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 화학 산업 발전 추진 동향
- 2017년 8월 『2017-2021 화학산업 발전 프로그램 』 발표, 43개 투자 프로젝트 추진 중 -
- 2018년 10월 『우즈베키스탄 화학산업 발전 가속화 조치』에 따른 화학국영기업 민영화 추진으로 기업 효율화 도모 -
□ 산업 동향
ㅇ 우즈베키스탄은 자국 산업 육성 및 자립도 향상을 위해 모든 산업의 기초가 되는 화학 산업을 국가 중점 육성 산업으로 선정하고 관련 제도 정비, 현지생산 품목 확대, 국영기업 민영화를 포함한 해외투자유치 확대 등을 집중 추진하고 있음.
ㅇ 우즈벡 근대 화학산업의 역사는 1932년 Shursu 유황 광산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1940년 Chirchiq Electrochemical Combine(現 Maxam-Chirchiq), 1962년 Fergana Plant of Nitrogen Ferilizers(現 Ferganaazot), 1964년 Navoi Chemical Combine(現 Navoiazot), 1969년 Olmaliq Chemical Plant(現 Ammofos) 등이 설립되어 현재까지 우즈벡 화학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음.
- 현재 Maxam-Chirchiq, Ferganaazot, Navoiazot는 질산암모늄(ammonium nitrate), 요소(carbamide),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 등 질소 비료를 생산.
- Ammofos, Samarqandkimyo, Quqon Superphosphate Plant는 인질 비료(phosphorous-containing fertilizers), 인산 암모니아(ammophos), 과인산 비료(superphosphate), 단순 암모니아성 과인산염(simple ammonized superphosphate), 황인산암모늄(ammonium-sulfo-phosphate), 인질산칼슘(nitro-calcium-phosphate) 등을 생산.
- Qyzylqum Phosphor Combine는 상기 기업들에 현지 생산을 위한 원재료 등을 납품하며 JV Electrokhimzavod는 다양한 식물 보호 화학제품을 생산 중.
ㅇ 우즈벡 내 주요 화학 기업들은 국영회사인 우즈벡화학공사(Uzkimyosanoat)에 소속되어 있으며 동 공사는 현재 12개의 제조 기업과 디자인 및 기술 연구소, 물류기업 등을 포함한 13개의 지역별 분배(Distribution) 기업을 총괄하고 있음.
- 생산 제품은 △미네랄 비료, 무기화학물, 에너지·금 채굴·화학 산업을 위한 화학작용제, △유기화학물, 인조Fiber, 폴리머, △ 식물 보호 화학제품, △ 소다회 등임.
우즈벡 내 화학기업 제품 생산 구조
자료원 : Uzkimyosanoat
□ 생산 동향
ㅇ 우즈벡화학공사 산하 기업들은 2017년 기준 170종 이상의 화학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량은 2조 7천억 숨(약 3억 2,800만 USD) 규모임.
- 이 중 미네랄비료의 생산량은 114만 톤이며 세부품목별로는 질소비료 854,810톤, 인산질 비료 119,090톤, 칼륨 비료 168,000톤 등임.
ㅇ 2017년 국산화 프로그램에 따라 1,664억 6,000만 숨 규모의 제품이 생산되었으며 생산비용 절감액은 기존 예상치를 1.2% 상회한 2,576억 3,000만 숨 달성.
ㅇ 2017년 우즈벡화학공사 산하 기업들은 투자 프로그램에 포함된 프로젝트 실행을 위하여 3억 1,140만 달러를 투자하였음.
□ 수입 동향
ㅇ 유기화합물(hscode 29류), 각종 화학공업 생산품(hscode 38류)에 대한 수입 수요가 높으며 무기화합물(hscode 28류) 비료(hscode 31류)의 수입량은 상대적으로 적음.
- 2017년 우즈베키스탄의 유기화합물(hscode 29류) 수입량은 9,675만 달러로 국가별로는 중국, 러시아, 이란, 터키, 폴란드 순으로 높은 수입량을 보임.
우즈베키스탄 유기화합물(hscode 29류) 수입 동향
(단위 : 천 달러)
순위 |
국가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합 계 |
88,330 |
91,344 |
76,073 |
82,331 |
96,747 |
|
1 |
중국 |
30,313 |
25,929 |
24,390 |
31,808 |
34,959 |
2 |
러시아 |
31,640 |
33,466 |
20,527 |
18,480 |
27,387 |
3 |
이란 |
472 |
529 |
- |
4,331 |
5,860 |
4 |
터키 |
5,592 |
8,341 |
5,910 |
6,031 |
5,150 |
5 |
폴란드 |
2,591 |
3,564 |
4,144 |
2,923 |
3,946 |
6 |
한국 |
4,139 |
4,726 |
3,613 |
3,706 |
3,474 |
7 |
독일 |
3,829 |
5,274 |
2,138 |
3,704 |
3,065 |
8 |
프랑스 |
532 |
219 |
933 |
607 |
2,236 |
9 |
리투아니아 |
2,262 |
2,550 |
6,219 |
3,601 |
2,043 |
10 |
인도 |
502 |
1,319 |
1,737 |
1,305 |
1,728 |
자료원 : ITC Trademap
- 2017년 우즈베키스탄의 화학공업 생산품(hscode 38류) 수입량은 1억 4,955만 달러로 국가별로는 중국, 터키, 러시아, 한국, 독일 순으로 높은 수입량을 보임.
