |
33,134 |
-2.65 |
35,694 |
7.73 |
자료원: 대만 경제부 통계처
□ 시장전망
○ 오토바이 천국 대만
- 오토바이는 대만의 제1교통수단으로 인구 100명당 오토바이 수가 60여 대에 달함.
- 대만은 주차공간이 부족하고 유가도 높은 편이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공간 활용성이 높은 오토바이가 선호됨
- 정부 또한 오토바이 전용 대기선을 만드는 등 오토바이를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오토바이에 대한 대만 소비자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
대만 오토바이 총 대수 및 인구 100명당 대수
(단위: 대, 명)
2011년 |
2012년 |
2013년 | |||
총 대수 |
100명당 대수 |
총 대수 |
100명당 대수 |
시장규모 |
100명당 대수 |
15,713,602 |
65.3 |
15,139,628 |
64.9 |
14,195,123 |
60.8 |
자료원: 대만 교통부
대만의 출근시간 오토바이행렬과 오토바이전용 대기선
자료원: 구글 이미지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 15세 이상 오토바이 면허소지자 전부가 대상이며, 그중에서도 20~40대 연령층은 대만 오토바이 시장의 주요 소비자임.
대만 오토바이 면허증 소지현황
(단위: 명)
연령대 |
20세 미만 |
20~30세 |
30~40세 |
40~50세 |
50~60세 |
60세 이상 |
대형(250㏄이상) |
- |
33,469 |
71,089 |
52,542 |
13,347 |
5,945 |
중형(50~250cc) |
155,425 |
2,553,094 |
3,044,327 |
2,578,799 |
2,339,133 |
1,067,811 |
중형(50cc 이하) |
1,621 |
70,694 |
249,955 |
252,611 |
198,116 |
165,711 |
자료원: 대만 교통부
○ 구매 고려요소
대만 소비자 오토바이 구매고려요소
자료원: EOLembrain東方快線
□ 수입동향
○ 개관
- 대만의 오토바이 수입규모는 2013년 기준 7020만 달러로 전년대비 20.53% 증가함.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대만 오토바이 수입국 현황(HS Code 8711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
국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3/12 | |
|
총계 |
43,911 |
58,264 |
70,226 |
100 |
100 |
100 |
20.53 |
1 |
일본 |
16,658 |
25,558 |
28,138 |
37.94 |
43.87 |
40.07 |
24.74 |
2 |
이탈리아 |
9,286 |
14,592 |
14,442 |
16.59 |
25.04 |
20.57 |
-1.03 |
3 |
미국 |
7,478 |
8,603 |
10,965 |
17.03 |
14.77 |
15.61 |
27.45 |
4 |
독일 |
6,155 |
6,625 |
7,116 |
14.02 |
11.37 |
10.13 |
7.42 |
5 |
태국 |
3,358 |
3,840 |
3,852 |
7.65 |
6.59 |
5.49 |
0.30 |
6 |
베트남 |
118 |
775 |
3,522 |
0.27 |
1.33 |
5.02 |
354.42 |
7 |
한국 |
4 |
7 |
657 |
0 |
0 |
0.94 |
9,935.53 |
8 |
오스트리아 |
425 |
623 |
581 |
0.97 |
1.07 |
0.83 |
-6.81 |
9 |
영국 |
55 |
144 |
345 |
0.16 |
0.25 |
0.49 |
139.34 |
10 |
인도 |
81 |
88 |
207 |
0.18 |
0.01 |
0.29 |
135.09 |
자료원: 대만 국제무역국
○ 일본, 이탈리아, 미국, 독일 등 고급 오토바이 브랜드를 보유한 국가가 전체 수입액의 80% 이상을 차지함.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 제도
○ 특별한 수입제도 없음.
