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원예용 결속기 및 소형 농기구 시장 동향
1. 시장동향
□ 시장규모 및 전망
○ 시장규모
- 원예용 결속기를 포함하는 소형 농기구 품목군의 시장규모는 2013년 기준 6억6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2.39% 증가
최근 3년간 미국 원예용 결속기 및 소형 농기구 수입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US$ 천, %)
구분 |
2011 |
2012 |
2013 |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시장규모 |
증감률 | |
시장규모 및 성장률 |
291,532 |
+5.02 |
297,559 |
+2.07 |
661,732 |
+122.39 |
자료원: 미국 상무부
□ 시장전망
○ 수요증대 예상요인
- 미국의 농업은 전 세계적으로 강한 면모를 지속적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각종 농업장비의 수요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왔음.
- 그동안 트랙터 등 중대형 농업장비를 주로 이용해오던 농업계의 생산방식이 인력투입을 요하는 생산방식까지 확대됨에 따라 소형 농기구를 이용한 작물관리의 효율성 상승에 대한 관심이 증가해 해당 품목의 수요 상승으로 이어짐.
- 그 중 원예용 결속기는 과일 및 견과류 등 관리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어 농장주 및 농장 관리자 사이에 효율성 제고를 위한 소형 농기구로 인식됨.
- 와인 생산지로 알려진 미서부 캘리포니아주의 소노마 및 나파 밸리 지역을 더불어 오리건 및 워싱턴 주 농장에서는 포도를 과일이 대량 생산되고 있고 농업 노동집약적 특성으로 인해 원예용 결속기와 각종 소형 농기구의 수요 높음.
○ 무역관 전망
원예용 농기구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과수원 및 견과류 농장 등 노동집약 작물 생산 농장
- 농업 장비 및 기구 유통전문업체
- 과실 및 농작물 전문 연구기관
- 국유지 운영 정부기관 및 관련 단체 등
○ 구매패턴
- 농장주 및 농장 관리인은 연간 인건비 상승으로 생산비용 절감을 위해 인력투입을 요하는 작물관리의 효율성 상승을 도모
- 농장 내 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구매, 보다 간편한 기구 사용을 통한 농부의 안전관리
□ 제품 트렌드
○ 미국 내 주요 제품군 개발 및 유통 업체
순위 |
기업명 |
미국 내 본사 소재 주 |
1 |
Melroe Manufacturing & Bobcat Company |
North Dakota |
2 |
HUSCO International |
Wisconsin |
3 |
AGCO Corporation |
California |
4 |
The Manitowoc Company |
Wisconsin |
자료원: 미국 장비제조 협회
○ 주요 제품군은 중소형 농기구 포함 각종 수공구 영역까지 확대.
○ 원예용 결속기 품목은 미국 내 생산이 전무해 전량 해외수입 품목으로 구분되며 구매 농장관리인의 반응 및 선호도 상승 중
○ 현지 바이어 의견에 따르면 원예용 결속기 및 소형 농기구 품목은 미국 현지의 가격대비 생산단가가 높아 수입품 구매가 대부분
□ 해당 산업 관련 정부 정책
○ 미국 농무부 USDA에 따르면2015년도에는 ‘21세기의 Smart Agriculture’를 바라보며 당국의 주요 핵심산업 중 하나인 농업의 생산량 상승 및 인건비 절감 효과를 최신 기술을 통해 이루어 보자는 안을Forum을 개최하는 방법으로 홍보 및 제안
○ 하지만 최신 기술을 농업산업에 적용해 효과를 내는것은 아직 이상적인 이야기에 불과하고 현재로서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실현 가능한 방안으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함. 이에 원예용 결속기를 비롯한 소형 농기구 품목은 적합한 합의점