우즈베키스탄 화학공업 생산품(hscode 38류) 수입 동향
(단위 : 천 달러)
순위 |
국가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합 계 |
113,007 |
107,393 |
111,754 |
112,705 |
149,548 |
|
1 |
중국 |
14,748 |
11,967 |
14,807 |
15,915 |
28,424 |
2 |
터키 |
17,837 |
20,473 |
19,287 |
19,623 |
23,114 |
3 |
러시아 |
24,517 |
26,284 |
19,996 |
22,195 |
19,045 |
4 |
한국 |
5,915 |
4,258 |
10,036 |
15,127 |
18,354 |
5 |
독일 |
5,525 |
5,309 |
9,852 |
5,262 |
10,502 |
6 |
프랑스 |
15,021 |
9,068 |
11,639 |
8,460 |
10,369 |
7 |
에스토니아 |
24 |
65 |
865 |
1,080 |
7,782 |
8 |
이란 |
5,495 |
4,393 |
- |
4,604 |
5,638 |
9 |
이탈리아 |
1,602 |
203 |
1,210 |
389 |
4,066 |
10 |
벨기에 |
1,504 |
1,846 |
2,262 |
2,150 |
3,093 |
자료원 : ITC Trademap
□ 수출 동향
ㅇ 화학 산업의 수출 잠재력 실현과 우즈벡화학공사 소속 기업들의 수출입 투명성 보장, 경쟁력 있는 제품의 효과적 해외시장홍보 및 2017년 8월 23일 대통령 결의안 『2017-2021 화학산업 발전 프로그램 』 설정 조치 시행 등을 위하여 2017년 8월 29일 대통령 결의안 PP-3246에 의거 우즈벡화학수출입공사(Uzkimyoimpeks)가 설립됨.
- 주요 업무는 △세계 화학 시장 동향 조사, △현지 생산 제품의 해외 홍보 및 해외에서의 국내제품 보호(상표, 지적재산권 보호 등) △해외 전시회 및 입찰 참가, △화학공사 필요 원재료, 설비, 부품 등 조달 및 해외파트너와의 장기 파트너쉽 구축, △해외기업 현지 유치 등임.
ㅇ 우즈벡의 주요 수출 품목은 미네랄 비료, 화학작용제, 인조 Fiber 등이며 기타 수출 주요 품목은 아래 목록 참조.
우즈베키스탄 주요 수출 상품 목록
자료원 : Uzkimyosanoat
- 2017년 우즈베키스탄의 비료(hscode 31류) 수출량은 1억 4,365만 달러로 국가별로는 우크라이나,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인도 순으로 높은 수출량을 보임.
우즈베키스탄 비료(hscode 31류) 수출 동향
(단위 : 천 달러)
순위 |
국가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합 계 |
225,498 |
139,413 |
149,257 |
98,570 |
143,654 |
|
1 |
우크라이나 |
4,043 |
4,336 |
16,526 |
5,621 |
38,095 |
2 |
인도네시아 |
0 |
0 |
0 |
1,399 |
37,320 |
3 |
카자흐스탄 |
37,018 |
26,635 |
21,140 |
19,314 |
22,893 |
4 |
키르기즈스탄 |
26,094 |
35,987 |
17,077 |
11,648 |
21,508 |
5 |
인도 |
13,383 |
14,717 |
25,458 |
14,410 |
8,697 |
6 |
이란 |
6,356 |
5,794 |
- |
4,094 |
3,725 |
7 |
말레이시아 |
507 |
404 |
422 |
293 |
1,934 |
8 |
스리랑카 |
43,744 |
1,165 |
20,836 |
0 |
1,869 |
9 |
터키 |
9,794 |
10,087 |
4,780 |
1,432 |
1,823 |
10 |
몰도바 |
8,431 |
11,645 |
10,649 |
971 |
802 |
자료원 : ITC Trademap
- 2017년 우즈베키스탄의 무기화합물(hscode 28류) 수출량은 1억 8,837만 달러로 국가별로는 중국, 프랑스, 카자흐스탄, 폴란드, 러시아 순으로 높은 수출량을 보임.
