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에듀테크 산업 정보
가. 산업 특성
□ 시장 규모
ㅇ 영국의 디지털경제위원회(Digital Economy Council)자료에 따르면 영국 에듀테크(EdTech)* 산업은 유럽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분야이며 2021년 시장규모는 34억 파운드에 이를 전망
주*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교육분야에 ICT 기술을 융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
- 영국 교육기관은 에듀테크에 매년 9억 파운드를 지출하며, 2019년 기준 에듀테크 산업의 수출 규모는 1억 7,000만 파운드 기록
- 2020년 8월 기준, 영국에서 운영 중인 에듀테크 기업 및 스타트업은 유럽 전체의 25%인 1,200여개이며, 영국 디지털 기업의 4% 비중 차지. 이는 핀테크 기업 비중과 같음
- 2019년 영국 에듀테크 기업이 유치한 VC 규모는 전년대비 229% 증가한 4억 6,800만 달러로, 유럽에서 영국의 투자유치 비중은 73%에 달함
<영국 및 유럽 에듀테크 기업의 VC 유치 동향>
자료: Statista
ㅇ 참고로 2018년 전세계 에듀테크 시장 규모는 1,520억 달러로 2025년에는 3,420억 달러까지 확대될 전망
- 2018년 기준 에듀테크 지출 비중은 전체 교육분야 지출의 2.6%에 불과하며,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원격수업 및 비대면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아진 만큼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임
□ 성장 배경
ㅇ 영국 에듀테크 산업의 성장 배경은 크게 4가지로 ① 규모있는 교육시장, ② 전통적으로 발달한 콘텐츠 사업, ③ 유럽 및 영어권 시장 진출의 용이성, ④ 기업하기 좋은 환경임
① 규모있는 교육시장
- 2019년 기준 영국의 학교 수(유치원-고등학교)는 32,095개로 한국(20,743개)보다 1만여개 많음. 영국은 교육기자재 및 서비스 구매가 학교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학교 숫자는 넓은 시장을 의미
② 전통적으로 발달한 콘텐츠 사업
-전통적 콘텐츠 산업인 출판산업의 발달로 풍부한 교육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추어져 있음. 영국의 출판관련 업체는 약 2,000여개이며, 교육 콘텐츠에 AI, VR 기술 등이 부가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③ 유럽 및 영어권 시장 진출의 용이성
- 영어가 세계공용어인 만큼 영어관련 콘텐츠는 주변 유럽국, MENA(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 미국 및 영연방 국가에 대한 진출이 용이함
④ 기업하기 좋은 환경
- 세계은행의 Doing Business 2020에 따르면 영국은 사업하기 좋은 순위 8위로 유럽에서는 덴마크에 이어 2위를 차지. 또한, 영국에는 캠브리지, 옥스퍼드 등 세계적 대학 뿐 아니라, 생명과학, AI, 자동차∙항공∙해양 엔지니어링 등 미래 산업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육성할 수 있는 우수한 연구대학 풀을 보유하고 있어 에듀테크 관련 스타트업 육성환경이 조성되어 있음
□ 관련 정책 및 규제
ㅇ 2019년 4월 영국(잉글랜드) 정부는 에듀테크 산업 전략(EdTech Strategy - Realis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in education) 발표를 통해, 에듀테크 수요자(교육기관 및 학습자)와 공급자(기업)를 지원하고 혁신적인 에듀테크 산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주요과제를 제시
<영국 에듀테크 주요과제(Key Commitments)>