○ 농작물 관리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각종 기술 개발에 정부차원의 지원 및 인센티브 제공으로 농기구 개발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진행 중
□ 수입동향
최근3년간 미국의 원예용 결속기 및 소형 농기구 품목 수입 상위 10개국 통계 현황
(HS Code 8201.90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
국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1 |
2012 |
2013 |
2011 |
2012 |
2013 |
13/12 | ||
|
총계 |
36,815 |
49,092 |
56,210 |
100.00 |
100.00 |
100.00 |
+14.50 |
1 |
중국 |
22,057 |
27,095 |
27,193 |
59.91 |
55.19 |
48.38 |
+0.36 |
2 |
대만 |
5,695 |
7,517 |
14,128 |
15.47 |
15.31 |
25.13 |
+87.95 |
3 |
멕시코 |
807 |
3,409 |
4,430 |
2.19 |
6.94 |
7.88 |
+29.95 |
4 |
오스트리아 |
117 |
2,506 |
2,190 |
0.32 |
5.10 |
3.90 |
-12.61 |
5 |
독일 |
1,484 |
1,906 |
1,488 |
4.03 |
3.88 |
2.65 |
-21.93 |
6 |
베트남 |
185 |
762 |
1,346 |
0.50 |
1.55 |
2.39 |
+76.64 |
7 |
일본 |
707 |
767 |
1,191 |
1.92 |
1.56 |
2.12 |
+55.28 |
8 |
프랑스 |
1.096 |
958 |
789 |
2.98 |
1.95 |
1.40 |
-17.64 |
9 |
스웨덴 |
495 |
744 |
591 |
1.34 |
1.52 |
1.05 |
-20.56 |
10 |
이탈리아 |
189 |
336 |
566 |
0.51 |
0.68 |
1.01 |
+68.45 |
16 |
한국 |
75 |
47 |
158 |
0.20 |
0.10 |
0.28 |
+236.17 |
자료원: 미 상무부
2. 수입제도·관세율
□ 수입규제제도
○ 필수 인증 현황
- 소형 농기구의 미국 내 유통 및 판매를 위한 의무 인증은 없으나 대체로 민간 안전인증업체인UL(Underwriters Laboratories) 인증 확보 권고
- 현지 바이어는 UL 인증을 선호하나 미국 외 인증인 CE 마크 수준으로 유통 및 판매 가능
□ 관세율
○ 관세율- 무관세
○ 통관 시 유의사항
- 원예용 결속기 및 소형 농기구 부분품의 경우 통상적인 미국 수입통관절차를 따름.
- 미국 수입통관절차의 상세 내용은 다음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람. (http://www.cbp.gov/sites/default/files/documents/Importing%20into%20the%20U.S.pdf)
3. 유통구조
□ 주요 유통채널
유통상 |
취급품목 |
특성 |
Farmtek |
농업 관련 품목을 취급하는 대형 유통업체. |
일반소비자 및 농업 운영주등 대량 구매 소비자가 주요 고객. |
The Home Depot |
농업용 상업용 기구 및 일상 생활에 필요한 소규모 관련 품목을 취급하는 대형 유통업체. |
일반 소비자가 주요 고객 |
Individual Distributors |
농장의 필요에 의해 품목을 파악. 원예용 결속기 및 소형 농기구가 주 타겟. |
지역 농장주와의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여 판매 |
- 대형 유통업체를 채널 삼는것 보다 지역 배급업자를 통한 판매가 활발히 이루어짐.
- 특정 중소형 농기구는 생산품목별 용도가 다양해 유통업체 경유 판매 외 농장관리인 직접 접촉을 통한 제품 소개 및 판매 진행중.
- Farmtek이나 Home Depot이외에도Orchard Hardware Supply, Lowe's, Ace Hardware등 건설용 공구 대형 유통업체 판매장에서도 유통 가능
○ 유통채널 활용 방안
- 유통채널이 뚜렷하게 형성되지 않은 현황을 고려해 대·중·소형 유통채널을 한꺼번에 공략한 공격적이고 활발한 제품 소개 권장
- 위에 기재된 유통채널 이외에도 John Deere/AGCO등 유명 농업 브랜드를 통한 유통 또한 적극 고려해 볼만함.