우즈베키스탄 무기화합물(hscode 28류) 수출 동향
(단위 : 천 달러)
순위 |
국가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합 계 |
443,937 |
381,993 |
463,103 |
323,970 |
188,367 |
|
1 |
중국 |
222,686 |
213,777 |
264,718 |
206,293 |
96,987 |
2 |
프랑스 |
161,425 |
127,131 |
170,362 |
62,894 |
48,168 |
3 |
카자흐스탄 |
11,752 |
7,170 |
7,098 |
12,831 |
15,960 |
4 |
폴란드 |
5,173 |
6,927 |
5,681 |
3,626 |
9,236 |
5 |
러시아 |
3,780 |
3,374 |
5,017 |
11,021 |
4,537 |
6 |
키르기즈스탄 |
1,036 |
7,155 |
4,090 |
1,790 |
4,319 |
7 |
터키 |
1,486 |
3,929 |
1,585 |
567 |
2,576 |
8 |
미국 |
18,211 |
1,165 |
1,749 |
21,967 |
1,689 |
9 |
독일 |
613 |
582 |
1,297 |
1,276 |
1,243 |
10 |
이란 |
481 |
334 |
- |
354 |
1,023 |
자료원 : ITC Trademap
□ 정책 동향
① 『2017-2021 화학산업 발전 프로그램 』
ㅇ 2017년 8월 23일 우즈베키스탄은 『2017-2021 화학산업 발전 프로그램 』 대통령 결의안 제정을 통해 화학산업 발전을 위한 국가적 중장기 계획을 수립함.
- 동 프로그램을 통해 향후 4~5년 간 산업 생산량 약 2배 및 수출량 약 1.5배 향상, 30여종 이상의 신제품 개발, 일자리 3,000여개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음.
『2017-2021 화학산업 발전 프로그램 』 목표
지 표 |
단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제품 생산량 |
10억 숨 |
2,700.0 |
3,045.0 |
3,637.3 |
4,797.8 |
5,428.8 |
투자 개발 규모 |
백만 달러 |
311.4 |
367.8 |
441.4 |
530.1 |
635.6 |
수출량 |
백만 달러 |
- |
185.6 |
244.9 |
362.1 |
467.4 |
신규 개발 제품 수 |
개 |
- |
11 |
14 |
6 |
5 |
신규 일자리 |
개 |
625 |
492 |
1,716 |
765 |
57 |
자료원 : 우즈베키스탄 『2017-2021 화학산업 발전 프로그램 』
- 프로그램은 43개 투자프로젝트와 화학 및 시추 시약, 합성 섬유, 아세테이트 실, 페인트 및 광택 제품, 자동차 및 농업용 타이어, 컨베이어 벨트, 폴리 염화 비닐 (PVC), 가성 소다 및 메탄올과 같은 비화학 제품 생산을 위한 25개의 프로젝트를 포함하고 있음.
2017-2021년 43개 투자프로젝트 목록
(단위 : 백만 달러)
연호 |
프로젝트명 |
연 생산능력 |
프로젝트 기간 |
소요예산* |
자본 출처 |
|||||
자체 펀드 |
재건개발 펀드 (UFRD) |
상업은행 대출 |
해외투자 및 대출 |
|||||||
총 프로젝트(43개) |
3,093.5 |
321.4 |
750.5 |
120.4 |
1,901.3 |
|||||
건설(25개) |
2,687.9 |
272.3 |
686.3 |
68.5 |
1,660.8 |
|||||
현대화 및 재건(18개) |
405.6 |
49.0 |
64.2 |
51.9 |
240.5 |
|||||
Ⅰ |
질소비료 프로젝트(8개) |
1,759.6 |
168.3 |
572.7 |
5.0 |
1,013.6 |
||||
건설(4개) |
1,652.3 |
147.0 |
572.7 |
- |
932.6 |
|||||
1 |
Navoiazot사 암모니아 및 요소 생산 단지 건설 |
- 암모니아 66만 톤 - 요소 57.8만 톤 |
2016~ 2020 |
985.7 |
88.7 |
320.0 |
- |
577.0 |
||
2 |
Navoiazot사 질산 생산 단지 건설 |
약질산 50만 톤 |
2016~ 2019 |
216.6 |
28.3 |
72.7 |
- |
115.6 |
||
3 |
Ammophos Maxam사 암모니아 생산** |
암모니아 30만 톤 |
2019~ 2021 |
300.0 |
20.0 |
120.0 |
- |
160.0 |
||
4 |
Ammophos Maxam사 요소 생산** |
요소 350만 톤 |
2019~ 2021 |
150.0 |
10.0 |
60.0 |
- |
80.0 |
||
현대화 및 재건 (4개) |
107,3 |
21,3 |
- |
5,0 |