에듀테크 수요자 (교육기관 및 학생) |
|
에듀테크 공급자 (관련 산업 및 기업) |
|
|
|
5대 개선 방향 |
|
3대 지원 방향 |
① 교육행정 간소화 |
|
① 정부의 명확한 비전과 산업내 리더십 형성 |
② 평가방식 효율화 |
|
|
③ 평등한 학습성과를 위한 수업관행 개선 |
|
② 에듀테크 상품·서비스 시장 확대 |
④ 교사의 역량개발 |
|
|
⑤ 정규교육 시스템 외 평생교육 지원 |
|
③ 에듀테크 산업 활성화 환경 조성 |
|
|
|
에듀테크 성과창출을 위한 4대 기반 |
||
① 디지털 인프라 구축 (Securing the digital infrastructure) |
||
② 디지털 역량 및 기술 교육 (Developing digital capability and skills) |
||
③ 효율적 정부조달 지원 (Promoting effective procurement) |
||
④ 디지털 보안 강화 (Promoting digital safety) |
자료: 영국 교육부
ㅇ 2020년 6월 교육부는 코로나19발 락다운으로 인해 뒤처진 교육 지원을 위해 10억 파운드 규모의 ‘코로나19 캐치업 펀드(Coronavirus Catch-Up Premium)’를 발표
- 이 중 6억 5,000만 파운드는 2020/2021 학기 진도 따라잡기에, 3억 5,000만 파운드는 사회적 취약계층 학생들을 위한 추가학습프로그램(National Tutoring Programme)에 편성
- 또한, 사회적 취약계층 학생들의 원격교육을 위해 랩탑 및 태블릿 20만대, 4G 무선라우터 5만대 배포에 1억 파운드 지출
ㅇ 영국 교육부는 코로나19로 인해 원격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자 2020년 4월부터 에듀테크 모범기관 프로그램(EdTech Demonstrators Programme)을 통해 원격수업의 모범을 보여줄 수 있는 공립 학교 및 교육기관을 선정, 각 기관별 7만~15만 파운드 지원
- 모범 학교로 선정된 기관은 코로나19에 타격을 심하게 받은 학교/교육기관을 상대로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대한 조언, 트레이닝, 온라인 튜토리얼 등을 제공해야 함
ㅇ 교육기자재 판매 전 교육구(School District) 당국의 승인을 받아야하는 미국과 달리 영국에서는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각 학교를 대상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음
- 다만, B2C 형식으로 교육기자재를 판매하는 것은 영국의 관행이 아니며 주로 YPO, ESPO, BESA 등 공공기관 및 교육기관 카탈로그에 제품을 등재하거나 유통업체를 통해 판매함
* YPO: Yorkshire Purchasing Organisation
* ESPO: Eastern Shires Purchasing Organisation
* BESA: British Educational Suppliers Association
□ 주요 이슈
ㅇ 영국 에듀테크 산업의 주 고객은 교육기관 및 학교로 수요가 높은 제품·서비스는 원격수업 지원 플랫폼, 학사관리시스템, 수업 보조 소프트웨어 등 학사∙수업지원 솔루션임
- EdTech UK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 교육자가 가장 필요로하는 에듀테크 제품·서비스는 무료 온라인 학습자료(87~88%) 및 학사∙수업지원 온라인 플랫폼(62~70%)으로 나타난 바 있음
ㅇ 영국은 한국, 이스라엘, 에스토니아, 뉴질랜드와 함께 컴퓨터 수업이 교과과정의 필수인 나라 5개국 중 하나로, 저학년부터 과학·기술·엔지니어링·수학(STEM) 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높음
- 예로, 코딩교육에 대한 관심 증대로 2019년 어린이 대상 크리스마스 선물 중 가장 있기있는 품목 중 하나가 코딩 완구인 Coding Critters였음
ㅇ Qilt와 어센츄어의 조사에 따르면 영국이 인력 미스매치(일자리 기술격차)로 보는 손실이 매년 100억 파운드로 나타남
