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하는 멕시코 장난감 시장
- 글로벌 장난감 기업들이 멕시코 장난감 시장을 주도 -
- 2022년까지 연평균 10.8%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 –
□ 멕시코 장난감 시장 개요
ㅇ ‘17년 기준 멕시코 장난감 시장은 약 14.9억 달러 규모로 전년 대비 약 12.8% 성장
- 멕시코 장난감 시장은 15년 동안 성장세를 지속해 왔으며, 글로벌 조사 전문기관 Euromonitor에 따르면 ‘22년까지 연평균 10.8%씩 성장, 시장규모가 약 24.8억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
- 현재 멕시코 장난감 시장은 전 세계 12위 수준으로 중남미 내에서는 브라질(전체 8위) 다음으로 큰 시장이며 한국 장난감 시장규모와 유사한 수준임
‘17년 전 세계 장난감 시장 규모(상위 15개국)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명 |
시장규모 |
1 |
미국 |
24,278.30 |
2 |
중국 |
11,012.30 |
3 |
일본 |
5,209.40 |
4 |
영국 |
4,134.40 |
5 |
프랑스 |
3,916.10 |
6 |
독일 |
3,806.80 |
7 |
브라질 |
3,385.00 |
8 |
러시아 |
2,244.20 |
9 |
캐나다 |
1,590.80 |
10 |
이탈리아 |
1,540.60 |
11 |
스페인 |
1,539.40 |
12 |
멕시코 |
1,487.30 |
13 |
대한민국 |
1,366.20 |
14 |
오스트레일리아 |
1,181.40 |
15 |
네덜란드 |
930.8 |
주: 순위는 ‘17년 통계치 기준, ’17년 고정환율 기준으로 변환하여 계산
자료원: Euromonitor
ㅇ 주요판매 품목은 인형(dolls and accessories)과 액션 피규어(Action figures and accessories)로 각각 전체 시장의 15.3%, 11.6%를 차지하고 있으며 블록(construction, 10.4%), 봉제 인형(plush, 8.0%)가 그 뒤를 이음.
- 또한 멕시코장난감산업협회(AMIJU)에 따르면, 아직은 시장이 크지는 않지만, 현재 로봇, 드론 등과 같은 하이텍 장난감(high-tech toys) 시장이 커지고 있다고 발표
‘17년 멕시코 장난감 품목별 판매량
(단위: 백만 달러, %)
자료원: Euromonitor
ㅇ 연령별로는 ‘17년에 판매된 전체 장난감 중 42%가 만 7~12세용 장난감으로 초등학생들을 위한 장난감이 가장 많이 판매되었으며, 유아용(만 0~6세) 장난감 판매가 29%, 청소년용(만 13~19세)이 24% 비중을 차지
- 연령에 따라 소비되는 장난감도 큰 차이를 보이는데, 만 0~3세의 경우 딸랑이와 봉제 인형, 만 3~7세의 경우 영화에 나오는 공주 또는 액션 히어로 관련 장난감, 만 7세 이상은 전자장난감 및 보드게임 위주로 판매가 된 것으로 조사됨.
□ 멕시코 장난감 시장특성 및 트렌드
ㅇ (구매 시기) 멕시코 장난감 판매는 12월~1월 초에 집중되며, 연 판매량의 약 70%가 이 시기에 이루어짐.
- 이는 아이들에게 선물을 사주는 문화가 있는 크리스마스(Navidad, 12월 25일)와 동방박사의 날(Dia de los Reyes Magos, 1월 6일) 때문이며, 멕시코 주요 장난감 박람회인 ‘Expo Tus Juguetes’의 대표와 진행한 인터뷰에 따르면 해당 기간 중 1인당 평균 800페소(약 42달러)를 소비한다고 함.
ㅇ (교육용 장난감) 멕시코 내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아이들의 창의성, 과학적 재능을 계발할 수 있는 장난감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
- 이는 멕시코 내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면서 아이들과 보낼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자, 부모가 없어도 아이들이 스스로 놀면서 학습할 수 있는 장난감에 대한 수요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됨.
- 2017년 소비추세를 보면, Play-Doh 점토 놀이 세트의 판매량이 많이 증가하였으며, 블록 장난감 또한 판매량이 상승하면서 첫 레고 단독매장 개점
ㅇ (모조품 시장) 현재 멕시코 장난감 시장의 큰 문제점 중 하나는 모조품 시장의 성장을 꼽을 수 있으며, 액션 히어로, 미키마우스, 디즈니 공주와 같은 글로벌 캐릭터뿐만 아니라 ‘Distroller Casimeritos’와 같은 멕시코 캐릭터 또한 라이센싱 계약 없이 도용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
□ 멕시코 장난감 수출입 현황
ㅇ ’17년 기준, 멕시코 장난감 수출량은 약 711백만 달러를 기록, 이 중 대 미국 수출이 전체 수출량의 약 87% 비중을 차지
- 멕시코장난감산업협회(AMIJU)의 대표 Miguel Angel Martin Gonzalez에 따르면, 최근 미중 갈등으로 미국이 ’18년 9월부터 중국산 장난감에 10% 관세를 부과하면서, 향후 멕시코 장난감의 對 미국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15~‘17년 멕시코 장난감 수출 규모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5 |
2016 |
2017 |
비중 |
1 |
미국 |
751.63 |
618.08 |
618.54 |
86.91 |
2 |
체코 |
24.78 |
22.08 |
15.18 |
2.13 |
3 |
캐나다 |
9.99 |
8.77 |
9.08 |
1.28 |
4 |
프랑스 |
4.68 |
6.08 |
6.99 |
0.98 |
5 |
중국 |
2.84 |
4.52 |
6.63 |
0.93 |
6 |
네덜란드 |
6.95 |
5.29 |
5.67 |
0.80 |
7 |
영국 |
4.73 |
5.61 |
5.44 |
0.76 |
8 |
스페인 |
4.79 |
2.54 |
4.10 |
0.58 |
9 |
러시아 |
3.28 |
3.07 |
3.93 |
0.55 |
10 |
페루 |
5.39 |
2.49 |
3.92 |
0.55 |
29 |
한국 |
0.32 |
1.11 |
0.48 |
0.07 |
- |
전체 |
859.57 |
715.79 |
711.73 |
100 |
주: 비중은 ’17년 기준
자료원: Euromonitor
ㅇ ’17년 기준, 멕시코 장난감 수입량은 약 841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전체 수입량의 77%인 약 77%가 중국으로부터 수입됨.