81,0 |
|||||
5 |
Ferganaazot사 암모니아 및 요소 생산 현대화 |
- 암모니아 46만 톤->60만 톤 – 요소 38.8 톤->53만 톤 |
2018~ 2021 |
91.0 |
15.0 |
- |
5.0 |
71.0 |
||
6 |
Ferganaazot사 질산 암모늄 AC-72M 및 비 농축 질산 AK-72M 생산 현대화 |
- 암모늄 질산염 45만 톤->56만 톤 – 질산 38.9만 톤->43만 톤 |
2018~ 2021 |
15.0 |
5.0 |
- |
- |
10.0 |
||
7 |
Ferganaazot사 암모니아 및 요소 생산 현대화 |
5.2만 톤->13.2만 톤 |
2017 |
0.5 |
0.5 |
- |
- |
- |
||
8. |
Ferganaazot사 안전한 형태의 질산암모늄 생산 |
15만 톤 |
2018~ 2019 |
0.8 |
0.8 |
- |
- |
- |
||
II |
인산염 및 NPK 비료(5개) |
196.8 |
14.9 |
54.0 |
32.8 |
95.1 |
||||
건설(1개) |
17.1 |
2.7 |
- |
14.4 |
- |
|||||
9 |
Ammophos Maxam사 NPK 비료 생산 |
NPK 비료 16만 톤 |
2017~ 2019 |
17.1 |
2.7 |
- |
14.4 |
- |
||
현대화 및 재건(4개) |
179.7 |
12.2 |
54.0 |
18.4 |
95.1 |
|||||
10. |
인산염 비료 생산 현대화 |
- |
2017~ 2018 |
14.6 |
4.2 |
- |
10.4 |
- |
||
11 |
Ammophos Maxam사 SK-40 작업장 현대화 ** |
황산일수화물 50만 톤 |
2018~ 2020 |
75.1 |
3.0 |
30.0 |
- |
42.1 |
||
12 |
Ammophos Maxam사 추출산(EFC-2) 생산 공장 현대화 ** |
- |
2018~ 2020 |
60.0 |
3.0 |
24.0 |
- |
33.0 |
||
13 |
Ammophos Maxam사 "Ammophos-2” shop 현대화 |
인산염 26.5만 톤 |
2018~ 2020 |
30.0 |
2.0 |
- |
8.0 |
20.0 |
||
III |
칼륨 비료(2개) |
25.0 |
2.0 |
- |
18.0 |
5.0 |
||||
건설(2개) |
25.0 |
2.0 |
- |
18.0 |
5.0 |
|||||
14 |
Dehkanabad 칼륨비료 공장 과립형 염화칼륨 생산 |
과립형 염화칼룸 18만 톤 |
2019~ 2021 |
15.0 |
1.0 |
- |
14.0 |
- |
||
15 |
Dehkanabad 칼륨비료 공장 황산칼륨 생산 |
황산칼륨 2만 톤 |
2018~ 2020 |
10.0 |
1.0 |
- |
4.0 |
5.0 |
||
IV |
유기화학(15개) |
1,020.7 |
123.7 |
113.6 |
30.2 |
753.2 |
||||
건설(12개) |
953.1 |
116.1 |
113.6 |
20.2 |
703.2 |
|||||
16 |
Navoiazot사 기반 PVC, 가성소다, 메탄올 생산 시설 콤플렉스 건설 |
- PVC 10만 톤 - 가성소다 7.2만 톤 - 메탄올 30만 톤 |
2015~ 2018 |
500.1 |
60.3 |
66.0 |
- |
373.8 |
||
17 |
Navoiazot사 요소 포름알데히드 생산 |
요소 포름알데히드 8.5~10만 톤 |
2019~ 2020 |
6.0 |
1.0 |
- |
5.0 |
- |
||
18 |
페놀-포름 알데히드 수지 생산 |
페놀-포름 알데히드 2천 톤 |
2019~ 2020 |
6.0 |
0.5 |
- |
5.5 |
- |
||
19 |
Ferganaazot사 폴리에틸렌 벽지 생산 |
폴리에틸렌 벽지 782만개 |
2017~ 2019 |
4.2 |
1.5 |
- |
- |
2.7 |
||
20 |
Zhizakh plastics사 폴리머 소재 신규 소비재 생산 |
- 파이프라인 연결 세부 제품 50만 - PE 봉지 15만 톤 |
2017 |
0.84 |
0.11 |
- |
0.73 |
- |
||
21 |
Zhizakh plastics사 폴리프로필렌 생산 |
폴리프로필렌 3.5천 톤 |
2019~ 2020 |
10.0 |
1.5 |
- |
- |
8.5 |
||
22 |
Zhizakh plastics사 산업용 냉각탑용 복합 제품 생산 |
복합제품 1천 톤 |
2020~ 2021 |
2.0 |
0.2 |
- |
- |
1.8 |
||
23 |
Angren 지역 컨베이어 벨트, 농업 및 자동차 타이어 생산 |
- 자동차 타이어 3백만 개 – 컨베이어 벨트 10만 미터 - 농업 타이어 20만 개 |
2015~ 2018 |
214.0 |
30.0 |
27.6 |
- |
156.4 |
||
24 |
Angren 지역 고무제품 생산 확대(2단계) |
