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과이, 증가하는 모니터 수요
- 2018년 기준 한국산 모니터 617만 달러 수입, 전년 대비 164% 수입 증가 –
- 중국 및 멕시코산 모니터 수입 감소, 한국산 수입 증가 추세 -
- CCTV 설치 확대, 게임산업 발달 등의 영향으로 모니터 수요 확대 전망 -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규모
- 파라과이의 모니터(HS Code 8528) 수입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2억 2,837만 달러로 전년대비 4.02%의 하락세를 보였음. 파라과이는 모니터 자국 생산이 전무하기 때문에 수입규모를 전체 시장규모로 볼 수 있음.
- 2019년 1~8월 모니터 수입액은 약 1억 2,412만 달러를 기록, 전년 동기 대비 22.36%의 감소세를 나타냄.
- 2016년의 경우, 달러화 가치 상승 영향으로 대부분의 수입품목이 전년대비 하락세를 기록했으나, 모니터 수입량은 큰 증가세를 기록한 바 있음.
- 2016년 이후 성장세를 이어오던 파라과이 모니터시장은 2018년도부터 경기 침체로 인해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음.
파라과이 모니터(HS Code 8528) 시장규모
(단위: US$, %)
구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1-8월) |
금액 |
136,910,173 |
197,947,054 |
237,942,120 |
228,377,293 |
124,124,744 |
증감률 |
-30.50 |
44.58 |
20.20 |
-4.02 |
-22.36 |
자료: Global Trade Atlas 통계
ㅇ 시장동향
- 파라과이는 세계 36여개국(2018년도 기준)으로부터 모니터를 수입하고 있으며,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현저하게 높음.
- 최근 몇 년 사이 늘어나고 있는 PC방, 온라인 게이머, CCTV설치 증가가 모니터 수요 증가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음.
- 개인의 취향을 고려한 여러 성능의 제품이 출시되면서 모니터에 대한 고객의 수요가 점차 다양해지고 있음.
- 대형 전자제품 판매점에서 주로 판매되는 모니터 브랜드는 SAMSUNG, LG, ARION, HAIER 등 한국, 중국 브랜드가 많음. 기타 중국제품은 주로 전자제품 도매점에서 판매되고 있음.
- 한국 모니터의 경우, SAMSUNG 및 LG 등의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 꾸준히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음.
□ 수입동향
ㅇ 주요 수입국가
- 2018년 국가별 수입동향을 살펴보면 중국이 약 1억 8,105만 달러(점유율 79.28%)로 1위를 차지했으며, 멕시코 2,343만 달러(10.26%), 홍콩 892만 달러(3.91%), 한국 617만 달러(2.70%) 순으로 수입 순위 상위권을 차지하였음.
파라과이 모니터(HS Code 8528) 주요 수입국가
(단위: US$, %)
순위 |
국가 |
2017년 |
2018년 |
2019년(1-8월) |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점유율 |
||
전체 |
237,942,120 |
20.20 |
228,377,293 |
-4.02 |
124,124,744 |
-22.36 |
100 |
|
1 |
중국 |
193,898,427 |
24.88 |
181,058,507 |
-6.62 |
94,645,246 |
-26.56 |
79.28 |
2 |
멕시코 |
22,658,018 |
28.61 |
23,434,528 |
3.43 |
11,592,295 |
-25.67 |
10.26 |
3 |
홍콩 |
12,341,122 |
-5.08 |
8,926,525 |
-27.67 |
6,555,639 |
3.66 |
3.91 |
4 |
한국 |
2,338,358 |
-55.15 |
6,173,452 |
164.01 |
4,299,393 |
44.09 |
2.70 |
5 |
미국 |
2,410,272 |
-29.74 |
4,992,124 |
107.12 |
2,653,952 |
-32.37 |
2.19 |
6 |
파나마 |
625,156 |
336.02 |
1,467,881 |
134.80 |
630,512 |
-36.83 |
0.64 |
7 |
인도네시아 |
2,182 |
- |
687,821 |
31,422.50 |
2,128,654 |
- |
0.30 |
8 |
대만 |
163,726 |
533.39 |
345,892 |
111.26 |
791,237 |
292.64 |
0.15 |
9 |
말레이시아 |
64,407 |
6.29 |
190,545 |
195.85 |
7,769 |
-93.00 |
0.08 |
10 |
태국 |
108,147 |
- |
168,585 |
55.89 |
44,392 |
-36.58 |
0.07 |
자료: Penta Transaction Online
ㅇ 주요 수입업체
- 2018년 기준 IMPORTADORA AUDI S.A.사가 전년 대비 0.06% 증가한 약 3,224만 달러 규모의 제품을 수입했으며, 14.12%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음.