□ 관세율
HS Code |
품명 |
관세율 |
87112090001 |
Other motorcycles, cycles, equipped with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of a cylinder capacity exceeding 50㏄ but not exceeding 250㏄ |
20% |
87113000008 |
Motorcycles, cycles, with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of a cylinder capacity exceeding 250㏄ but not exceeding 500㏄ |
18% |
87114000006 |
Motorcycles, cycles, with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of a cylinder capacity exceeding 500㏄ but not exceeding 800㏄ |
20% |
87115000003 |
Motorcycles, cycles, with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of a cylinder capacity exceeding 800㏄ |
20% |
○ 관세 이외에 물품세- 17%, 부가가치세- 5% 무역진흥서비스비- 0.04%가 추가로 부과
□ 주요 유통채널
○ 제조사 - 지역총판 - 판매점 - 최종소비자
○ 전문 판매점
- 대만의 오토바이 대리점은 판매뿐만 아니라 A/S, 정부지정 차량검사 같은 종합서비스를 제공
- 대만의 주요 오토바이 제조업체는 이런 판매점과 설비 지원등의 혜택을 주고 자사제품의 독점판매 계약을 바탕으로 탄탄한 유통구조를 구축함.
대만 주요 브랜드 독점판매점
자료원: 구글 이미지
3. 경쟁동향
□ 경쟁상품
2013년 대만 오토바이 판매량 순위
순위 |
모델명 |
회사명 |
분류 |
배기량(㏄) |
1 |
GT 125 |
SYM |
스쿠터 |
125 |
2 |
MANY 110 |
KYMCO |
스쿠터 |
110 |
3 |
Cygnus X 125 |
YAMAHA |
스쿠터 |
125 |
4 |
V2 125 |
KYMCO |
스쿠터 |
125 |
5 |
VJR 110 |
KYMCO |
스쿠터 |
110 |
6 |
Cuxi 100 |
YAMAHA |
스쿠터 |
100 |
7 |
RS ZERO 100 |
YAMAHA |
스쿠터 |
100 |
8 |
JET POWER 125 |
SYM |
스쿠터 |
125 |
9 |
GR 125 |
SYM |
스쿠터 |
125 |
10 |
Mii 110 |
SYM |
스쿠터 |
110 |
자료원: EZprice Taiwan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 한국제품에 대한 특정한 인지도 없음.
- 대만에서 수입산 오토바이는 이탈리아 DUCATI, 미국 Holly Davison와 같은 최고급 브랜드의 고출력 오토바이인데 한국산은 이에 속하지 않음.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2015年台灣國際機車零配件展 |
전시회명(한국어) |
2015 대만 타이베이 국제 오토바이 박람회 |
전시품목 |
자동차.이륜차 |
개최국가/도시/개최주기 |
대만/타이베이/매년 |
규모(참가업체수) |
6개국 129개 업체 |
개최기간 |
2015년 4월 9~12일 |
웹사이트 |
http://www.motorcycletaiwan.com.tw |
□ 현지 바이어 특성
○ 3사 독점시장에서 한국산에 대한 성공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음.
- KYMCO, YAMAHA, SYM 3사가 95% 이상을 차지하는 대만 오토바이시장에서 한국산이 성공할 만한 요인을 찾기 어려움.
- 대만 오토바이시장은 이미 포화상태라고 생각해 한국산뿐만 아니라 새로운 브랜드의 성공가능성을 낮게 봄.
□ 마케팅 방안 및 유의사항
○ 장기적인 관점으로 현지 판매점을 공략해야 함.
- 상기한 바와 같이 대만 오토바이시장은 특정 브랜드만을 취급하는 판매점이 대부분임.
- 독점하고 있는 3사 또한 대리점에 설비지원 등의 혜택을 제공하기 때문에 현지 제조사와 판매점과의 신뢰관계가 두터움.
- 한국 제조업체 역시 단기적인 이익창출보다는 소비자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판매점과 두터운 협력 관계를 쌓아 점유율을 올리는 전략이 필요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대만 오토바이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오토바이 천국 대만, 친환경 패셔너블한 스마트스쿠터 선보여 | 대만 | 2015-05-15 |
2 | 브라질 문구 류 시장 | 브라질 | 2014-09-26 |
3 | 프랑스 냉동식품 시장동향 | 프랑스 | 2014-11-28 |
4 | 대만, 전기스쿠터에 올라탄 공유경제 | 대만 | 2019-12-02 |
5 | 대만, 공기 오염 관련 상품에 관심 높아 | 대만 | 2019-02-13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