- 타이어 2백만 개 - 트럭, 버스용 타이어 20만 개 - 컨베이어벨트 10만 미터 - 고무제품 4천 톤 |
2020~ 2023 |
110.0 |
10.0 |
20.0 |
- |
80.0 |
||
25 |
Angren 카본 블랙 생산 |
카본블랙 40만 톤 |
2020~ 2022 |
40.0 |
8.0 |
- |
- |
32.0 |
||
26 |
Navoiazot사 광택 및 페인트 제품 생산 |
광택제 및 페인트 2만 톤 |
2017~ 2020 |
10.0 |
1.0 |
- |
1.0 |
8.0 |
||
27 |
Navoiazot사 티오우레아 생산 |
티오우레아 1만 톤 |
2019~ 2020 |
50.0 |
2.0 |
- |
8.0 |
40.0 |
||
현대화 및 재건(3개) |
67.6 |
7.6 |
- |
10.0 |
50.0 |
|||||
28 |
Ferganaazot사 Poly-Pac 시추 시약 생산 |
시약 4백 톤->2천 톤 |
2018 |
0.6 |
0.6 |
- |
- |
- |
||
29 |
Ferganaazot사 혼합직물 생산을 위한 합성 섬유 생산 |
합성 섬유 1.5만 톤 |
2019~ 2021 |
47.0 |
5.0 |
- |
5.0 |
37.0 |
||
30 |
Ferganaazot사 아세테이트 실 생산 현대화 및 재건 |
아세테이트 필라멘트 5천 톤 |
2019~ 2021 |
20.0 |
2.0 |
- |
5.0 |
13.0 |
||
V |
기타 및 무기화학(10개) |
62.7 |
8.2 |
- |
20.1 |
34.4 |
||||
건설(5개) |
39.8 |
4.3 |
- |
15.5 |
20.0 |
|||||
31 |
Navoiazot사 dry cyanol 생산 |
dry cyanol 1만 톤 |
2019~ 2020 |
30.0 |
2.0 |
- |
8.0 |
20.0 |
||
32 |
Ferganaazot사 질산암모늄 및 고엽제 생산을 위한 수산화 마그네슘 생산 |
수산화 마그네슘 1천 톤 |
2018 |
4.0 |
1.0 |
- |
3.0 |
- |
||
33 |
Kungrad 소다 공장 황산나트륨 생산 |
황산나트륨 2천 톤 |
2018~ 2019 |
1.6 |
0.5 |
- |
1.1 |
- |
||
34 |
Kungrad 소다 공장 합성 세제 생산 |
합성세제 2천 톤 |
2019~ 2020 |
1.2 |
0.3 |
- |
0.9 |
- |
||
35 |
Dehkanabad 칼륨비료 공장 iron wool 생산 |
iron wool 2.5천 톤 |
2019~ 2020 |
3.0 |
0.5 |
- |
2.5 |
- |
||
현대화 및 재건(5개) |
22.9 |
3.9 |
- |
4.6 |
14.4 |
|||||
36 |
Maxam Chirchik사 저밀도 질산 암모늄 생산라인 확장*** |
질산암모늄 6만 톤-> 12만 톤 |
2019~ 2021 |
21.0 |
2.0 |
- |
4.6 |
14.4 |
||
37 |
Ferganaazot사 질산나트륨 생산 확대 |
질산나트륨 2천 톤->7.5천 톤 |
2018 |
0.4 |
0.4 |
- |
- |
- |
||
38 |
Ferganaazot사 중탄산나트륨 생산 확대 |
중탄산나트륨 5백 톤->3천 톤 |
2018 |
0.4 |
0.4 |
- |
- |
- |
||
39 |
Kungrad 소다 공장 pushers 생산 |
1천 톤 |
2017~ 2018 |
1.0 |
1.0 |
- |
- |
- |
||
40 |
Kungrad 소다 공장 중소다 브랜드 A 생산 |
중소다 1만 톤 |
2017~ 2018 |
0.1 |
0.1 |
- |
- |
- |
||
VI |
기타(3개) |
28.7 |
4.2 |
10.2 |
14.3 |
- |
||||
건설(1개) |
0.6 |
0.2 |
- |
0.4 |
- |
|||||
41 |
Kungrad 소다 공장 자동 가스 충전 압축기 스테이션 (CNGS) 건설 |
- |
2018 |
0.6 |
0.2 |
- |
0.4 |
- |
||
현대화 및 재건(2개) |
28.1 |
4.0 |
10.2 |
13.9 |
- |
|||||
42 |
Kungrad 소다 공장 기존 산업 폐기물 저장 공간 확장 및 재건 |
80 핵타르 |
2017~ 2019 |
8.1 |
3.2 |
- |
4.9 |
- |
||
43 |
Navoiazot사 제품 운송을 위한 신규 철도 차량 획득 **** |
철도탱크 255량(메탄올용 150량, 암모니아용 45량, 질산용 30량, 액체가성소다용 30량) **** |
2018~ 2020 |
20.0 |
0.8 |
10.2 |
9.0 |
- |
||
|
|
|
|
|
|
|
자료원 : 우즈베키스탄 『2017-2021 화학산업 발전 프로그램 』
* 프로젝트 및 입찰의 F / S 승인 결과에 따라 세분화 예정.
