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스타트업 시장현황과 트렌드
- 저렴하고 영어 구사 가능한 IT인력, 높은 인터넷 보급률 등 우수한 IT 창업 기반 보유 -
- 정부의 규제 완화 및 세제 혜택 등 정책 부재로 성장에 한계 -
- 2020년 상반기 총리실에서 발표할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주목 필요 -
□ 파키스탄 스타트업 시장 동향
ㅇ 디지털 인력 및 인프라 활용을 위한 창업 생태계 정비
- 파키스탄은 인구 2억의 거대 내수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50% 이상이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적응력이 매우 빠른 30대 이하로 구성되어 있어 청년 창업가가 탄생할 수 있는 토양이 갖춰지고 있음.
- 또한 파키스탄은 인건비가 저렴하고 영어 구사가 가능한 IT 엔지니어를 약 30만 명 이상 보유하고 있으며, 대학 등 기관에서 매년 약 2만명 이상의 신규 IT 인력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음.
- 그러나 현재까지 창업에 대한 정부 지원이 미약했던 탓에 카림(Kareem), 파이어아이(FireEye)와 같이 성공적인 스타트업의 경우 대부분 파키스탄인이 주변국인 두바이 등에서 기업을 설립한 사례임.
- 이를 목격한 파키스탄 정부는 국내 창업 생태계를 정비하기 위해 2016년 민간 협력을 기반으로 이슬라바바드, 라호르, 카라치 등 주요 도시에 National Incubation Center(NIC)를 설립했으며, 창업을 위한 무료 공간, 교육 등을 제공하고 있음.
- 2018년 말 기준 NIC에서는 총 4회에 걸쳐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290명 이상의 창업가가 배출되었음.
- NIC 외에도 2018년 기준 파키스탄에는 52개의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및 엑셀러레이터가 존재하고 있으며, 업체마다 연간 약 7~15개의 스타트업을 배출하는 것으로 파악됨.
파키스탄 주요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및 엑셀러레이터 현황
구분 |
기업명 |
육성 스타트업(대표) |
인큐베이터 |
Nspire |
Shopdesk |
Plan 9 |
Patari |
|
Social Innovatioin Lab |
FindMyAdventure |
|
엑셀러레이터 |
Plan X |
Mangobaaz |
Invest2Innovate |
Popinjay |
|
10Xc |
Labcloud |
자료: State Bank of Pakistan
□ 정책 동향
ㅇ 파키스탄 스타트업 육성 정책 동향
- 파키스탄 총리실은 2013년도부터 청년 인적자원 역량 강화를 위해 Prime Minister Youth Affairs Programme(PMYAP)를 운영해오고 있음.
- 2018년 8월 취임한 임란칸 총리는 해당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청년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Prime Minister’s Startup Pakistan Programme을 계획하고 있으며, 내년 상반기에 공식 발표 예정인 것으로 파악됨.
- 대학 및 각종 기술 기관을 통한 기업가 정신 등 기본 소양 교육, 2023년까지 스타트업 10,000개사 육성 및 일자리 100만개 창출, 스타트업 자금 조달 프로세스 간소화 등이 주요 골자임.
- 파키스탄 중소기업개발청(Small and Medium Enterprises Development Authority, SMEDA)도 협력하여 프로그램 참가자 교육을 위한 국내외 우수 창업 사례를 발굴을 지원할 계획임.
Prime Minister’s Startup Pakistan Programme 주요 내용
① 대학 및 기술 기관 교육을 통해 기업가 정신을 함양한 청년 100만명 양성 ② 2023년 까지 신규 스타트업 10,000개사 육성 및 신규 일자리 100만개 창출 ③ 정부 주요 프로젝트 내 인턴십 기회 제공 ④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학계 및 산업계의 협력 강화 ⑤ 정부 보조금 지원 등 스타트업 자금 조달 프로세스 간소화 ⑥ 선진국에 진출한 성공적인 파키스탄 창업가 지식 공유 |
자료: Pakistan Federal Government
□ 현지 기업 현황
ㅇ 주요 스타트업 현황
- 파키스탄 내 본사를 두고 있는 주요 스타트업은 PakWheels, JobAlert 등이 있으며, 최근 온라인 소셜 마케팅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Botsify, Social Champ 등도 주요 스타트업으로 부상함.
- Plan9에 따르면 현재 파키스탄에 등록된 스타트업은 약 1,000개사로, 매년 15~20% 비율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임.