- 중소 유통채널을 통해 기능성 제품의 소량공급 및 샘플판매로 제품의 수요를 측정
- 미국 내 농장 관리인 및 농장주 협회 접촉을 통한 유통채널 확대 또한 권장
□ 공공조달시장
○ 규모
- 미국 농무부(US Department of Agriculture) 신청을 통한 공공조달시장과 주정부 산하 농업관련 부처 조달사업분야가 가장 큰 규모
- 미국 총무처(General Service Administration) 조달사업분야 신청 및 접수를 통한 지원 가능
- 미국 농무부 산하 농업진흥청(Farm Service Agency) 접촉을 통해 제품 소개 가능
- 글로벌 농업시장의 주요 축을 차지하는 북미지역 내 공공조달시장의 규모는 정확한 집계가 어려우나 미국 농업진흥청 및 주정부 상공회의소 관련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큰 규모로 형성되어있는 것으로 확인됨.
○ 주요 발주처
- 미국 농무부(US Department of Agriculture)
- 미 연방 총무처(GSA: General Service Administration)
- 주정부 포함 각종 지방자치단체 농업진흥청 등
4. 경쟁동향
□ 경쟁제품 현황
업체명 |
부품명 |
부품 종류 |
가격 |
원산지 |
K1BO |
Vine Tape Hand Tool |
원예용 결속기 |
$27~$30 |
중국 |
Byung Jue |
Vine Tape Hand Tool |
원예용 결속기 |
$25~$40 |
한국 |
Shenzhen Nahoom |
Vine Tape Hand Tool |
원예용 결속기 |
$15~$35 |
중국 |
원예용 결속기 견본사진1
원예용 결속기 견본사진 2
□ 한국 제품에 대한 현지 인지도 및 선호 브랜드 현황
○ 한국 제품 현지 인지도
- 미국 현지 원예용 결속기 및 관련 소형 농기구 공급 부족으로 뚜렷한 평가 및 인식 부족
- 원예용 결속기의 기술적 특성으로 국산 농기구의 높은 기술력과 기능적 다양화를 통해 넓은 제품군 형성 가능성 높음.
-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국산 농기구는 기타 경쟁국가 제품 대비 뛰어난 품질을 보유해 관심도가 높아 인지도 상승 가능성 높음.
○ 선호 브랜드
- 현재 특정 선호 브랜드는 뚜렷하지 않으나 한국 품목의 미국시장 진출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고품질의 특정 브랜드 및 선호 제품군은 증가 예상
- 국산 브랜드 중 병주농자재의 진출 및 현지 소개활동으로 원예용 결속기 및 관련 농기구 공급으로 한국 기업의 참여도는 더욱 증가할 것
5. 효과적인 시장진출 전략
□ 타깃 고객층
○ 타깃 고객층
- 대형 과수원 및 농장 구매 담당자 혹은 납품하는 유통업체(B2B 판매)
- 지역 내 농장주 및 관리인 협의회
- 미국 GSA, 농무부 및 지방자치단체 내 정부조달업체 등록 기업 혹은 국내기업의 현지진출 후 정부조달업체 등록을 통한 정부기관 계약업체 형태 사업 가능
- 미국 현지 농기구 전문 유통업체
- 중대형 각종 공구 유통전문업체 등
○ 타깃 사유
- 원예용 결속기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곳은 중대형 과수원이며, 제품의 기능성 소개를 우선적으로 진행하어 수요 창출로 이어지게끔 유도 가능
- 지역 내 농장주 협회 접촉 및 제품 소개를 통한 대량공급 기회 확보 예상
- 미국 내 중소형 농기구를 다량으로 취급하는 일반 건축공구 유통전문업체를 통한 판매로 B2C 판매 또한 가능
□ 활용 가능한 마케팅 방안
○ 현지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현지어명) |
2015 WORLD AG EXPO |
전시회명(한국어) |
미국 세계 농업 엑스포 및 컨퍼런스 |
전시품목 |
각종 농기구 포함 농업관련 품목 전반 |
개최국가/도시 |
미국/Tulare, CA |
개최주기 |
연간 |
개최기간(2015년) |
2월 10~12일 |
웹사이트 |
www.worldagexpo.com |
○ 전시회 이외의 주요 마케팅 방안
- 미국 현지 상황 및 상관례를 고려해 전시회 참석을 통한 바이어 접촉이 가장 효율적임.