- 따라서 에듀테크가 고용시장의 인력 미스매치 현상을 감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
- 예로, 런던 기반의 FundamentalVR사는 VR헤드셋 및 핸드헬드(손으로 잡고 움직이는) 기기를 통해 복잡한 외과수술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교육 자료 제공
ㅇ 코로나19 이후로 원격수업이 진행되자 지역간 심각한 교육격차가 드러남
- 영국 소비자 디지털 인덱스에 따르면 9%의 가정이 랩탑, 데스크탑, 태블릿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11~18세 학생 11%(70만명)가 가정에서 컴퓨터나 태블릿의 부재로 인터넷 접속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따라서 코로나19 이후 원격수업이 진행되자 사회적 취약계층의 학습이 뒤처진 바 있으며, 교육 격차를 줄이고 평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에듀테크의 역할이 증대될 가능성이 높음
ㅇ 에듀테크 시장에 새롭게 진출한 온라인 플랫폼 및 모바일앱 기업의 경우 프리미엄(Freemium) 사업 모델을 가장 많이 활용함
- 프리미엄(Freemium)은 무료(free)와 프리미엄(premium)의 합성어로, 제품·서비스의 기본 기능은 무료로 제공하나, 부가기능은 별도의 사용료를 받는 형식임
- 본격적인 사용 전에 실제 사용을 한 후 구매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은 체험이 중요한 에듀테크 산업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함
□ 분야별 주요 기업 및 기술 동향
(1) 학사∙수업지원 솔루션
ㅇ Firefly Learning
- 설립연도 및 소재지: 2005년 런던. 두바이, 시드니 등 해외지사 운영
- 주력 제품·서비스: 원격수업 지원 온라인 플랫폼. 교사, 학생, 학부모가 함께 학사관리 가능
- 주요 기술: 클라우드 기반 온라인 학습 플랫폼으로, 데스크탑 및 모바일 앱 버전 제공
- 사업 현황
* 100만명 고객, 재계약율 98%
* 40여개국에서 사용 및 영국 명문학교 70%가 사용
* 2020년 6월 원격수업 커뮤니케이션 툴인 SchoolPost 인수
- 홈페이지: http://fireflylearning.com
- 제품·서비스사진
|
|
|
ㅇ Zzish
- 설립연도 및 소재지: 2014년 런던. 같은해 TechStars 프로그램 졸업
- 주력 제품·서비스: 모바일앱 Quizalize를 통해 학생이 푼 문제에 대해 학생별로 정답률, 진도율 등을 분석하여 맞춤형 교육을 할 수 있음
- 주요 기술: AI기반 분석 툴 및 소프트웨어
- 사업 현황
* 2015년 EdTech 유럽의 EdTech20 및 Bett Show의 Future30에 선정
* 2017년 중국어 및 아랍어 버전 출시, 구글의 10대 테크 스타트업에 선정
* 2018년 스페인어 버전 출시 및 필리핀 정부와 계약
* 2019년 월사용자 20만명 돌파 (170여개국의 고객 보유)
- 홈페이지: https://www.zzish.com/
- 제품·서비스사진
|
|
|
ㅇ Sparx
- 설립연도 및 소재지: 2010년 엑스터
- 주력 제품·서비스: 중고등교과과정에 맞춘 수학교육 솔루션 ’Sparx Math’
- 주요 기술
* AI기반 소프트웨어로 맞춤형 수학문제 및 실시간 피드백 제공
* 3만 8,000여개의 수학문제 및 9,000여개의 비디오 강의 제공
- 사업 현황
* 80여개국의 120만여명이 사용 중
* 2019년 기준 Oxygen House로부터 5,550만 유로 투자 유치
* 2020년 Education Resources Awards에서 ‘올해의 공급업체’ 선정
- 홈페이지: https://sparx.co.uk/
- 제품·서비스사진
|
|
ㅇ EdShed
- 설립연도 및 소재지: 2017년 Bewdley
- 주력 제품·서비스: 4~11세 어린이 대상 문해(literacy), 스펠링, 수학 능력 향상을 돕는 모바일 앱 및 웹기반 게임
- 주요 기술: 무료 소프트웨어 및 비디오 자료 제공 후 구독형 서비스로 안내
- 사업 현황