** 프로젝트 이행 및 자금 조달 조건 관련 스페인 Maxam Corp. International, S.L.와의 추가적인 합의 필요.
*** 투자 의무 조건 확대를 위해 Maxam-Chirchik사의 지분 49% 매각 계약 고려 가능.
**** MTG 메탄올 처리 프로젝트는 Navoiazot 부지 근처에서 시행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함.
- 상기 프로젝트에 관심이 있을 경우 아래 우즈벡화학공사 담당자 연락처로 문의 가능
<우즈벡화학공사(Uzkimyosanoat)> - 담당자명/부서/직함 : Mr. Shoyusuf/투자 프로젝트 및 현지화 부서/Lead Specialist - 전화번호 : +998-71-140-7455 - 팩스 : +998-71-140-7474 - 이메일: invest@uks.uz, info@uzkimyosanoat.uz - 주소 : 100011, Tashkent city, Uzbekistan. Navoiy str., 38. - 웹사이트: www.uzkimyosanoat.uz |
-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화학제품별 생산량 변동 전망은 아래 표와 같음.
2017 – 2021년 화학제품별 생산량 전망
연번 |
제품명 |
단위 |
2017년(추정) |
2018년 (전망) |
2019년 (전망) |
2020년 (전망) |
2021년 (전망) |
총 증가율(%) |
I. 미네랄 비료 |
||||||||
질소 비료 |
천 톤 |
885.1 |
926.8 |
951.7 |
1,047.5 |
1,295.7 |
46.4 |
|
인산염 비료 |
천 톤 |
155.4 |
169.0 |
169.0 |
258.6 |
306.4 |
97.2 |
|
칼륨 비료 |
천 톤 |
168.0 |
188.4 |
228.0 |
358.3 |
345.6 |
105.7 |
|
1 |
요소 |
천 톤 |
627.6 |
670.0 |
700.0 |
875.5 |
1,377.5 |
119.5 |
JSC «Navoiazot» |
천 톤 |
- |
- |
- |
115.5 |
577.5 |
- |
|
JSC «Maxam-Chirchik» |
천 톤 |
261.2 |
270.0 |
270.0 |
270.0 |
270.0 |
3.4 |
|
JSC «Ferganaazot» |
천 톤 |
366.4 |
400.0 |
430.0 |
490.0 |
530.0 |
44.6 |
|
2 |
질산암모늄 |
천 톤 |
1,273.6 |
1,110.8 |
988.4 |
983.8 |
959.8 |
-24.6 |
JSC "Navoiazot" |
천 톤 |
531.7 |
280.0 |
200.0 |
200.0 |
200.0 |
-62.4 |
|
JSC "Maxam-Chirchik" |
천 톤 |
414.5 |
450.0 |
450.0 |
450.0 |
450.0 |
8.6 |
|
JSC "Ferganaazot" |
천 톤 |
327.4 |
380.8 |
338.4 |
333.8 |
309.8 |
-5.4 |
|
3 |
질안석회 |
천 톤 |
111.8 |
90.0 |
160.0 |
120.0 |
120.0 |
7.3 |
4 |
칼슘암모늄 및 질산마그네슘 |
천 톤 |
48.0 |
90.0 |
100.0 |
100.0 |
100.0 |
108.3 |
5 |
벤토나이트 질산암모늄 |
천 톤 |
8.0 |
100.0 |
100.0 |
50.0 |
50.0 |
525.0 |
6 |
안전 질산암모늄 |
천 톤 |
- |
- |
70.0 |
100.0 |
150.0 |
- |
7 |
질소인산비료 |
천 톤 |
163.4 |
312.0 |
312.0 |
282.0 |
282.0 |
72.5 |
JSC "Navoiazot" |
천 톤 |
31.4 |
180.0 |
180.0 |
150.0 |
150.0 |
377.7 |
|
JSC "Ferganaazot" |
천 톤 |
132.0 |
132.0 |
132.0 |
132.0 |
132.0 |
100,0 |
|
8 |
인산 암모니아 |
천 톤 |
86.9 |
146.7 |
120.3 |
326.0 |
420.0 |
383.3 |
9 |
Suprefos |
천 톤 |
40.9 |
100.0 |
155.0 |
200.0 |
200.0 |
389.0 |
10. |
과인산비료 |
천 톤 |
103.0 |
104.0 |
117.0 |
167.0 |
192.5 |
