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바이오산업의 현주소
유럽 바이오산업의 현주소
- 기술이전 및 협력방안 모색통한 선진기술 도입 필요 -
보고일자 : 2007.5.15.
김명희 브뤼셀무역관
□ 유럽 바이오산업 구조
○ 2004년 기준 유럽의 바이오산업 기업은 2163개로 9만6459명이 이 분야에 종사하고 있으며, 그 중 44%는 R &D 부분에 종사하고 있음.
* 여기에서의 유럽국가는 오스트리아, 벨기에,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을 포함함.
○ 이 분야를 바이오농업 및 환경(AgBio and Environmental), 바이오 진단(Biodiagnostics), 인체건강관리(Human healthcare), 서비스(Service) 등으로 구분할 때 건강관리(Health care)부문에 기업의 1/3이 종사하며 약 5만명을 고용해 이 분야 절반 이상이 건강관리부문에 종사하고 있음. 반면 바이오농업 및 환경부문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비율이 이 분야에 종사하고 있음.
구분 | 바이오농업 및 환경 | 바이오진단 | 인체건강관리 | 서비스 |
기 업 수 | 11% | 18% | 37% | 34% |
종업원수 | 8% | 13% | 52% | 27% |
○ 이 분야 기업의 55%가 설립한지 5년 이하의 기업이며, 23%는 2년 이하의 기업으로 구성돼 있어 일면 이 분야 창업 열기가 뜨거움을 알 수 있음.
□ EU 바이오산업 정책 및 산업 현황
○ EU에 있어서 바이오산업의 위치는 96459명이 종사하는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부문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음.
- 집행위의 기업산업정책(enterprise and industry policy) 책임자 Gunter Verheugen씨는 “바이오테크놀러지는 EU의 성장, 고용 및 경쟁력 제고에 매우 중요한 수단”이라고 밝힘.
○ 이 분야 많은 벤처기업이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성장세는 매우 완만한 편이며, 또한 연구개발비는 대부분 외부조달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임.
○ 특히 이 분야 중소기업들은 충분한 벤처캐피털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허시스템 또한 비용이 너무 비싸 중소기업의 특허취득을 어렵게 만들고 있는 하나의 요소임.
○ 반면, 세계시장에서 생명과학 및 바이오테크 연구에 대한 투자는 날로 가속화되고 있으며 중국, 브라질 및 인도 등 이 분야 신흥국가들은 EU의 새로운 경쟁국으로 대두되고 있음.
○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EU 바이오산업 중소기업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EU 집행위는 다음의 5개 분야의 개발을 강조하고 있음.
- 연구 및 시장개발의 촉진
-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식이전 및 기초과학에서 산업으로의 기술혁신
- 사회적 논의의 활성화
- 법제화 촉진
□ 벨기에 바이오산업 구조
○ 2004년 기준 벨기에는 유럽국가중 바이오산업 9위 국가로 집계되고 있으며 84개의 기업이 이 분야 종사하고 있음. 종업원 3654명중 49%인 1767명은 R &D 부문에 종사함.
○ 설립연도에 따른 기업수를 살펴보면 1989년 이전 설립회사는 11개에 불과하며 2002년 이후 설립한 기업수가 22개로 전체기업의 27%를 차지함.
□ 시사점
○ EU의 바이오산업 부문 보유기술 및 기술개발은 우리나라와 비교할 때 매우 높은 수준임. 특히 환경부문에 있어서 2020년까지 자동차용 연료에 대해 최소 10%는 바이오에너지의 사용을 의무화하는 등 바이오산업의 발달을 제도적으로 촉진하고 있음.
○ 유럽의 발달된 바이오산업기술을 우리기업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술이전 및 투자 등을 통한 기업간 제휴가 필요할 것이며, 또한 유관단체 및 관련협회와의 자매결연을 통한 벤치마킹 기회 마련 및 기술교류의 기회를 가져야 할 것임.
자료원 : EuropaBio 및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유럽 바이오산업의 현주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일본 기계 수입액 추이(2001~05년) | 일본 | 2007-05-15 |
2 | 말련, 철근 상한가격 20% 인상 | 말레이시아 | 2007-05-15 |
3 | 레바논 관광객 감소추세 | 레바논 | 2007-05-16 |
4 | 크로아티아, 국가경쟁력 55국중 53위 | 크로아티아 | 2007-05-15 |
5 | 中, 사무실 임대사용시 토지사용비 | 중국 | 2007-05-15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