* AWS 에듀테크 액셀러레이터 회원
* 전세계 4만여개의 학교 및 300만 어린이가 사용 중
* 2020년 미국 진출 계획 발표
- 홈페이지: https://www.edshed.com/en-gb
- 제품·서비스사진
|
|
|
(2) 교육 콘텐츠
ㅇ Perlego
- 설립연도 및 소재지: 2016년 런던
- 주력 제품·서비스: 40만여개의 교과서 및 학습자료를 디지털 도서관 형식으로 제공하며, ‘교과서계의 스포티파이’로 불림
- 주요 기술
* 2,800여개의 출판사와 협업하여 도서 콘텐츠를 디지털로 제공하며, 사용자는 콘텐츠를 데스크탑, 태블릿, 모바일폰에 다운로드 받거나 형광펜, 메모, 청취 기능 등도 이용 가능
* 구독(subscription) 형태의 사업모델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콘텐츠에 대해 출판사에 수수료를 지급하는 방식. Perlego 서비스 이용으로 사용자가 불법복사하는 경우가 감소하자 사용자와 출판사 모두 혜택을 봄
- 사업 현황
* 2019년 기준 엔젤투자자로부터 1,000만 파운드 이상 유치
- 홈페이지: https://www.perlego.com/
- 제품·서비스사진
|
|
|
ㅇ Little Bridge
- 설립연도 및 소재지:
- 주력 제품·서비스: 6-12세 저학년을 위한 맞춤형 영어교육 플랫폼 ‘DigiPals’로 학교 및 가정에서 사용 가능
- 주요 기술
* 머신러닝 기반 영어교육 툴로, 데스크탑 및 모바일 앱 버전 제공
* 무료 온라인 자료 및 비디오 교육 제공
*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러닝 방식으로 액티비티 책도 구매할 수 있음
- 사업 현황
* 전세계500만 어린이가 사용
* 영국 기반 난민 가족에게는 서비스 무료 제공
* 코로나19 이후 멕시코 교육부 지원, 2021년에는 우루과이 교육부 지원 예정
- 홈페이지: https://www.littlebridge.com/
- 제품·서비스사진
|
|
|
ㅇ Busuu
- 설립연도 및 소재지: 2008년 런던.
- 주력 제품·서비스: 외국어교육 모바일앱으로 영어, 중국어, 아랍어 등 12개 언어교육 제공
- 주요 기술: AI 기반 맞춤형 교육 제공. 1만여명 온라인 튜터 연결로 24시간 학습 가능
- 사업 현황
* 2008년 웹 기반 서비스로 사업을 시작하여 2010년 모바일앱 출시
* 2015년 McGraw-Hill Education과의 협업으로 기업 및 기관에 유통 시작
* 500개 이상의 기업이 외국어 교육자재로 사용
* 전세계 사용자 1억명으로, 수익의 50% 이상이 영어교육에서 발생
- 홈페이지: https://www.busuu.com/
- 제품·서비스사진
|
|
(3) 교육 기자재
ㅇ Kano
- 설립연도 및 소재지: 2013년 런던
- 주력 제품·서비스: 어린이가 직접 컴퓨터를 조립하고 코딩을 학습할 수 있는 PC DIY 키트
- 주요 기술
* 직접 부품을 클릭인 클릭아웃 형식으로 조립 가능하며, 여타 제품보다 내구성이 좋음
* 코딩 PC 하드웨어 외 다양한 코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부가적으로 구매 가능
- 사업 현황
* 2019년 Fast Company 매거진의 글로벌 혁신 가전제품 기업 리스트에 2위 선정
* 2019년 기준 3,400만 파운드 투자 유치
* 2020년 마이크로소프트의 투자를 받아 신규 모델 출시. 동시에 중동 및 일본 시장 진출
- 홈페이지: https://kano.me/
- 제품·서비스사진
|
|
|
ㅇ Scanning Pens
- 설립연도 및 소재지: 2003년 Westbury. 미국, 호주, 캐나다, 인도 등 해외지사 운영
- 주력 제품·서비스: 난독증 학생, 환자를 위한 음성펜
- 주요 기술
* OCR 엔진을 통해 문서 내용을 음성펜에서 컴퓨터로 쉽게 이동 가능
* 다양한 억양의 음성지원(예: 미국식 영어, 인도식 영어, 라틴계 스페인어 등) 등
- 사업 현황
* 2015년부터 국제통상부(DIT)의 지원을 받아 두바이, 미국, 멕시코 시장 등에 진출했으며, 2020년에는 2년 연속으로 국제통상부의 수출 챔피언 선정
* 총 매출의 수출 비중은 50%에 이르며, 2017-2019년간 미국, 캐나다, 호주 시장으로의 수출은 각각 179%, 295%, 316%씩 증가
