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섬유·패션 산업 현황
패션의 나라, 이탈리아 섬유·패션산업 현황
- 2014년 섬유 총매출 3.8% 상승한 80억 유로 전망 -
- 미국 수출 10% 상승 등 섬유 업계 호조 -
□ 이탈리아 섬유·패션산업 동향
○ 회복세에 돌입한 이탈리아 섬유·패션산업
- 지난 2년간 적자를 보여왔던 이탈리아 섬유·패션산업이 드디어 회복세에 돌입함.
- 특히, 섬유 매출의 약진이 두드러짐. 최근 SMI(이탈리아 섬유·패션협회. Sistema Moda Italiana)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4년 이탈리아 섬유(견직물, 모직물, 린넨, 편직물)의 총매출은 전년 대비 3.8% 증가한 80억 유로를 기록함.
2011~2014년 이탈리아 섬유 총매출액
(단위:백만 유로,%)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추정) |
매출액 |
8365 |
7983 |
7730 |
8022 |
증감률 |
9.3 |
-4.6 |
-3.2 |
3.8 |
자료원:Sistema Moda Italiana
- 이탈리아 섬유·패션산업은 약 5만 개의 업체와 약 41만 명의 업계 종사자로 구성돼 있으며, 이 중 90%가 종사자 15명 미만의 소기업임.
- 최근 3년 동안 중국 등 후발 개도국과의 저가제품 경쟁으로 업체와 근로자 수, 업체 규모가 계속 축소되는 불황을 겪고 있음.
- 그러나 뛰어난 품질, 혁신, 세계화를 목표로 시장의 요구에 재빨리 대응하는 전문성을 바탕으로 Made in Italy를 내세운 꾸준한 노력 결과 2014년 드디어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함.
○ 섬유 매출이 가장 주요한 매출원
- 전체 이탈리아 섬유·패션 총 매출의 15.3%를 섬유 매출이 차지하는 가운데 이중 모직물 37.2%,마직물 3.5%,견직물 17.9%,편직물 19.9%,면직물이 21.5%를 차지하고 있음.
2014년* 이탈리아 섬유·패션 전체 매출에서 섬유매출 비율
주: 2014년도 추정치
자료원: Sistema Moda Italiana
□ 이탈리아 섬유·패션산업 수출 및 수입
2008~2014년 이탈리아 섬유·패션산업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유로, %)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수출 |
5,070 |
3,740 |
4,206 |
4,537 |
4,374 |
4,276 |
4,417 |
증감률 |
-9.7 |
-26.2 |
12.5 |
7.9 |
-3.6 |
-2.2 |
3.3 |
수입 |
1,798 |
1,436 |
1,845 |
2,101 |
1,834 |
1,912 |
2,036 |
증감률 |
-6.2 |
-20.1 |
28.5 |
13.9 |
-12.7 |
4.2 |
6.5 |
주: 2014년도는 추정치
자료원: Sistema Moda Italia
○ 2014년 이탈리아 섬유·패션산업은 수출액 44억 유로, 3.3% 성장 예측됨. 수입은 20억 유로, 6.5%의 성장이 예상됨으로써 24억 유로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 2014년 1월부터 10월까지의 이탈리아 섬유·패션 수출입통계를 보면 수출에서 -3.4%인 독일을 제외한 유럽국과 10% 증가를 보인 미국이 강세를 보임.
- 대독일, 대프랑스 수출이 감소세를 보임에도 EU국은 여전히 이탈리아의 섬유 수출 최대 시장임.
- 대미국 수출이 10% 증가하고 대중국 수출이 -9.6%, 대홍콩 -11.9%를 기록, 수출 시장에 작은 지각 변동이 일어남.
2014년 1~10월 이탈리아 국별 수출 동향
(단위:백만 유로, %)
국가 |
액수 |
증감률 |
비중 |
전체 수출액 |
3139 |
2.5 |
100.0 |
EU28개국 |
1672 |
4.7 |
53.3 |
비EU국가 |
1467 |
0.0 |
46.7 |
상위 15국 -독일 |
333 |
-3.4 |
10.6 |
루마니아 |
254 |
8.3 |
8.1 |
프랑스 |
218 |
-1.9 |
7.0 |
튀지니 |
184 |
-3.5 |
5.9 |
중국 |
147 |
-9.6 |
4.7 |
스페인 |
145 |
13.8 |
4.6 |
미국 |
138 |
10.0 |
4.4 |
터키 |
132 |
-3.2 |
4.2 |
홍콩 |
131 |
-11.9 |
4.2 |
포르투갈 |
117 |
13.6 |
3.7 |
불가리아 |
110 |
11.5 |
3.5 |
일본 |
106 |
-0.8 |
3.4 |
영국 |
100 |
6.9 |
3.2 |
폴란드 |
90 |
22.6 |
2.9 |
스위스 |
73 |
1.2 |
2.3 |
자료원: Sistema Moda Italia
○ 2014년 1월부터 10월 까지의 이탈리아 섬유 수입은 중국, 터키에서의 수입이 47.7%를 차지, 이탈리아 섬유 수입의 거의 반을 두 나라에서 함.
- 파키스탄으로부터의 섬유 수입이 12.7%로 크게 증가함.
- 대한민국으로부터의 섬유 수입은 -7.6%로 감소를 보임.