- 이어서 LASER IMP S.A.사가 전년대비 5.34% 증가한 수입액 1,490만 달러로 2위를 차지했음.
- 수입 순위 3위를 차지한 NICOLAS GONZALEZ ODDONE S.A.사는 수입액이 전년대비 8.39% 감소한 1,271만 달러를 기록했음.
파라과이 모니터(HS Code 8528) 주요 수입업체
(단위: US$, %)
순위 |
업체 |
2017년 |
2018년 |
2019년(1-8월) |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점유율 |
||
|
전체 |
237,942,120 |
20.2 |
228,377,293 |
-4.02 |
124,124,744 |
-22.4 |
100 |
1 |
IMPORTADORA AUDI S.A. |
32,224,548 |
31.22 |
32,245,318 |
0.06 |
19,964,764 |
-15.3 |
14.12 |
2 |
LASER IMP S.A. |
14,145,896 |
10.71 |
14,901,676 |
5.34 |
7,594,656 |
-19.5 |
6.53 |
3 |
NICOLAS GONZALEZ ODDONE S.A. |
13,878,592 |
168.7 |
12,713,685 |
-8.39 |
715,207 |
-92.1 |
5.57 |
4 |
OCEANO ELECTRONICOS SOCIEDAD ANONIMA |
13,113,145 |
-38 |
11,345,028 |
-13.5 |
7,653,783 |
9.31 |
4.97 |
5 |
RIGSTAR S.A. |
10,489,091 |
69.83 |
10,260,385 |
-2.18 |
2,181,283 |
-74.6 |
4.49 |
6 |
ABACEL S.A. |
11,593,104 |
63.36 |
10,130,863 |
-12.6 |
4,762,323 |
-38 |
4.44 |
7 |
F.C. FREE S.A. |
6,894,345 |
-23.6 |
8,392,773 |
21.73 |
4,999,140 |
-20.1 |
3.67 |
8 |
SOL CONTROL SRL |
7,996,444 |
33.28 |
8,048,991 |
0.66 |
1,354,298 |
-77.1 |
3.52 |
9 |
SERV.Y PRODUCTOS MULTIMEDIOS |
5,007,102 |
66.88 |
6,611,862 |
32.05 |
4,907,476 |
-6.41 |
2.9 |
10 |
COMPANY GROUP S.A. |
2,243,208 |
98.01 |
6,409,762 |
185.7 |
2,725,704 |
-32.9 |
2.81 |
자료: Penta Transaction Online
□ 시장 특성
ㅇ 중국 생산 브랜드가 절대 다수이며, 한국 생산 제품은 상대적으로 높은 브랜드 인지도 보유
- 우리나라 제품 중에 선호도가 높은 모니터는 인지도가 있는 LG와 SAMSUNG 브랜드 제품이었으며, 그 외 대만 AOC 브랜드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
- 가장 수입량이 많은 국가는 2018년 기준 약 328만 대의 제품을 수입한 중국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13만 1,583대를 수입함.
파라과이 주요 모니터 브랜드 수입 수량
번호 |
주요 수입국 |
브랜드명 |
2017년도 수입 수량(대) |
2018년도 수입 수량(대) |
1 |
중국 |
HP |
3,443,728 |
3,283,649 |
DUOSAT |
||||
AZ AMERICA |
||||
GLOBALSAT |
||||
2 |
홍콩 |
CINE BOX |
194,432 |
131,818 |
HISENSE |
||||
3 |
한국 |
ARION |
44,998 |
131,583 |
KAON |
||||
SAMSUNG |
||||
LG |
||||
4 |
미국 |
HAIER |
7,519 |
24,740 |
자료: Penta Transaction Online
파라과이 주요 모니터 브랜드 및 가격
(단위: US$)
판매처 |
브랜드/모델 |
특징 |
사진 |
가격 |
ABC |
LG Monitor 19” (19M38) LCD |
- 가로, 세로 길이(mm): 1366 x 768 (16:9 비율) - 56~75 Hz |
|
95 |
ABC |
AOC Monitor 19” (E970S) LED |
- 가로, 세로 길이(mm): 1366 x 768 (16:9 비율) - 60 Hz |
|
95 |
SAMSUNG Shop |
SAMSUNG Monitor 22” (SF350) LED |
- 가로, 세로 길이(mm):1920 x 1080 (16:9 비율) - 60 Hz |
|
115 |
SAMSUNG Shop |
SAMSUNG monitor curved 49“ (CHG90) QLED |
- 가로, 세로 길이(mm): 2560 x 1440 (16:9 비율) |
|
1,254 |
자료: 수입업체 인터넷 사이트
ㅇ 모니터 유통구조
- 모니터 수입업체들이 소매점을 함께 운영하며, 유통을 직접 담당하고 있음. 대부분의 기업들이 전국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자체 유통망을 보유하고 있음.