- 홈페이지: https://www.scanningpens.co.uk/
- 제품·서비스사진
|
|
|
ㅇ Curiscope
- 설립연도 및 소재지: 2016년 브라이튼
- 주력 제품·서비스: AR 기반 신체장기 및 행성 학습 제품
- 주요 기술
* AR을 활용하여 신체 장기 및 행성 정보를 학습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복합 제품으로 스마트폰에 관련 앱을 설치한 후 티셔츠나 포스터를 비추면 관련 정보를 볼 수 있어 생생한 과학 체험을 할 수 있음. 와이파이나 네트워크 없이도 사용 가능
* 영어 외 스페인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 러시아어, 한국어 등 지원
- 사업 현황
* 크라우드펀딩으로 11만 달러 투자 유치
- 홈페이지: https://www.curiscope.co.uk/
- 제품·서비스사진
|
|
|
□ 에듀테크 관련 기관
기관명 |
로고 |
특징 |
BESA (British Educational Suppliers Association) 영국교육기자재공급협회 |
|
◾ 1933년 설립, 회원수 400여개사인 비영리 산업협회로 교육관련 기자재, 서비스, 에듀테크 등 기업의 이익 대변 ◾ 국내외 교육기자재 전시회 개최 및 유럽 최대의 에듀테크 네트워크 EdTech Exchange 운영 ◾ 홈페이지: https://www.besa.org.uk/ |
NAACE (The Edu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
|
◾ 1984년 설립, 에듀테크 수요자(교육자) 및 공급자(기업)이 회원 ◾ 홈페이지: https://www.naace.co.uk/ |
ALT (Association for Learning Technology) |
|
◾ 1993년 설립, 고등교육 관련 에듀테크 기업 및 관계자가 회원 ◾ 홈페이지: https://www.alt.ac.uk/ |
The Education Foundation |
|
◾ 2011년 설립, 에듀테크 로비 및 연구기관 ◾ EdTech UK 및 EdTech Advisory Forum 운영 ◾ 홈페이지: http://www.ednfoundation.org/ ◾ EdTech UK 홈페이지: https://www.edtechuk.io/ |
Education Technology |
|
◾ 에듀테크 관련 무료 월간지로, 에듀테크 관련 무료 이벤트, 웨비나, 팟캐스트 등 진행 ◾ 홈페이지: https://edtechnology.co.uk/ |
나. 산업의 수급 현황
□ 교육분야 및 에듀테크 수출
ㅇ 영국 교육부에 따르면 2017년 영국의 교육분야 수출은 2010년 대비 34.7% 증가한 214억 파운드 기록
- 수출 세부분야 및 규모는 유학생 유치 등 고등교육 관련(144억 파운드), 영국 대학 해외 캠퍼스 및 온라인 강좌(21억), 교육기자재 및 서비스(21억), 영어교육(16억), 사립학교(10억)임
- 2017년 교육기자재 및 서비스 수출은 2010년 대비 101% 증가
<영국 교육분야 수출 통계>
단위: 백만파운드/%
세부 분야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고등교육 |
9,530 |
10,390 |
11,040 |
11,690 |
12,440 |
12,940 |
13,440 |
14,420 |
해외캠퍼스/온라인강좌 |
1,070 |
1,190 |
1,330 |
1,470 |
1,580 |
1,730 |
1,850 |
2,080 |
교육기자재 및 서비스 |
1,510 |
1,540 |
1,610 |
1,730 |
1,770 |
1,790 |
1,880 |
2,050 |
영어교육 |
2,230 |
2,000 |
1,890 |
1,860 |
1,820 |
1,650 |
1,550 |
1,570 |
사립학교 |
630 |
700 |
760 |
760 |
800 |
900 |
930 |
970 |
평생교육 |
920 |
1,020 |
650 |
420 |
360 |
320 |
300 |
310 |
총 합계 |
15,880 |
16,830 |
17,280 |
17,930 |
18,770 |
19,330 |