2014년 1~10월 이탈리아 국별 수입 동향
(단위:백만 유로, %)
국가 |
액수 |
증감률 |
비중 |
전체 수입액 |
1488 |
6.6 |
100.0 |
EU 28개국 |
487 |
8.0 |
32.7 |
비EU국가 |
1001 |
6.0 |
67.3 |
상위 15국 - 중국 |
388 |
7.4 |
26.1 |
터키 |
321 |
9.1 |
21.6 |
파키스탄 |
104 |
12.7 |
7.0 |
체코 |
95 |
2.8 |
6.4 |
독일 |
92 |
11.7 |
6.2 |
스페인 |
66 |
12.6 |
4.4 |
프랑스 |
41 |
-2.2 |
2.8 |
인도 |
36 |
-4.4 |
2.4 |
대한민국 |
35 |
-7.6 |
2.4 |
영국 |
31 |
13.9 |
2.1 |
루마니아 |
29 |
23.9 |
1.9 |
벨기에 |
27 |
-0.5 |
1.8 |
헝가리 |
26 |
9.1 |
1.7 |
이집트 |
25 |
20.2 |
1.7 |
네덜란드 |
20 |
57.7 |
1.3 |
자료원:Sistema Moda Italia
□ 한국과의 섬유·패션제품 교역 현황
○ 우리나라의 대탈리아 섬유 수출은 2014년 현재(추정) 1억9500만 유로, 수입은 5억4900만 유로로 무역수지는 3억5400만 유로의 적자를 보임.
- 대이탈리아 섬유무역 수지 적자는 2000년 이후 명품 브랜드의 고가 의류제품 수입이 확대됐기 때문임.
2010~2014년 우리나라 대이탈리아 섬유 수출입 현황
(단위: 백만 유로,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추정) |
수출 |
150 |
183 |
172 |
192 |
195 |
증감률 |
28.9 |
21.3 |
-6 |
11.6 |
1.5 |
수입 |
357 |
484 |
458 |
488 |
549 |
증감률 |
13.3 |
35.5 |
-5.4 |
6.5 |
12.6 |
무역수지 |
-207 |
-301 |
-286 |
-296 |
-354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한국 제품의 진출 성공 전략
○ 유망 품목: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신소재 섬유 등
- 유럽지역의 전체적인 수요확대가 이탈리아까지 이어지고 있음.
- 산업용 섬유 주요 품목으로서 한국제품의 수출 실적도 해마다 늘고 있음.(나일론 2014년 전년 대비 12.7% 증가, 폴리에스테르 전녀 대비 17.0% 증가)
- 첨단 기술을 이용한 신소재, 신합섬 개발로 우리 생활에 밀접한 생활용품 소재에서부터 레저 스포츠용, 생명공학, 우주, 항공 분야 등 새로운 수요에 대처할 만한 하이테크 기술이 집약된 섬유
○ 품질의 업그레이드화를 통한 중저가 중국산과의 차별화 전략
- 중저가대의 중국산 제품과는 이미 경쟁이 불가능한 상황임.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품질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중국산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음.
○ 시장 수요를 선도하는 신제품 개발 주력
- 중장기적으로 유망제품을 개발, 한 발 앞선 제품 출시가 중요
□ 이탈리아 섬유·패션산업이 희망적인 이유
○ 섬유패션산업은 이탈리아 특유의 오랜 역사와 장인정신, 기술력이 농축된 대표 산업
○ 이탈리아 정부는 섬유패션산업의 진흥을 위해 올해 3600만 유로 규모의 투자 예정
- 이는 지난 5년 동안 정부가 업계에 지원한 평균 투자액의 8배에 달하는 금액으로서 이탈리아 섬유·패션업계의 기대가 높음.
- 투자 금액 중 600만 유로는 일본, 중국, 미국, 캐나다 시장에 알려지지 않은 신규 브랜드를 런칭시킨 업체에 인센티브 형식으로 지급
□ 시사점
○ 유가 하락, 유로화 하락, 최근 유럽중앙은행 등이 발표한 양적완화 시행의 요인에 힘입어 이탈리아의 경기에 회복 조짐이 보인다는 기대가 나오는 가운데 이탈리아 산업의 대표주자 중 하나인 섬유·패션 업계가 경기회복의 견인차가 될 것으로 보임.
○ 그 어느 해보다 정부의 전폭적 지원은 수출뿐 아니라 내수시장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불러올 것으로 전망함.
○ 해외 업체와의 협업에 적극적인 이탈리아 업체가 늘어남에 따라 한국 기업과의 협업 가능성도 높아지는 실정임. 이에 한국 기업의 투자 협력 또는 협업을 통해 이탈리아 섬유·패션산업의 노하우와 경쟁력을 우리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임.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이탈리아 섬유·패션 산업 현황)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이탈리아 패션산업의 빛과 그림자 | 이탈리아 | 2014-06-30 |
2 | [유망] 이탈리아 섬유∙패션 시장동향 | 이탈리아 | 2017-08-30 |
3 | 이탈리아가 아직도 섬유산업에 투자하는 이유 | 이탈리아 | 2013-08-09 |
4 | 네덜란드 대형 PL 유통망이 진단하는 소매시장과 마케팅 전략 | 네덜란드 | 2015-03-07 |
5 | 이탈리아 산업 클러스터, 경제 발전의 원동력 | 이탈리아 | 2015-11-27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