- 이는 대부분의 장난감 생산공장이 중국에 위치한 것에 따른 것으로 멕시코 장난감회사의 약 80% 또한 중국에 생산공장을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15~‘17년 멕시코 장난감 수입 규모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5 |
2016 |
2017 |
비중 |
1 |
중국 |
630.48 |
618.22 |
648.96 |
77.19 |
2 |
미국 |
46.97 |
53.42 |
47.81 |
5.69 |
3 |
덴마크 |
20.98 |
26.24 |
23.09 |
2.75 |
4 |
헝가리 |
21.95 |
30.41 |
22.24 |
2.64 |
5 |
베트남 |
11.26 |
11.68 |
21.40 |
2.54 |
6 |
캐나다 |
8.63 |
10.08 |
13.49 |
1.60 |
7 |
인도네시아 |
20.38 |
11.16 |
12.85 |
1.53 |
8 |
말레이시아 |
10.19 |
6.65 |
7.98 |
0.95 |
9 |
이탈리아 |
9.93 |
9.18 |
6.16 |
0.73 |
10 |
독일 |
5.99 |
4.98 |
6.14 |
0.73 |
33 |
한국 |
0.14 |
0.32 |
0.12 |
0.01 |
- |
전체 |
823.46 |
810.53 |
840.74 |
100 |
주: 비중은 ’17년 기준
자료원: Euromonitor
□ 주요기업 경쟁 동향
ㅇ 멕시코 내 주요 장난감 기업으로는 Mattel, Habro, LEGO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Productos Infantiles Selectos, Amparin 같은 멕시코 현지 기업도 유의미한 시장점유율을 차지
- 브랜드 점유율로 보면 ’17년 기준, Lego가 전체 시장의 5.7% 비중을 차지하며 1위를 기록하였으며 Fisher-Price(5.2%), Barbie(3.5%), Hot Wheels(3.4%)가 그 뒤를 이음.
‘17년 멕시코 내 장난감 기업 시장점유 현황
(단위: %)
순위 |
브랜드명 |
점유율 |
1 |
Mattel México SA de CV |
|
2 |
Hasbro de México SA de CV |
|
3 |
LEGO Mexico SA de CV |
|
4 |
Productos Infantiles Selectos SA de CV |
|
5 |
Mega Bloks Latinoamerica SA de CV |
|
6 |
Amparín SA de CV |
|
7 |
El Puerto de Liverpool SAB de CV |
|
8 |
Juguetes Mi Alegría |
|
9 |
Binney & Smith México SA de CV |
|
10 |
PM Merchandising Mexicana SA de CV |
자료원: Euromonitor
□ 유통구조
ㅇ 멕시코 내 장난감은 ’17년 기준 약 97.2%가 점포를 통해 유통되며, 비 점포(인터넷, 홈쇼핑 등)방식을 통한 유통은 2.8%에 불과
- 특히 ’17년 기준 대형마트를 통해 멕시코 내 31.4%의 장난감이 유통되었으며, 이는 복합매장(15.8%), 장난감 전문점(12.4%), 백화점(10.1%)보다도 훨씬 높은 비중
멕시코 장난감 유통구조
자료원: Euromonitor
□ 관세 및 규제현황
ㅇ 멕시코에 장난감을 수출할 경우, 일반적으로 약 10~15%의 관세가 적용되며, 유아용/어린이용 장난감에 대해서는 수입 쿼터를 두고 있음.
- 수입 쿼터는 전년도 매출, 매출 증감량, 할당계수 등에 의해 결정됨.
ㅇ 또한 전기 장난감(electronic toys)의 경우, 멕시코 규격인증인 NOM-003-SCFI-2000을 취득해야 함.
□ 전망 및 시사점
ㅇ 최근 멕시코 내 글로벌 장난감 기업들이 진출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향후 멕시코가 중국과 함께 미국 및 중남미 국가 전체에 장난감을 수출하게 되는 생산·유통 허브가 될 가능성 다대
ㅇ 현재 한국-멕시코 간 장난감 교역 시장은 매우 작은 편이나, 최근 멕시코 내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교육용 장난감 분야로의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전망
- 다만,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아직은 다소 낮은 편이기 때문에, 무단 복제·도용되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 저작권 출원 등 사전 작업 중요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Euromonitor, 멕시코장난감산업협회(AMIJU), Dinero en Imagen, Expansion, El Financiero, Publimetro,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성장하는 멕시코 장난감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멕시코 자동차 내수시장 부진, 한국산 자동차는 판매 질주 | 멕시코 | 2019-02-20 |
2 | 지갑 여는 체코 소비자, 고급 소비재 및 IT 제품 소비 증가 | 체코 | 2019-02-20 |
3 | 다시 살아난 호주 광산업의 비결은? | 호주 | 2019-02-20 |
4 | 미국 소비재 시장진출, 직접판매 전략을 주목하라 | 미국 | 2019-02-20 |
5 | 브라질, 급성장하는 음식 배달 서비스 시장 | 브라질 | 2019-01-29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