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인조가죽 시장동향
- 파키스탄 주력 수출품목의 원재료로 꾸준한 수요 증가 -
- 현지 바이어의 신뢰 확보를 위한 다품종 소량 샘플 구비 필요 -
□ 시장 현황
ㅇ 시장 수요
- 파키스탄 인조가죽의 최대 수요처는 스포츠용품 생산업체이며 축구공, 글러브, 라이더 재킷 등 파키스탄 주력 수출품목의 원재료로 사용되고 있음. 이 뿐만 아니라 타이어, 가구, 건축자재, 자동차 부품 등 산업 전반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어 꾸준한 수요를 보임.
- 자체적으로 고품질 인조가죽 생산이 가능한 현지 업체 수가 부족해 중국·일본·한국산 수입 제품에 의존하고 있음.
- FY 2016/17 기준 파키스탄 인조가죽 시장규모는 2040만 달러로 집계되며, 이 중 수입액은 약 1530만 달러로 75% 정도의 비중을 차지함.
파키스탄 인조가죽 시장규모
(단위: 백만 달러)
구분 |
FY 2014/15 |
FY 2015/16 |
FY 2016/17 |
수입액 |
12.5 |
14.7 |
15.3 |
자체 생산액 |
4.5 |
4.2 |
5.1 |
합계 |
17.0 |
18.9 |
20.4 |
자료원: Federal Board of Revenue, Pakistan Artificial Leather Importers & Merchants Association
ㅇ 수입동향
- FY 2016/17 기준 공식적으로 집계된 파키스탄의 인조가죽 수입규모는 약 1534만 달러로 전년대비 4.21% 증가함.
- FY 2016/17 기준 중국산 제품(1182만 달러, 77.02%)이 수입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음. 그 뒤를 이어 일본(162만 달러, 10.57%)도 주요 수입국으로 분류되나 1위와의 격차가 매우 큰 편임.
- 한국산 인조가죽의 수입액은 FY 2016/17 기준 약 120만 달러로 7.83%의 증가율을 보임. 이는 전년동기대비 115.7% 증가한 수치이며 수입시장 전체 규모 증가율 4.21%를 크게 상회하고 있음.
파키스탄 인조가죽 국가별 수입 현황(HS Code 5903.2000)
(단위: 달러, %)
국가명 |
FY 2014/15 |
FY 2015/16 |
FY 2016/17 |
||
금액 |
증감률 |
점유율 |
|||
중국 |
9,329,820 |
11,354,754 |
11,817,734 |
4.08 |
77.02 |
일본 |
1,246,883 |
1,854,632 |
1,621,246 |
-12.58 |
10.57 |
한국 |
1,002,209 |
557,242 |
1,201,960 |
115.7 |
7.83 |
대만 |
105,651 |
629,036 |
329,121 |
-47.68 |
2.15 |
북한 |
554,571 |
156,431 |
81,149 |
-48.12 |
0.53 |
이탈리아 |
- |
5,618 |
58,148 |
935.03 |
0.38 |
홍콩 |
102,161 |
7,181 |
45,775 |
537.43 |
0.3 |
프랑스 |
- |
- |
38,966 |
- |
0.25 |
아랍에미리트 |
40,771 |
84,079 |
36,724 |
-56.32 |
0.24 |
태국 |
214 |
- |
32,146 |
- |
0.21 |
기타 |
82,760 |
73,518 |
79,932 |
8.72 |
0.52 |
합계 |
12,465,041 |
14,722,490 |
15,342,901 |
4.21 |
100 |
자료원: Federal Board of Revenue
ㅇ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 중국, 일본, 한국 기업들이 파키스탄 인조가죽 수입시장 전체의 약 95%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현지 업체들도 사용 경험이 많은 위 3개 국가의 제품을 구입하는 것을 선호함.
- 주요 업체로는 중국의 Anhui Triumph, 일본의 Wakodo, 한국의 Dongkyung이 있으며, 각 업체의 제품 가격 및 현지 시장점유율은 아래와 같음.