19,940 |
21,380 |
자료: 영국 교육부
ㅇ 정부는 2019년 3월 발표한 교육 수출전략에서 2030년까지 교육분야 연수출 규모를 35억 파운드로 확대하겠다는 계획과 함께, 수출 목표 시장을 밝힌 바 있음
<영국 교육분야의 수출 목표 시장 및 세부 분야>
수출 중점 지역 (High-value Regions) |
|
수출 성장 가능 지역 (Potential Growth Region) |
||
국가/지역 |
세부 분야 |
|
국가/지역 |
세부 분야 |
ASEAN |
고등교육 및 성인교육 |
|
케냐, 나이지리아 |
고등교육 |
중국 및 홍콩 |
에듀테크, 영어교육, 고등교육, 사립학교 |
|
인도 |
고등교육, 에듀테크 |
|
중앙아시아 |
영어교육 |
||
중동 |
에듀테크, 사립학교, 전반적인 교육분야 |
|
유럽 |
온라인강좌, 영어교육, 사립학교, 에듀테크 등 |
중남미 |
에듀테크, 학사지원 플랫폼 |
|
미국, 캐나다, 호주 |
에듀테크, 평생교육 |
자료: 영국 교육부
ㅇ 영국 에듀테크 산업의 수출 규모는1억 7,000만 파운드로 추산되며, 주요 수출대상지역은 영미권 및 영연방 국가, 유럽, 중동, 중국, 중남미 등임
- 2019년 영국교육기자재공급협회(BESA) 조사결과에 따르면 영국 에듀테크 기업이 선호하는 수출대상국은 UAE로, 기존 수출 선호국이였던 미국 외 중동지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 2025년 영국의 디지털 기술 수출은 2019년 대비 35% 증가한 314억 5,000파운드를 기록할 전망으로, 에듀테크 수출도 비슷한 수준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
- 영국의 디지털 기술 수출은 인도, 미국, 중국, 독일에 이어 세계 5위로, 2015-2019년간 무역흑자는 68% 증가한바 있음
ㅇ 영국 에듀테크 기업은 제품·서비스 수출을 위해 전시회 및 사절단 파견을 주로 활용하는 편이며, 영국교육기자재공급협회(BESA)가 국제통상부 및 교육부와 협력하여 해외 행사를 주최하기도 함
<영국 에듀테크 기업 참여 전시회 및 행사>
전시회명 |
개최일 |
개최 장소 |
특징 |
Edtech Summit |
2020. 11.18-19 |
온라인 |
◾ 50개 기업 전시, 100여명 연사 ◾ 홈페이지: https://edtechsummit.co.uk/ |
Learning & Teaching Expo |
2020.12.9-11 |
홍콩 |
◾ 27개국 13,000여명 참가 ◾ 국제통상부가 참가기업에 1,500파운드 지원 ◾ 홈페이지: https://www.ltexpo.com.hk/LTE/ |
BETT Asia |
2021.3.2-3 |
쿠알라룸푸르 |
◾ 41개국 2,000여명 참가 ◾ 국제통상부가 참가기업에 2,000파운드 지원 ◾ 홈페이지: http://www.asia.bettshow.com/Home |
GESS Dubai |
2021.3.2-4 |
두바이 |
◾ 90개국 12,000여명 참가 ◾ 국제통상부가 참가기업에 2,000파운드 지원 ◾ 홈페이지: https://www.gessdubai.com/ |
BESS Vietnam |
2012.3.19-20 |
호치민 |
◾ 국제통상부가 참가기업에 2,500파운드 지원 ◾ 홈페이지: https://www.besa.org.uk/events/ |
Edtech Week London |
2021. 6.14-21 |
런던 혹은 온라인 |
◾ 40여개 기업 전시, 6,000여명 참가 ◾ 홈페이지: https://londonedtechweek.com/ |
BETT Show UK |
미정 |
N/A |
◾ 1985년부터 시작된 BESA 주최 교육기자재 전시회로 세계에서 가장 큰 에듀테크 전시회임 ◾ 홈페이지: https://www.bettshow.com/ |
EdtechX Europe |
미정 |
N/A |
◾ 80여명 연사, 900여명 참가, 버추얼 네트워킹 ◾ 홈페이지: https://edtechxeurope.com/ |
다. 진출 전략
□ SWOT 분석 (영국 관점)
Strength |
Weakness |
- 전통적으로 발달한 콘텐츠 사업 및 사업하기 좋은 환경은 에듀테크 산업 성장에 탄탄한 기반 제공 - 세계 공용어로서의 영어의 글로벌 경쟁력 - 유럽에서 에듀테크 기업에 대한 투자유치가 가장 활발한 국가 - 정부의 적극적인 산업성장 및 수출지원 정책 |
