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장난감시장, 한국 기업이 진출해야 될 때
우크라이나 장난감시장, 한국 기업이 진출해야 될 때
-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접근 필요 -
□ 우크라이나 장난감 시장 현황
○ 장난감 시장은 성장세이나 현지화 가치 절하로 전체 시장 규모 감소
- 우크라이나 장난감 시장규모는 해마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2013년 301만9000달러를 달성했으나 경제악화로 인한 현지화의 200% 가치하락은 2014년 시장규모 33% 감소 야기
우크라이나 장난감 시장규모
(단위: 만 달러, 만 흐리브냐, %)
연도 |
미화 기준 |
현지화 기준 |
|
시장규모 |
성장률 |
시장규모 |
성장률 |
2011 |
193.5 |
18.71 |
1,548.0 |
18.71 |
2012 |
302.0 |
56.07 |
2,416.0 |
56.07 |
2013 |
301.9 |
-0.01 |
2,415.2 |
-0.01 |
2014 |
202.3 |
-0.33 |
3,170.0 |
31.25 |
자료원: 우크라이나 비즈니스 웹 포털(Ukraine Business Resource)
○ 출생인구 연 평균 2.2% 증가는 장난감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
- 잠정적 장난감 소비자인 14세 이하의 아동 인구는 670만 명(2014년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15% 수준임.
- 2013년 기준 출산인구는 50만3000명으로 10년간 연 평균 2.2%씩 증가 추세
우크라이나 연도별 출생 인구 변화
(단위: 만 명, %)
연도 |
출생 인구 |
증감률 |
연도 |
출생 인구 |
증감률 |
2004 |
42.7 |
4.3 |
2009 |
51.2 |
0.3 |
2005 |
42.6 |
-1.3 |
2010 |
49.7 |
-0.3 |
2006 |
46.0 |
7.9 |
2011 |
50.2 |
1.0 |
2007 |
47.2 |
2.6 |
2012 |
52.0 |
3.5 |
2008 |
51.0 |
8.0 |
2013 |
50.3 |
-3.3 |
자료원: 우크라이나 통계청(Ukrstat)
○ 장난감의 대다수는 중국산 제품이나, 미국·EU제품도 인기 높아
- 시장 내 5% 내외를 점유한 우크라이나산 제품을 제외한 나머지는 수입제품이며, 수입제품의 80% 이상은 중국산 제품
- 한편, 이탈리아, 미국, 폴란드 제품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제품 선호도는 압도적임.
우크라이나 내 상위 10개 장난감 회사 브랜드
(단위: %)
순위 |
브랜드명 |
브랜드 선호도 |
국가 |
1 |
Chicco |
13.7 |
이탈리아 |
2 |
Fisher Price |
11.3 |
미국 |
3 |
Canpol Babies |
9.8 |
폴란드 |
4 |
Lego |
8.9 |
덴마크 |
5 |
Tiny Love |
6.0 |
이스라엘 |
6 |
Peg-Perego |
4.9 |
이탈리아 |
7 |
Tolo |
4.1 |
홍콩(중국) |
8 |
Rozumnf Igrashka |
3.7 |
우크라이나 |
9 |
Tigers |
3.3 |
덴마크 |
10 |
Barbie |
3.2 |
미국 |
자료원: 우크라이나 비즈니스 웹 포털(Ukraine Business Resource)
□ 우크라이나 장난감시장 소비 특징
○ 교육용 장난감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
- 품목별 구매 선호도는 교육용 장난감, 인형, 퍼즐 순이며, 우크라이나 내 교육용 장난감 수요는 높으나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
- 특히 교육용 장난감 중 유아 창의성 개발 장난감은 부모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
장난감 소비자 선호도
(단위: %)
자료원: 우크라이나 비즈니스 웹 포털(Ukraine Business Resource)
○ 온라인 쇼핑 시장을 통한 구매량도 증가되고 있어
- 인터넷 보급 확대에 따른 온라인 쇼핑 시장규모는 성장 추세이며, 온라인 장난감 쇼핑몰 또한 증가 추세
- 장난감은 유아용품 쇼핑몰과 함께 판매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2014년 장난감 및 유아용품 온라인 시장 규모는 약 700만 달러로 집계
인기 장난감․유아용품 인터넷 쇼핑몰 TOP 5
순위 |
상호명 |
웹사이트 |
주요 품목 |
1 |
Kaprizka |
www.kaprizka.com.ua |
장난감, 유모차 |
2 |
Kiddi |
www.kiddi-co.com.ua |
장난감, 분유 |
3 |
Baby pro |
www.babypro.com |
전반적인 유아용품 |
4 |
Kievdelivery |
www.kievdelivery.com |
장난감 |
5 |
Moy Karapuz |
www.moykarapuz.com/ua |
전반적인 유아용품 |
자료원: 우크라이나 비즈니스 웹 포털(Vcene.ua)
□ 장난감시장 유통구조 및 수입 환경