파키스탄 인조가죽 시장점유율(단위: 미터당 달러, %)
기업명 |
이미지 |
원산지 |
가격 |
점유율 |
Anhui Triumph |
|
중국 |
1.5~2.5 |
25 |
Wakodo |
|
일본 |
2.5~3.5 |
10 |
Dongkyung |
|
한국 |
2.92~4.15 |
10 |
자료원: AHN Synthetic, Hassan Leather Industries
□ 현지 바이어 인터뷰
ㅇ 기업명: AT Synthetic/담당자: Haroon Ayaz(CEO)
- AT Synthetic는 20년간 인조가죽을 수입 및 가공하는 업체로 스포츠용품 제조 및 수출업체들이 밀집된 펀자브(Punjab) 주 및 씨알코트(Sialkot)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음.
- 원재료의 특성상 현지 업체와 거래 시 가격 협상에 앞서 품질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원활한 거래 성사를 위해 소량의 샘플을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을 추천함.
ㅇ 기업명: Vintage Leather/담당자: Zakir Ali(Director)
- 인조가죽의 뛰어난 내구성, 관리 효율성, 유연한 디자인, 저렴한 가격 등 장점들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현지 가죽 가공업체들이 인조가죽을 활용한 제품을 많이 제작하는 추세임.
- 한국 인조가죽의 품질은 좋은 편이나 중국 및 일본 제품에 비해 가격이 높은 편이므로, 파키스탄 시장에서 추가 수요를 발굴하고자 한다면 가격 인하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파키스탄 내 인조가죽은 대부분 소규모 업체들을 통해 유통되고 있으며, 이러한 업체들은 다양한 사이즈, 색상, 사양의 제품을 한 번에 공급받는 방식인 다품종 소량 공급을 선호함.
□ 유통구조 및 관세율 등
ㅇ 유통구조
- 현지 수입업체 또는 에이전트가 인조가죽을 수입해 가공업체에 공급하고 있으며, 일부 대형업체는 직접 수입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 규모가 매우 미미함.
ㅇ 관세율
- 인조가죽의 현지 관세율은 20%이며, 일반판매세와 원천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하게 가격을 책정할 필요가 있음.
현지 수입관세 및 기타 세율
HS Code |
관세 |
일반판매세 |
원천세 |
5903.2000 |
20% |
17% |
6% |
자료원: Pakistan Customs Tariff
ㅇ 수입규제, 인증
- 인조가죽에 대한 별도 수입규제 및 인증절차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와 관련된 기관 또한 부재함.
□ 시사점
ㅇ 현지 에이전트를 통해 광범위한 유통망 확보 필요
- 파키스탄 전역에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견고한 유통망을 보유하고 많은 거래 경험을 보유한 현지 에이전트를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임.
- 대부분의 현지 업체는 에이전트를 통해 수입제품을 구매하므로, 에이전트 직원에 대한 사전 제품 교육을 통해 원활한 마케팅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해야 함.
ㅇ 현지 업체 신뢰 확보를 위한 다양한 샘플 제공 권장
- 현지 인조가죽 유통량의 대부분을 소화하는 소규모 업체들의 경우 다양한 제품을 구비해놓고 판매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한번에 여러 종류의 제품을 비교할 수 있도록 다품종 소량의 샘플을 제공하는 것이 좋음.
- 한국산 인조가죽의 경우 파키스탄 시장에서 비교적 고가의 제품으로 인식돼 있으므로, 샘플 제공을 통해 품질에 대한 신뢰를 확보한 후 가격 협상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임.
자료원: Federal Board of Revenue, Pakistan Customs Tariff, Pakistan Artificial Leather Importers & Merchants Association, ATS Synthetic, Haroon Enterprises, AHN Synthetic, Vintage Leather, Hassan Leather Industries, KOTRA 카라치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파키스탄 인조가죽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파키스탄 자동차 윤활유 시장동향 | 파키스탄 | 2018-09-29 |
2 | 파키스탄 유아용 의류시장 동향 | 파키스탄 | 2018-12-08 |
3 | 그리스, 미용 문신기계 수요 증가 | 그리스 | 2018-12-12 |
4 | 한-파키스탄 오토파츠 콜라보 2019 현장 스케치 | 파키스탄 | 2019-08-06 |
5 | 파키스탄 PVC 수지 반덤핑 규제 동향 | 파키스탄 | 2018-11-09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