- 주요 소매점으로는 쇼핑센터, 전문판매점, 인터넷 쇼핑몰 등이 있음.
ㅇ 모니터 업계 관계자 의견
- A사는 전자제품 업계에서 20년간 활동하고 있는 도소매 유통업체로, 주요 고객은 컴퓨터, 휴대폰 소매 판매 종사자임. 주로 중국, 브라질, 미국, 멕시코, 유럽 등 국가에서 모니터를 포함한 다양한 컴퓨터용품을 수입하는 대표적인 업체임.
- A사 관계자에 따르면 파라과이 모니터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치안 문제로 인한 가정내 CCTV 설치 확대, 게임 산업 활성화에 따른 PC방 증가, 게임 유저 증가 등을 모니터 판매량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하였음.
- 아울러, 모니터 수요증가와 함께 소비자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모니터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함.
- A사 매장에서는 주로 한국 모니터를 판매하고 있으며, 품질이 좋고 디자인이 세련된 한국 모니터는 전반적인 이미지가 좋기 때문에 매년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함.
□ 수입관세 및 관련 제도
ㅇ 조세율: 관세율, 부가세율, 소비세율 등(HS Code 8528)
- 남미공동시장(MERCOSUR)의 회원국인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루과이 등에서는 무관세로 수입됨.
- MERCOSUR의 역외공통관세에 따르면, HS Code 8528(모니터)의 상품에 부과되는 관세는 0~8% 이며, 1%의 특소세, 1.5%의 부가가치세, 0.6%의 소비세가 부과됨.
파라과이 모니터 관세율
(단위: %)
HS Code |
품목명 |
관세 |
특소세 |
부가세 |
소비세 |
8528 |
모니터 |
0~8 |
1 |
1.5 |
0.6 |
자료: Mercosur External Common Tariff 자료
□ 시사점
ㅇ 파라과이 모니터 시장 지속적인 성장 전망
- 파라과이는 치안 문제로 각 가정에 CCTV를 설치하기 시작했으며, 가장 쉽고 빠르게 일반 소비자들이 설치·관리할 수 있는 방범용 CCTV 증가와 함께 모니터 수요도 증가하고 있음.
- 파라과이 정부는 교통, 의료보건, 도시개발 관련 인프라 등 SOC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 증가는 관공서, 학교, 병원 등에서 모니터를 비롯한 IT관련 장비 수요를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됨.
ㅇ 온라인 게임용 대형 모니터 수요 증가
- 파라과이는 모바일 게임을 비롯한 게임 리그가 형성되고 있으며, 다양한 E-Sports 행사가 개최되고 있음. 최근 게임 유저들 사이에서는 선명한 화질의 프리미엄 제품으로 게임을 즐기려는 수요가 늘고 있으며, 30인치 이상, 가로세로 비율 21대 9 이상, 144HZ 이상의 고해상도 모니터가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잡고 있음.
ㅇ 제품 기능 차별화 및 중상류층 타겟 공략 필요
- 파라과이는 가격에 민감한 시장으로 가격 요소가 시장 진입에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임. 이에 따라, 면밀한 시장조사 등을 통해 품질대비 가격경쟁력 확보 방안을 강구해야 함.
- 현지 시장에서 중국산 대비 가격이 높은 한국 제품의 경우, 고급 제품 선호도가 높은 중상류층 고객을 대상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적극 공략할 필요가 있음.
ㅇ 원활한 사후관리(A/S) 지원 방안 마련 필수
- 파라과이 바이어들에 따르면 한국 모니터 수리를 위한 부품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고객관리 등에 애로사항이 있음. 장기적인 비즈니스를 위해서는 제품 판매 후 수리, 교환 등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는 A/S 체계 구축이 필수적임.
자료: Global Trade Atlas, Penta Transaction Online, 수입업체 인터넷 사이트, KOTRA 아순시온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파라과이, 증가하는 모니터 수요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저출산 기조에 흔들리는 중국 분유시장 | 중국 | 2019-09-16 |
2 | 인도네시아 정부, 전기자동차산업 육성에 본격 착수하다 | 인도네시아 | 2019-09-18 |
3 | 지속적인 관광 인프라 개발로 파나마 관광산업의 성장 유인 | 파나마 | 2019-09-27 |
4 | 사례로 보는 라오스 소비재 마케팅 전략 | 라오스 | 2019-09-19 |
5 | 태국 부동산 시장의 오늘과 내일 | 태국 | 2019-09-12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