- 관련 전시회 참가기업의 연락처를 정리해 전시회 기간 후 개별접촉을 진행함으로써 제품 및 회사 소개를 동시에 진행하는 것도 권고할만한 방법임.
- 미국 현지 바이어에게 한국 내 개최되는 전시회 및 컨퍼런스를 소개해 초청하는 것도 좋은 방법
○ 유력 홍보 방안
- 미국 농업 유통인 협회(Agricultural Retailers Association) 발간 자료 및 웹사이트 홍보 권장
- 미국 내 각종 중소형 농기구 소개 잡지 및 웹사이트를 통한 제품의 홍보 효과가 높음.
- 주요 온라인 유통업체(예:Amazon, eBay 등)를 통해 소량 직접판매 통한 홍보 효과 높음.
□ 시장 확대를 위한 무역관 의견
○ 원예용 결속기 품목은 미국 내 마케팅 활동이 상대적으로 부진하여 높은 기능성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지 인지도가 낮음.
○ 농업시장을 전반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상당한 숫자의 농업주는 온라인 마케팅 보다는 오프라인 접촉을 선호하고 follow up또한 직접적인 통화나 방문에 더 빠른 반응을 보임. 가장 효과적인 마케닝 방법으로는 현지화된 소개자료 및 셈플공급을 추천함.
○ 미국시장 진출 시 미국 현지 시장 동향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하고 현지화에 초점을 맞추는것을 적극 권함. 단순한 기술 현지화뿐만 아닌 소개서를 제작할 때에도 영문의 정확한 단어·문법 표기 및 미국에서 사용되는 단위를 적극 고려하는 것을 추천
○ 원예용 결속기는 뚜렷한 제품라인 및 시장점유율을 독식하는 제품 브랜드가 없어 기능의 문자적 소개 뿐만 아닌 이것이 현실적으로 어떤상황에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여주는 비디오를 촬영하여 마케팅시 사용하는것도 방법이 될 수 있음.
○ 제품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현지의 업체를 연락할 때 한꺼번에 여러업체를 공략하여 경쟁력을 키우는것이 중요. 미국 농업시장에서는 독점을 노리는 유통업체가 상당하기 때문에 시장에서의 제품의 인지도가 매우 중요함.
○ 한국시장 혹은 다른 나라에서의 성공스토리를 강조하기 보다는 현지화에 더 초점을 두고 적용점을 찾는것이 중요
○ 초기 미국 진출 방법으로 각종 농업 관련 미국 내 컨퍼런스 및 전시회 참관 권장, 자사 제품을 비교분석하고 비교우위를 갖출 수 있는지에 대한 사전 점검이 반드시 필요. 전시회 참가시 경쟁업체 및 협업가능 업체에 한에서의 소개자료를 배포하고 친밀한 관계를 쌓아가는것을 추천
○ 현지 진출 준비가 충분하다고 느껴졌고 몇몇 바이어와도 돈독히 관계를 쌓아왔을 경우 직접 전시회를 통한 제품 전시 및 적극적인 홍보를 해 보는것도 보다 넓은 채널을 확보하기에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음.
○ 최근 각광을 받는 온라인 도소매 유통채널 진출을 통해 제품의 소개와 더불어 판매 활동 확장도 시장개척에 소요되는 기간 단축 및 직거래방식으로 보다 빠르게 거래노선을 확보 가능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밀레니얼 세대, 미국 가드닝 시장의 주요 소비층으로 급부상 | 미국 | 2019-09-13 |
2 | 호미의 깜짝 인기, 미국인의 정원에는 무슨 일이? | 미국 | 2019-06-13 |
3 | 에콰도르, 콜롬비아 21%·페루 7%의 추가 관세 부과 | 에콰도르 | 2015-01-14 |
4 | 라오스 벽지 및 벽 피복재 시장동향 | 라오스 | 2014-11-25 |
5 | 라오스 금고 및 도어락 시장동향 | 라오스 | 2014-09-30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