○ 장난감 유통형태는 대형 도매상과 중소 판매망으로 구성돼 있어
- 주요 도매 수입상에 의해 대부분 수입되며, 일부 수입상은 직접 생산 공장 가동
- 판매 매장은 중소형 규모로 운영되고 있으며, 인지도가 높은 상위 5개 매장은 넓은 네트워크를 배경으로 키예프뿐만 아니라 지방 거점도시에도 활발하게 진출
상위 5개 장난감 수입상
순위 |
장난감 수입상 |
웹 사이트 |
브랜드 취급 개수 |
1 |
Babyzone |
www.babyzone.ua |
60 |
2 |
Paritet Toys |
www.ps.ua |
45 |
3 |
Kiddisvit |
www.kddisvit.ua |
41 |
4 |
RedHead Corp |
www.redhead.ua |
30 |
5 |
Pelican |
www.pelican.com.ua |
16 |
자료원: 우크라이나 비즈니스 웹 포털(Favor Online)
상위 5개 장난감 매장
순위 |
매장명 |
매장 인지도* |
1 |
Bydynok Igrashok |
5.00 |
2 |
Epik |
5.00 |
3 |
Mishutka |
4.41 |
4 |
Pelican |
4.41 |
5 |
Antoshka |
2.94 |
주: 매장인지도 5점 만점
자료원: 우크라이나 비즈니스 웹 포털(Favor Online)
○ 제품 통관 절차는 까다롭지 않으나 지난해부터 관세 인상 실시
- 장난감 제품의 경우 자국 기술표준 인증인 ‘UKRSEPRO’를 획득해야 하며, 우크라이나 관세청에서 실시하는 위생안전 테스트를 거쳐야 함. (우크라이나 내무부 결의안, No.1031, 2010.10.5.)
- 기존의 대우크라이나 장난감 품목 수출관세는 0%였으나, 2014년 12월에 발의된 법안에 따르면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관세 10% 인상 실시(우크라이나 의회 결의안, No.73-Ⅷ, 2014.12.28.)
○ 대우크라이나 한국 장난감 수출 실적은 저조
- 대우크라이나 한국 장난감 수출액은 2012년 18만 달러로 가장 높았으며, 시장 내 점유율은 5% 내외로 파악 됨.
- 한국산 장난감 제품은 중국산 제품에 비해 제품 인지도는 높지만, 가격경쟁력이 낮아 시장 내 점유율이 저조한 것으로 분석
대우크라이나 장난감 품목 수출액
(단위: 만 달러, %)
연도 |
한국 |
시장 내 점유율 |
수출액 |
성장률 | |
2011 |
8.3 |
15.21 |
4.28 |
2012 |
18.0 |
116.86 |
5.96 |
2013 |
13.0 |
-0.28 |
4.30 |
2014 |
10.6 |
-0.19 |
5.23 |
자료원: WTA
□ 시사점
○ 소비자 선호도를 고려한 수출 전략 실시해야 해
- 교육용 장난감, 인형, 퍼즐 등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품목 위주의 진출 전략 필요
- 현재는 정치적 불안에 따라 내수시장이 침체됐지만,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까지는 교육열이 높은 중산층 위주로 구매량이 많았기 때문에 경기 회복 시 선호도가 높은 품목 위주로 시장 회복 전망
○ 특정 고객층을 겨냥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 수립해야
- 일본의 기저귀 회사 ‘GOO.N'은 공격적인 마케팅과 고급화 전략을 통해 우크라이나 내 인지도 상승과 매출 상승을 동시에 이룬 사례임. 현재는 미국산 Huggies, Pampers 제품과 동등한 브랜드 입지 구축
- 한국산 제품도 중국산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낮기 때문에 특정 고객층을 겨냥한 고급화 전략이 필요한 실정
○ 우크라이나 내 제조업 투자 진출도 매력 있을 것
- 우크라이나는 지리적으로 EU와 CIS시장을 잇는 교통의 요충지이며 주변국에 비해 값싼 공장 부지와 낮은 인건비 등이 장점
- 현지 공장 설립을 통해 대EU·CIS 제품수출의 물류비 절감과 2014년 12월에 발의된 대우크라이나 수출 추가 관세를 면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 예상
자료원: 우크라이나 비즈니스 웹 포털(Ukraine Business Resource, Favor Online, Vcene.ua), 우크라이나 통계청(Ukrstat), WTA, KOTRA 무역관 현지조사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우크라이나 장난감시장, 한국 기업이 진출해야 될 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美 자동차 BIG 3사 합병 '사실상 가능' | 미국 | 2015-03-17 |
2 | 알제리 자동차 딜러 활동에 대한 새로운 법령 | 알제리 | 2015-03-11 |
3 | 러시아, 통화 스와프 체결 확대 움직임 | 러시아 | 2015-03-18 |
4 | 우크라이나 유아용품시장이 클 수밖에 없는 이유 | 우크라이나 | 2014-04-21 |
5 |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그 후 1년 | 러시아 | 2015-03-18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