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건설산업
- 지속적인 공공부문 건설 수요로 향후 10년간 건설업 평균 성장률 2.8% 전망 -
- 디지털 기술 활용 및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건축 유망 -
가. 산업 특성
□ 싱가포르 건설업 주요 이슈
ㅇ 건국기념일 연설 주요 내용
- (해수면 상승에 따른 토지 개발) Lee Hsien Loong 총리는 올해 8월 18일 진행한 건국기념일 연설(National Day Rally)에서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대비를 촉구하며 그 방안으로 아래와 같은 건설사업을 제안함.
- 1) 동쪽 해안선을 따라 간척지와 제방을 건설하여 저지대 보호 2) Marina East에서 Changi까지 일련의 섬들을 매립하여 저수지 건설
- 싱가포르 정부는 간척을 통해 2030년까지 국토의 총 면적을 76,600ha(766km²)으로 확대할 계획임(현재 722.5km²).
- (향후 국토개발계획) Greater Southern Waterfront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풍골 바이 더 베이(Punggol By the Bay)와 풀라우브라니(Pulau Brani)를 개발할 계획
ㅇ 육상교통 마스터플랜 2040
- 싱가포르 육상교통청(LTA)이 발표한 육상교통 마스터플랜 2040에 따르면 Jurong Regional 지하철노선과 Cross-Island 지하철노선의 추가로 기존 총 229km의 노선이 2040년까지 360km 이상으로 확대될 예정임.
ㅇ 싱가포르 건설업 향후 10년간 평균 성장률 2.8% 전망
- 세계 경제 위축으로 싱가포르 건설업의 성장이 둔화되어 2020년에는 2.7%, 2021년에는 0.5%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함. 한 전문가에 따르면 이는 ‘싱가포르 건설업이 중기적으로 세계경제의 성장둔화로 인한 대외 역풍을 맞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임.
- 반면, 창이국제공항 제5터미널과 MRT남북선(North-South Corridor) 등 대형건설프로젝트의 진행으로 향후 10년 간 건설 분야는 2028년까지 연평균 예상성장률 2.8%를 보일 것으로 예상돼 장기 침체의 가능성은 낮음.
□ 최신 기술 동향
ㅇ 3D 프린팅
- 싱가포르 우드랜드 지역 내 있는 주택개발청 빌딩연구센터(Centre of Building Research)에서 3D-콘크리트 프린팅의 테스트가 지속되고 있음.
- 동남아시아 내 최대 크기의 3D 프린터는 지난 8월 가로 3.6m, 세로 3m, 높이 2.75m의 방을 13시간 만에 인쇄하는 데 성공함.
- 주택개발청(HDB)이 제공하는 Tengah와 Bidadari 주거지역 내 공공아파트의 건축물과 조경시설에 3D 프린팅이 사용될 계획임.
ㅇ 인공지능(AI)
- (건설현장 안전 향상) 인공지능(AI)과 비디오 분석(video analytics) 기술을 접목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시스템을 이용해 자동으로 위험상황을 감지하고 책임자에게 경보를 울림.
- 주택개발청이 9월 말부터 2020년4/4분기 말까지 Clementi Peaks 지역의 BTO 프로젝트에 동 시스템을 시범운영 할 계획
- (건물 전면 검사의 자동화) H3 Zoom.Al Façade Inspector는 인공지능(AI), 기계학습, 시각분석, 드론 기술을 하나로 통합한 플랫폼임. 이 AI 분석 서비스는 건물 외부 파사드의 결함 및 이상을 자동으로 식별, 보고해 기존의 고위험, 고비용의 시설물 관리 프로세스를 가속화 및 디지털화함.
ㅇ 로봇
- 품질검사 및 평가 로봇(Quality Inspection and Assessment Robot, QuicaBot)은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 건물의 균열, 결함 등 위험요인들을 찾아내 검사시간을 약 50% 단축시킴.