- 에듀테크 유니콘기업이 없음 (2020년 9월 기준 글로벌 20개 에듀테크 유니콘기업은 대부분 미국, 중국, 인도 기업) - 에듀테크 주 소비자인 학생의 디지털 인프라 개선 필요 (예: 영국의 11~18세 학생 11%(70만명)가 가정에서 컴퓨터나 태블릿의 부재로 인터넷 접속을 못함) |
Opportunities |
Threats |
- 코로나19로 인해 원격수업 및 대안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수요 증가 -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학제가 비슷한 영연방국가로의 진출 용이성 (예: 인도의 경우 코로나19 유행 후 에듀테크 시장 규모가 120% 증가했으며, 2018년 체결한 영국-인도 기술 파트너십을 통해 해당 시장으로의 진출이 용이할 전망) - 중동 시장 진출 기회 (예: UAE 정부는 2021년까지 교육에 20억 파운드 지출 예정) |
- 브렉시트로 인한 산업환경 불확실성 - 영국 교육시장에서 신기술 제품∙서비스 진출의 경우 교사가 이를 인지하고 구매하는데까지 오랜시간이 걸림 |
□ 유망 분야
ㅇ 코로나19로 원격교육이 뉴노멀이 되어가는 시대에 단순한 원격수업과 학사지원 솔루션에 대한 수요 뿐 아니라, 다양한 IT 기기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도 높아질 전망
- 또한 학습 진도, 보충 교육 등 개별적 니즈(needs)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맞춤형 콘텐츠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
ㅇ AR/VR 활용 교육기자재
- AR/VR 교육기자재 개발에는 많은 투자가 요구되지만, 몰입경험(immersion learning)을 통한 실감형 교육콘텐츠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2025년에는 이에 대한 글로벌 지출이 126억 달러를 기록할 전망
- 현재 AR/VR 활용 교육기자재 분야는 경쟁이 치열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한 보급형 VR기기 및 교육콘텐츠에 대한 진출 가능성이 있음
ㅇ 학생의 웰빙 교육 솔루션
- 영국 초중고 교육에서 학생의 정신적, 신체적 웰빙이 중요시되는 트렌드로 관련된 교육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전망
- 글로벌시장조사기관 Holon IQ에 의하면 2025년까지 에듀테크 웰빙 솔루션 분야는 연평균 25% 성장할 전망
ㅇ 영국 에듀테크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은 신기술 에듀테크 제품∙서비스 수용에 보수적인 현지 관행을 고려, 이미 한국이나 해외 시장에서 성공한 제품∙서비스의 로컬화를 추진하거나 영국에 스타트업을 설립하여 진출할 수 있음
- 현지 스타트업으로 진출 시에는 영국 내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현지 비즈니스 동향과 관행에 대해 학습하고, 네트워크 확보를 해나가는 것이 중요함
자료원: 영국 교육부, BESA, EdTech UK, Holon IQ, 현지언론, KOTRA 런던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영국의 에듀테크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코로나19로 급부상 중인 유럽의 에듀테크 | 벨기에 | 2020-11-04 |
2 | 대만, 에듀테크 시장 동향 | 대만 | 2020-11-06 |
3 | 코로나19 이후 떠오르는 미국 에듀테크 시장 | 미국 | 2020-12-19 |
4 | 프랑스 에듀테크 시장동향 | 프랑스 | 2020-11-05 |
5 | 코로나 시대, 네덜란드 에듀테크 동향 | 네덜란드 | 2020-11-07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