86.9 |
11 |
NPK 비료 |
천 톤 |
30.0 |
100.0 |
220.0 |
400.0 |
400.0 |
1,233.3 |
12 |
염화칼륨 |
천 톤 |
280.0 |
314.0 |
380.0 |
600.0 |
600.0 |
114.3 |
13 |
황산칼륨 |
천 톤 |
- |
- |
- |
14.0 |
20.0 |
- |
II. 광업 및 석유가스 산업용 화학 제품 |
||||||||
1 |
시안화나트륨 |
천 톤 |
27.8 |
27.8 |
31.0 |
31.0 |
33.0 |
18.6 |
2 |
폴리아크릴아미드류 |
천 톤 |
1.6 |
1.6 |
1.6 |
1.6 |
1.6 |
0 |
3 |
티오우레아 |
천 톤 |
1.9 |
3.0 |
3.0 |
3.0 |
4.2 |
121.1 |
4 |
염산 |
천 톤 |
19.3 |
37.4 |
37.4 |
37.4 |
37.9 |
96.9 |
5 |
질산나트륨 |
천 톤 |
4.6 |
7.5 |
7.5 |
7.5 |
7.5 |
62.3 |
6 |
저밀도 질산암모늄 |
천 톤 |
50.7 |
60.0 |
60.0 |
60.0 |
120.0 |
136.7 |
7 |
시추시약 «POLY RAS - UZ» |
천 톤 |
390.0 |
2,000.0 |
2,000.0 |
2,000.0 |
2,000.0 |
412.8 |
8 |
황화나트륨 |
천 톤 |
400.0 |
720.0 |
960.0 |
1,080.0 |
1,200.0 |
200.0 |
III. 무기화학 제품 |
||||||||
1 |
소다회 |
천 톤 |
177.0 |
180.0 |
200.0 |
200.0 |
200.0 |
113,0 |
2. |
가성소다 |
천 톤 |
16.0 |
24.0 |
42.5 |
97.9 |
97.9 |
511.9 |
3. |
중탄산나트륨 |
톤 |
625.2 |
2,500.0 |
3,000.0 |
3,000.0 |
3,000.0 |
379.8 |
IV. 유기화학 제품 |
||||||||
1 |
아세테이트실 |
천 톤 |
1.6 |
2.0 |
2.0 |
2.0 |
2.0 |
23.8 |
2 |
포르말린 |
천 톤 |
3,8 |
19,0 |
20,0 |
20,0 |
20,0 |
5,2 times |
3 |
PVC |
천 톤 |
- |
- |
25,0 |
100,0 |
100,0 |
- |
4 |
메탄올 |
천 톤 |
9.0 |
2.0 |
62.2 |
193.8 |
300.0 |
3,233.3 |
5 |
자동차타이어 |
천 개 |
- |
900.0 |
2,100.0 |
3,000.0 |
3,000.0 |
- |
6 |
농업타이어 |
천 개 |
- |
60.0 |
140.0 |
200.0 |
200.0 |
- |
7 |
컨베이어 벨트 |
천 미터 |
- |
30.0 |
70.0 |
100.0 |
100.0 |
- |
V. 소비재 |
||||||||
1 |
화장품 |
천 개 |
360.0 |
432.0 |
518.4 |
622.1 |
746.5 |
107.4 |
2 |
아기용기저귀 및 위생용품 |
천 개 |
7,167.0 |
8,027.0 |
8,257.0 |
8,477.0 |
8,665.0 |
20.9 |
3 |
요오드첨가 식염 |
천 개 |
9.0 |
10.0 |
10.0 |
10.0 |
10.0 |
11.1 |
4 |
잡화, 어린이 장난감, 플라스틱 소비재 |
톤 |
280.0 |
290.0 |
300.0 |
310.0 |
320.0 |
14.3 |
5 |
5 ~ 25 리터 및 30 ~ 100 리터의 탱크, 캔, 용기, 드럼, 물 탱크 및 기타 용기 |
톤 |
135.0 |
200.0 |
250.0 |
300.0 |
350.0 |
159.3 |
6 |
가정용 폴리에틸렌 봉지 |
톤 |
- |
- |
- |
100.0 |
150.0 |
- |
7 |
합성세제 |
톤 |
- |
- |
- |
2,000.0 |
2,000.0 |
- |
8 |
폴리에틸렌 벽지 |
천 개 |
- |
- |
3,912.5 |
7,825.0 |
7,825.0 |
- |
9 |
페인트, 광택제 |
톤 |
- |
- |
- |
- |
500.0 |
- |
자료원 : 우즈베키스탄 『2017-2021 화학산업 발전 프로그램 』
② 『우즈베키스탄 화학산업 발전 가속화 조치』
ㅇ 2018년 10월 25일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우즈베키스탄 화학산업 발전 가속화 조치』 대통령 결의안에 서명함.