- 산업용 건물 도장 로봇(Robotics solution for painting industrial buildings, PictoBot)은 건물의 외벽과 천장을 최대 10m 높이까지 24시간 연속 칠할 수 있어 도장공사의 생산성과 안전성을 향상함.
QuicaBot(좌)와 PictoBot(우)
자료: JTC
□ 주요기업 현황
업체명 |
내용 |
주요 프로젝트 |
KTC Group
|
- 1988년 설립 - 토목공사 및 인프라, 석탄광업 분야 진출
|
Marina Bay Sands, Resorts World Sentosa, Tampines MRT Station |
McConnell Dowell South East Asia Pte Ltd
|
- 1961년 설립 - 교통시설, 석탄광업, 석유화학, 공공 기관 및 민간 부문 상업용, 거주용 빌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 진행 중 |
|
Koon Holdings Limited
|
- 1975년 설립 - 토목공학, 프리캐스트, 에너지 인프라 분야 서비스 업체로 매립 및 해안 보호 사업을 전문으로 함. |
Sentosa Boardwalk Serangoon Reservoir Tuas South Boulevard |
Lum Chang Building Contractors Pte Ltd
|
- 1940년대 설립 - 정부 및 공공, 민간 부문의 상업 프로젝트, 인프라, 레저, 주거 부문 |
|
K. A Building Construction Pte Ltd
|
- 1987년 설립 - 상업용 건물 건설과 화재방호 제품 및 서비스 제공 |
|
Keppel Land
|
- 1968년 설립 - 2018년 총 수익 약 9억 달러 - 오프쇼어 및 해양, 부동산, 인프라 및 투자, 주거 개발 등의 통합적인 부동산 솔루션 제공 |
나. 산업의 수급 현황
□ 건설업 동향
ㅇ 2019년 건설업 동향
- 싱가포르의 2019년2/4분기 건설업 성장률이 작년 동분기 대비 -4.6% 감소함. 이 같은 건설부문 생산량 감소는 2015년부터 2017년 상반기까지 이어진 건설업 수요의 저조가 주 요인임.
- 반면, 건설업은 2019년 한 해 3% 성장하며 총 생산이 2018년의 270억 싱가포르달러에서 280억~300억 싱가포르달러로 상승할 전망임. 이 같은 단기적 성장은 싱가포르 최대 도로 프로젝트인 North-South Corridor MRT노선 건설이 2019년 말 진행되기 때문임.
- 현재 운송 부문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75개, 에너지 및 유틸리티 부문 19개가 진행중임.
싱가포르 연간 건설업 수요
자료: 싱가포르 건설청
ㅇ 싱가포르 건설 계약 동향
- 2019년 건설업 계약금액이 2018년 예상치였던 270억 싱가포르달러에서 상승한 280억~300억 싱가포르달러일 것으로 전망함. 이는 2015~2017년도의 건설 수요 부진에 이은 2018년도 수요 개선이 원인임.
싱가포르 건설업 연간 계약 동향
(단위: 십억 싱가포르달러)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f) |
|
계약 금액 (Contracts awarded) |
공공부문 |
15.4 |
15.8 |
18.3 |
16.5~19.5 |
민간부문 |
11.0 |
0.9 |
12.2 |
10.5~12.5 |
|
총합 |
26.4 |
24.8 |
30.5 |
27.0~32.0 |
|
공사진척기성 (Progress Payment) |
공공부문 |
16.4 |
14.7 |
13.4 |
NA |
민간부문 |
18.7 |
13.1 |
13.1 |
NA |
|
총합 |
35.1 |
27.9 |
26.6 |
NA |
주: 2019년은 예상치
자료: MTI ECONOMIC SURVEY OF SINGAPORE 2018, 싱가포르 통계청
□ 싱가포르 건설사업 현황
ㅇ 복합리조트 개발 계획
- 싱가포르 2019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마리나 베이 샌즈(MBS)의 네 번째 신규 호텔 건물 증축과 2020년 하반기 유니버셜 스튜디오에 2개의 테마파크 추가 조성, SEA 아쿠아리움의 해양 수족관 추가 등에 총 90억 싱가포르달러가 쓰일 예정
ㅇ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
- (제2터미널 확장공사) 창이공항그룹이 지난 7월 1일 창이공항 제2터미널 확장 공사가 2019년4/4분기에 시작해 4~5년 후 완공할 계획이라고 밝힘.
