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고령화 사회 진전 가속화, 우리의 기회는?
- 개발도상국 중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의 진전이 가장 빠른 나라 -
- 노년층 재교육 프로그램, 안전 장비, 주름개선 화장품, 퍼즐 등 노려볼 만 -
- 실버타운 등 시니어 관련 프로젝트 증가세 -
□ 태국 고령화 사회 진전 현황
ㅇ 태국의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의료기술 발달, 위생 및 주거환경 개선, 교육수준 향상에 따라 평균수명은 증가하고 있음.
- 1975~1980년 사이 태국의 출산율은 인구 1000명당 3.9명을 기록했으나 1995~2000년에는 1.77명, 2015~2020년에는 1.53명 수준으로 감소
- 반면, 평균 수명은 1975~1980년 63.31세에 불과했으나 1995~2000년에는 70.30세를 기록했으며, 2015~2020년사이에는 76.83세까지 증가
태국 출산율 및 평균수명 추이(1975~2020년)
구분 |
1975-1980 |
1985-1990 |
1995-2000 |
2005-2010 |
2015-2020 |
출산율(명) |
3.92 |
2.3 |
1.77 |
1.56 |
1.53 |
평균수명(세) |
63.31 |
69.77 |
70.30 |
73.15 |
76.83 |
- 여성 |
66.24 |
72.71 |
74.29 |
76.59 |
80.62 |
- 남성 |
60.54 |
66.92 |
66.53 |
69.82 |
73.12 |
자료: 2019년 UN 세계 인구 전망 보고서
ㅇ UN 인구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태국은 아세안 국가 중 싱가포르 다음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나라에 해당
- 2020년이 되면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4개국이 고령화 사회에 해당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 중 태국의 고령자 비중은 인구의 13%에 달할 예정
- 한편, 태국 중앙은행은 2002년 태국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래 약 20년 뒤인 2022년 경이면 65세 인구 비중이 전체의 14%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사회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
2000년과 2020년 아세안 국가별 고령자 통계
(단위: 천 명, %)
국가 |
2000년 |
2020년 |
||||
총인구 |
65세이상 인구 |
65세이상 인구비중 |
총인구 |
65세 이상 인구 |
65세 이상 인구 비중 |
|
싱가포르 |
4,029 |
257 |
6.4 |
5,850 |
781 |
13.4 |
태국 |
62,953 |
4,112 |
6.5 |
69,800 |
9,044 |
13.0 |
베트남 |
79,910 |
5,130 |
6.4 |
97,339 |
7,657 |
7.9 |
말레이시아 |
23,194 |
908 |
3.9 |
32,366 |
2,325 |
7.2 |
인도네시아 |
211,514 |
9,939 |
4.7 |
273,524 |
17,129 |
6.3 |
미얀마 |
46,720 |
2,099 |
4.5 |
54,410 |
3,393 |
6.2 |
필리핀 |
77,992 |
2,549 |
3.3 |
109,581 |
6,040 |
5.5 |
브루나이 |
333 |
8 |
2.4 |
437 |
24 |
5.5 |
캄보디아 |
12,155 |
374 |
3.1 |
16,719 |
811 |
4.9 |
라오스 |
5,324 |
190 |
3.6 |
7,276 |
310 |
4.3 |
자료: 2019년 UN 세계 인구 전망 보고서
ㅇ 태국의 경제사회 분야 씽크 탱크에 해당하는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B)에 따르면 2040년경 태국의 60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32.1%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태국의 연령별 인구분포 추이(2010~2040년)
자료: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B)
□ 정부 대책
ㅇ 태국 정부는 태국의 빠른 고령화 진전 문제를 인지하고 노년층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각종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거나 입안할 예정임.
ㅇ 고용 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기업에서 60세 이상의 노년층 고용 시 정부에서 기업소득세 감면을 지원하는 한편, 노년층을 위한 직업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정년을 55세에서 60세로 연장하는 방안 고려 중
ㅇ 은퇴 후 개인의 소득 안정성 확보 방안으로 최소 3%에서 최대 15% 사이에서 고용주와 피고용인이 각출하는 연금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2019년 5월부터 정부주택은행을 통해 60세 이상의 역모기지를 허용하기 시작
ㅇ 노년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저상버스 보급 확대 등 교통수단을 개선하고 헬스케어 서비스를 개선하는 등 보다 노년층 친화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부양자에 대한 교육을 지원
□ 유망 상품 및 서비스 소개
ㅇ (교육 또는 훈련) 태국 정부 또는 대학교에서는 은퇴 이후 사회활동 또는 개인의 관심 분야에 적합한 활동을 희망하는 노년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도 함.