- 결의안은 우즈벡 화학산업의 발전과 다양성 강화를 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원재료 가공률 향상을 통한 국가경제 및 해외시장 수요 고부가가치 제조상품 수 확대, △미네랄 비료 생산능력 확대 및 수출 잠재력 강화, △화학기업에 대한 국가 지분 축소 및 해외직접투자 유치, △심화 가공을 위한 R&D 발전 활성화 등이 주요 추진 방향임.
ㅇ 결의안에 따라 생산 시설 확대 및 현대화, 기초제품 가공 심화, 자산의 합리적 이용, 우즈벡화학공사 활동의 현대적인 관리 기법 도입에 대한 로드맵이 승인됨.
- 로드맵에 따라 2018년 대비 2030년 화학제품 생산량이 4.5배 증가할 것이며 그 중 미네랄 비료 2배(1.2백만 톤에서 2.4백만 톤으로 증가), 수출량은 4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
- 2018년부터 2020년까지 Ammofos Maksam사의 인산염 비료 생산량 2만 톤 확대, Navoiazot사 PVC 10만 톤, 가성소다 7.5만 톤, 메탄올 30만 톤, 질산 50만 톤, 암모니아 66만 톤, 요소 57.8만 톤 생산 시설 구축, Ferganaazot 폴리에틸렌 벽지 782만 개 생산 포함.
ㅇ 우즈벡화학공사 산하 Samarkandkimyo, Elektrohimzavod, Jizzah plastic, Ferganaazot를 시장가치에 따라 민간에 매각하여 민영화 추진.
ㅇ 아울러 한국화학연구원(KRICT)과 협력하여 타슈켄트 화학기술과학연구소와 Uzkimyosanoatloyiha를 기반으로 한 화학 기술 센터를 설립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음.
□ 전문가 인터뷰
ㅇ 상기 43개 투자 프로젝트 관련 우즈벡화학공사 Shoyusuf 담당자는 EPC 회사나 설비, 원재료 공급 기업보다는 합작 회사 설립 등에 관심이 있는 잠재투자자를 모색 중이라고 밝힘.
- 새로운 기업 및 생산 설비 가동 시작 후 전문적인 운영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건설, 수출사보다는 투자, 기술 협력 등이 가능한 기업을 선호.
- 단, 기존 계획한 프로젝트대로 시행이 어려울 경우 재원 비중 변경 등도 고려가 가능.
□ 시사점
ㅇ 우즈베키스탄은 화학을 중점 육성산업으로 선정하고 발전 잠재력 실현, 수출 확대 등을 추구하고 있으며 2017년과 2018년 각각 제정된 『2017-2021 화학산업 발전 프로그램 』과 『우즈베키스탄 화학산업 발전 가속화 조치』는 이러한 국가의 의지와 중장기적인 육성 방향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임.
ㅇ 비료 등 품목에서 비교적 생산 기반을 갖추고 있으나 설비 및 기술 노후화, 생산능력(Capacity) 등이 부족하여 해외자본과 기술 투입이 요구되는 상황으로 주로 해외투자기업-우즈벡 공기업 간 합작법인 설립 등의 방향으로 협력 및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ㅇ 단, 프로젝트별 관심 투자자가 없을 시 재원 변경 및 EPC 프로젝트 등으로 전환할 가능성도 있어 이를 염두해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사전에 투자 방법이나 수익 구조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자료원 : Lex.uz, 우즈벡화학공사, Gazeta.uz, ITC Trademap, 타슈켄트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우즈베키스탄 화학 산업 발전 추진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궐련형 전자담배 중국 시장 현황 및 전망 | 중국 | 2018-11-22 |
2 | 카자흐스탄 파이프 시장 동향 | 카자흐스탄 | 2018-11-21 |
3 | 中, 섬유산업 기반을 통해 성장하는 스포츠 의류시장 | 중국 | 2018-11-22 |
4 | 중국 식용유 시장 동향 | 중국 | 2018-11-22 |
5 | 사우디아라비아 전력 시장 동향 | 사우디아라비아 | 2018-11-21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