- (창이 이스트 프로젝트) 창이공항 제5터미널 건설과 창이이스트 산업지구(Changi East Industrial Zone, CEIZ) 구축, Thomson-East Coast Line(TEL)의 지하철 노선 확대 등으로 공항도시 건설 목표
ㅇ 싱가포르 투아스(Tuas) 핑거3 매립공사
- Tuas Terminal의 대형 매립공사 현장에서 2019년 7월 4일 케이슨(Caisson) 진수식이 진행됨. 투아스 핑거 3(Tuas Finger 3)는 싱가포르 내 최대 규모인 케이슨 227함을 제작해 설치할 예정으로 2018년 4월 네덜란드 Boskalis사, 일본 Penta-Ocean Construction사, 현대건설 등으로 구성된 다국적 컨소시엄과 14억6000만 싱가포르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며 개발 2단계에 돌입함. 공사기간은 총 108개월로 2027년 3월 준공 예정임.
다. 진출 전략
□ SWOT 분석
Strength |
Weakness |
- 발전한 사회기반시설과 건설 기술 - 꾸준한 공공부문 건설 수요 |
- 제한적인 국토면적 -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위협 |
Opportunities |
Threats |
- 아세안지역의 발전으로 인한 대규모 인프라 사업 투자 및 진출 기회 |
- 미중무역분쟁으로 인한 경제 둔화 및 수요 영향 |
* 현지 산업 관점으로 작성(우리나라 관점이 아님)
□ 유망분야
ㅇ 싱가포르 산업변환정책(Industry Transformation Map, ITM)
- 싱가포르 경제와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 시행하는 산업변환정책의 일환으로 싱가포르 건설청이 아래 3가지 부문에서의 발전을 통해 건설업의 변환을 꾀함. 이에 다음 3가지 분야의 개발이 유망함.
1) Design for Manufacturing & Assembly, DfMA
- 용이한 제조 및 조립을 위한 upfront 설계, 고도로 자동화된 오프사이트 생산 시설 개발, 효율적이고 깨끗한 현장 설치 과정 확립
2) 친환경 빌딩
- 친환경 빌딩 설계 및 지속가능한 운영 및 관리 시스템
3) Integrated Digital Delivery (IDD)
- 디지털 물류 관리, 디지털 주문 및 제작, 드론을 이용한 건설진행 상황 모니터링, 클라우드 기반 3D 설계도를 통한 협업
- 싱가포르 건설청은 '2020년까지 40~60개의 건설현장이 고된 서류 기반 공정을 배제하고 설계자, 건설업자, 시설 관리자들이 디지털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디지털 전달(IDD)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힘.
자료: 싱가포르 육상교통청(LTA), 도시개발청(URA), 주롱타운개발청(JTC Corporation), 건설청, 통계청, 통상산업부, Channel News Asia, The Straits Times,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건설산업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2019년 싱가포르 친환경 건축 전시회(BEX Asia 2019) 방문기 | 싱가포르 | 2019-09-20 |
2 | 싱가포르 차세대 쇼핑몰 트렌드: 푸난 | 싱가포르 | 2019-10-02 |
3 | 필리핀 건설산업 | 필리핀 | 2019-07-13 |
4 | 몽골 건설산업 | 몽골 | 2019-10-04 |
5 | 태국 건설산업 | 태국 | 2019-11-13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