파키스탄 주요 스타트업 현황
기업명 |
주요 기능 |
웹사이트 |
PakWheels |
온라인 중고차 거래 시장 |
www.pakwheels.com |
JobsAlert |
온라인 구직, 구인 서비스 제공 |
www.jobsalert.pk |
Botsify |
AI 챗봇 생성 툴 제공 |
www.botsify.com |
Dawaai |
온라인 건강 진단 플랫폼 |
www.dawaai.pk |
Social Champ |
소셜 마케팅 툴 제공 |
www.socialchamp.io |
Ilaan |
온라인 부동산 거래 시장 |
www.ilaan.com |
자료: KOTRA 카라치무역관 조사
□ 바이어 인터뷰
ㅇ 업체명: Plan9 / 담당자: Mr. Sarmad Hafeez (Operation Manager)
- 펀잡주 정부 지원 스타트업 프로그램 Plan9 운영 담당자 Mr. Sarmad Hafeez에 따르면 Plan9은 현재까지 13회차에 걸쳐 160개 이상의 스타트업을 육성해옴.
- 파키스탄 내에서 성공률이 높은 스타트업 업종의 경우 대부분 음식 배달 서비스, 모바일 건강 체크 서비스, 전자상거래 서비스에 해당한다고 밝힘.
- 전반적으로 IT 계열 기업의 성장이 두드러지므로, 고급 IT 기술을 보유한 한국 기업의 경우 현지 유망 스타트업 기업과 파트너십 체결 등을 통해 파키스탄에 진출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만함.
- 과거 정부의 스타트업 육성 정책은 주로 자금 지원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최근 들어 점차 경제 및 무역 환경을 정비하고 창업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등 우호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려는 경향이 보임.
- 또한 최근 여성기업가 육성을 통해 사회적 성불평등을 해소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이에 따라 2017년부터 매년 Women Entrepreneurship Conference(WECON)가 이슬라마바드에서 개최됨.
ㅇ 업체명: Invest2Innovate / 담당자: Ms. Ambareen Baig(Insight Lead)
- 이슬라마바드에 소재한 엑셀러레이터 기업 Invest2Innovate의 Ms. Ambareen Baig에 따르면 2018년 파키스탄 스타트업 기업이 투자받은 총 금액은 약 3,000만 달러로, 전년도 2,310만 달러 대비 약 30% 증가한 수치임.
- 이 중 전자상거래(e-commerce) 분야에서 전체의 약 11%에 해당하는 투자 자금을 유치했으며, 온디맨드(On-Demand) 서비스 분야에서 약 7%의 자금을 유치한 것으로 파악됨.
-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정부 및 민간부문의 초기 자금 지원은 여전히 충분하지 않으며, 스타트업 업종에 따라 초기 자금 격차는 점차 심화되는 추세임.
- 향후 파키스탄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에는 기업 활동규제 완화, 투자규제 완화 등 현 정부의 정책이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전망 및 시사점
ㅇ 파키스탄 정부 정책에 힘입어 스타트업 시장의 점진적 성장 예상
- 2020년 상반기에 발표 예정인 Prime Minister’s Startup Pakistan Programme을 통해 파키스탄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이 점차 마련될 것으로 예상됨.
- 그러나 바이어 인터뷰에 따르면 파키스탄 창업 환경은 선진국과 비교해 매우 열악한 편에 해당하므로, 단기간에 획기적인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임.
- 인도의 ‘스타트업 인디아, 스탠드업 인디아’와 같은 다양한 세제 혜택 및 규제 완화 정책이 부재한 것도 한계점으로 작용함.
-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 정부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의 궁극적 목표는 국가 성장 동력을 위한 우수 인력 양성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므로, 장기적으로 산업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ㅇ 파키스탄 스타트업 육성 정책 주목 필요
- 파키스탄 정부는 2019년 9월 파키스탄 최초의 전자상거래 육성 정책을 발표하며 온라인 비즈니스 활성화 기반을 마련한 바 있음.
- 파키스탄의 GDP의 약 60%를 차지한 서비스산업 부문을 중심으로 디지털화가 촉진되고 있어 향후 IT 기반 서비스 창업 기회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정부의 세금 혜택, 투자 혜택 등 정책 변화를 참고해 현지 IT 스타트업과 기술 교류 등 협력 방안도 고려 가능
- 현지 스타트업 시장 동향 파악을 위해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에서 매년 개최되는 국제 스타트업 콘퍼런스 ‘Startup Grind Pakistan Conference’에 참가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임.
자료원: Pakistan Federal Government, State Bank of Pakistan, National Incubation Center, Pakistan Telecommunication Authority, Plan9, Invest2Innovate, Startup Ranking, Startup Magazine, Business Recorder, Tribune, KOTRA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파키스탄 자동차 윤활유 시장동향 | 파키스탄 | 2018-09-29 |
2 | 과테말라 정부 입찰의 관문, Guatecompras 활용법 | 과테말라 | 2019-11-11 |
3 | 미리 보는 CES: 2020년 주목할 5가지 기술 트렌드 | 미국 | 2019-11-15 |
4 | 일본 인조잔디 시장 동향 | 일본 | 2019-10-28 |
5 | 호주, 인구보다 많은 반려동물 펫테크로 돌본다 | 호주 | 2019-11-15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