- 노년층만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숫자는 매우 제한적인 편이며 방콕 및 인근 대도시 지역에 한정돼 있다는 한계를 지님.
태국 노년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예시
프로그램 명(교육기관) |
교육 분야 |
기타 정보 |
노년층 웰니스 코스 (탐마삿 대학교 지속교육 및 인적자원연구소)
|
- 미래생활 설계 및 유관 법령 - 건강 및 영양 - 적합한 노인 친화적 가정 및 시설 - 공예 - IT 기술 등 소통을 위한 기술 |
- 신청자격: 60세 이상 - 학습시간: 106시간 - 수강료: 2000밧 - 홈페이지: https://icehr.tu.ac.th/ |
반빤락 연구소(Baan Pun Rak Institute)
|
- 올바른 운동법 - 공예 - 언어: 중국어, 영어 일본어 등 - 기술교육 - 스토리 텔링 등 - 사진촬영 - 은퇴 이후 금융 투자 등 |
- 주당 8개의 과정 수강 가능 - 회원비 일시납 - 홈페이지: http://www.baanpunrak.org/ |
자료: 각 기관 홈페이지
ㅇ (유망상품 1- 비상벨) 응급상황 발생 시 노년층이 그들의 가족 구성원 또는 헬스케어 제공자와 소통할 수 있는 비상벨 등이 유망상품으로 고려될 수 있음.
- 태국 통계청에 따르면 독거노인 또는 배우자와 2인 가족으로 거주하는 노인들의 비중이 1994년 3.6%에서 2007년 7.7%, 2017년 10.8%까지 증가하는 추세로 노인의 안전 문제를 고려할 필요
- 대개 비상벨은 현재 병원 또는 요양원 등에 설치돼 있으며, 가정 내 침실 또는 화장실에도 설치가 가능
비상벨 관련 정보
구분 |
내용 |
제품 예시 |
HS Code |
HS 8531.80.10 |
|
품목명 |
전자벨과 기타 경보장치 |
|
관세 및 세율정보 |
- 일반세율: 10% - 한-아세안 FTA 협정세율: 면제(Form AK 제출시) - 부가세: CIF의 7% |
|
수입규제 |
없음. 일반절차에 의해 수입가능 |
자료: 태국 관세청, decor.mthai.com
ㅇ (유망상품 2- 화장품) 카시콘 경제 연구소에 따르면 태국 노년층에게 인기 있는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군으로 주름개선용 화장품과 모발관리 제품이 꼽힘.
- 특히 주름개선용 크림은 화장품 품목군 중에서도 고가에 해당해 구매력이 있는 태국의 노년층들 사이에서 필수 제품으로 인식됨.
- 한국 화장품은 한-아세안 FTA의 대표적 수혜 품목이기도 하며, 태국 한류의 영향으로 매년 수입이 두 자리 수로 증가하고 있음. 2018년 기준 한국 기초화장품(HS 3304.99) 수입은 전체 시장의 11.4%를 차지하며 프랑스, 일본에 이은 3위를 기록
태국에서 판매 중인 주름개선 화장품 예시
구분 |
제품 이미지 |
아사아권 브랜드 |
판매가격대: 1,149~7,350밧 |
서구 브랜드 |
판매가격대: 599~3,800밧 |
자료: 웡나이
화장품 관련 세율 정보
구분 |
내용 |
HS Code |
3304.99 |
품목명 |
미용이나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화장용 제품류의 기타 화장품 |
관세 및 세율 |
- 일반세율: 30% - 한-아세안 FTA 협정세율: 면제(Form AK 제출시) - 부가세: CIF의 7% |
수입규제 |
- 태국 식약청에 화장품 제품 등록 필요 - 제품 판매 전 패키지에 태국어 라벨일 부착 필수 |
자료: 태국 관세청, 태국 식약청
ㅇ (유망상품 3- 퍼즐) 스마트폰 등 각종 기기 사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노년층을 위한 퍼즐 등 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난감(Skill toys)의 사용을 통해 인지능력과 소통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태국의 산업경제실(OIE; Office of Industrial Economics)에서는 성인용 스킬 토이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안전한 물질 사용 등을 권고하면서 성인용 장난감들을 약국, 병원, 도서관, 노인 전용 공간 등에 확대 배포할 것을 권장했음.
- 2012년 이후 태국의 퍼즐(HS 9503.00.70)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2년 126만 달러에서 2018년 1164만 달러로 7년간 824% 성장(Global Trade Atlas)
태국 산업경제실에서 소개한 노인용 장난감 예시
자료: 태국 산업경제실
퍼즐 관련 세율 정보
구분 |
내용 |
HS Code |
9503.00.70 |
품목명 |
각종 퍼즐 |
관세 및 세율 |
- 일반세율: 10% - 한-아세안 FTA 협정세율: 면제(Form AK 제출시) - 부가세: CIF의 7% |
수입규제 |
- 장난감류는 태국 산업표준원(TISI; Thai Industrial Standards Institute)의 강제 인증대상 품목에 해당(TIS 685-2540) |
자료: 태국 관세청, 태국 산업표준원
□ 시사점
ㅇ 빠른 고령화 진전으로 인해 태국은 사회적으로 많은 도전 또는 변화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됨.
- 태국의 임금수준은 아세안 주변국대비 높은 수준인데 비해 노동가능인구가 감소할 경우 노동 생산성 저하를 가속화시킬 수 있음.
- 노후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고령자의 증가는 정부의 부담 또한 가중될 우려가 있음.
- 노년층 증가는 장차 주거 및 소비형태의 변화를 가져올것으로 보이며, 건강과 웰니스에 대한 관심 증대로 관련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ㅇ SCB 경제연구소(SCB EIC)에 따르면 2018~2020년 사이 태국 내 시니어 공동체에 대한 신규 투자 규모는 60억 밧(1억9589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0년 누적 투자규모는 270억 밧(8억8149만 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산
- 따라서 시니어용 제품이나 서비스를 취급하는 기업들은 병원 등 의료기관 이외에도 실버 타운 프로젝트 등에 노년층 친화적인 제품·장비·서비스 공급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임.
ㅇ KOTRA 방콕 무역관과 간호사 호출 시스템, 화재 경보기 등을 수입·판매하는 태국 기업 Suntec Technology와의 전화 인터뷰에 따르면 과거 이 회사의 타깃 층은 병원에 국한됐으나 최근 요양원, 시니어 커뮤니티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현재는 방콕과 수도권 주변 약 10개의 프로젝트에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고 전함.
- 이 회사에서는 과거 한국산 제품 수입을 고려한 바 있으나 수출업체의 수출 경험 부재로 제품 언어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수출이 불발된 적이 있었음.
- 업체는 현재 호주산 간호사 호출 시스템을 수입하고 있으나 판매 제품 다변화 및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 확보를 위해 한국이나 일본 등 아시아 제품을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고 첨언함.
- 수입 고려요소로는 적정 가격과 신뢰할 만한 제품 품질과 더불어 기존 다른 태국 수입업체에 수출한 이력이 없는 기업일 것을 꼽음.
ㅇ 태국 고령화 사회 진전을 하나의 기회로 인식하고 가정용 의료기, 성인용 장난감, 뷰티케어 용품, 운동기구, 교육 프로그램 등 우리나라의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들이 태국에 더 많이 소개될 수 있기를 기대함.
작성자: KOTRA 방콕무역관 Chanatta Thararos 사원
자료: 반빤락 연구소, 산업경제실, 웡나이, 탐마삿 대학교 홈페이지, 카시콘 경제연구소,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 태국 관세청, 태국 식약청, 태국 산업표준원, 태국 중앙은행, decor.mthai.com, Global Trade Atlas, SCB EIC, UN,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방콕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고령화 사회 진전 가속화, 우리의 기회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中 스포츠 시장에서 본 ‘타징지(她经济)’ | 중국 | 2019-06-28 |
2 | 수입산과의 경쟁 속에서 성장 중인 중국산 영유아 분유시장 | 중국 | 2019-06-21 |
3 | 쿠웨이트 사막에서 스마트팜이 가능해? | 쿠웨이트 | 2019-07-01 |
4 | 캄보디아 주요 쇼핑몰 분석으로 알아보는 시장 트렌드 | 캄보디아 | 2019-06-29 |
5 | 미국과 비교해 본 中 유니콘 기업의 현황 | 중국 | 2019-06-28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