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로봇산업 동향
미국 로봇산업 동향
- 일본과 함께 전 세계 로봇시장을 양분하는 로봇 강국 -
- 로봇기술 발전, 서비스용 로봇 활성화로 2016년까지 연평균 15% 성장 -
□ 로봇산업 시장 규모: 발표 기관별, 산출 기준별로 다소 상이
○ (판매액 기준) 2012년 기준 시장규모 16억6000만 달러
- 미국 로봇산업협회(Robotic Industries Association)에 따르면, 2012년 기준 북미 내 로봇 판매액은 16억6000만 달러에 달했으며 물량 기준으로는 2만5557대
- 수출 물량을 제외한 북미지역 내 판매액은 14억8000만 달러이며 물량 기준으로는 2만2598대
○ (수요 기준) 2011년 기준 시장규모 23억5000만 달러
- 시장조사 전문기관 Freedonia Group에 따르면, 수요(Demand) 측면에서 산출한 미국 로봇사업 규모는 2011년(조사시점 기준 최신통계) 기준 25억3000만 달러로 10년 전에(9억3000만 달러, 2001년) 비해 2.7배 성장
- 미국은 전통적으로 산업용 로봇이 시장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2006년 이후 서비스 로봇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산업용 로봇시장을 추월*
* 미국 전체 로봇시장 중 서비스 로봇시장 비중: 42%(2006년) → 58%(2011년)
* 산업용 로봇은 주로 자동차, 화학, 전기전자 등 제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서비스 로봇은 가정용, 의료용, 국방, 농업용 등 전산업 분야로 확장된 형태의 로봇을 의미하며 전문서비스 로봇과 개인서비스 로봇으로 구분됨.
○ (전망) 연평균 15%가 넘는 높은 성장세 지속
- Freedonia Group은 향후 미국 내 로봇 수요는 2016년까지 연평균 15.2% 증가해 시장규모가 51억4000만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
- 시장성장 요인: 로봇기술 발전 및 소프트웨어 진화, 서비스용 로봇 활성화
(단위: 백만 달러)
연도 | 2001 | 2006 | 2011 | 2016 |
시장규모 | 925 | 1410 | 2530 | 5140 |
주: 시장규모는 수요(Demand) 기준
자료원: The Freedonia Group, Inc.
□ 시장구조 및 특성
○ (개요) 전문서비스 분야 로봇이 가장 큰 비중 차지
- 2011년 기준 전문서비스 분야 로봇은 전체 로봇시장 수요의 48.8%를 차지하며 자동차(16.6%), 개인서비스(9.4%), 화학(4.2%), 전기전자(3.2%)순
자료원: The Freedonia Group, Inc.
○ (분야별 현황 #1) 전문서비스 로봇
- 전문서비스 분야의 로봇 수요는 2011년 기준 약 12억 달러로 2006년 대비 연평균 21.6% 성장
- 전문서비스 로봇은 건설, 물류, 재활, 원자력발전, 우주 및 심해 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의료용 로봇이 시장을 주도
- 대표적인 의료용 로봇으로는 Restoration Robotics의 모발이식로봇 ‘ARTAS’와 Intuitive Surgical의 원격 수술 시스템인 ‘DAVINCI’ 로봇이 있음.
- 미국 내 전문서비스 로봇 수요는 2016년까지 연평균 20% 성장해 시장 규모가 3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 (분야별 현황 #2) 자동차용 로봇
- 미국 자동차산업의 로봇 수요는 2011년 기준 약 4억2000만 달러
- 자동차 산업에서 로봇의 수요가 높은 원인은 자동차 제조공정에 점용접(Spot welding), 축출 다이캐스팅(Extracting die casting) 등 인체에 유해한 작업들이 요구되기 때문
- 자동차산업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로봇은 점용접(Spot welding) 로봇과 아크용접(Arc welding) 로봇이며 운반관리, 페인팅, 납땜 작업에도 로봇이 활발히 사용됨.
- 하이브리드 또는 전기차 생산을 위한 자동차산업 내 생산설비 증대에 힘입어 자동차산업에서 로봇 수요는 2016년까지 연평균 4.6% 성장해 시장규모가 5억2500만 달러에 이를 전망
○ (분야별 현황 #3) 개인서비스용 로봇
- 전문 서비스 분야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성장세를 보이는 개인용 서비스 로봇 수요는 2011년 기준 2억3800만 달러로 2006년 대비 13.2% 성장
- 개인용 서비스 로봇은 상업적이지 않은 목적으로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로봇을 말하며 바닥 청소, 가정용 경비시스템, 장난감, 교육, 장애인 보조 등에 활용됨.
- 개인용 로봇 시장에서 가장 규모가 큰 분야는 바닥 청소용 로봇으로 iRobot Corporation의 ‘Roomba’가 가장 대표적
- 개인용 로봇 수요는 2016년까지 연평균 25.3% 성장해 시장규모가 7억3500만 달러에 달해 자동차산업의 로봇 수요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됨.
○ (분야별 현황 #4) 화학분야 로봇
- 2011년 기준 화학 분야 로봇시장 규모는 1억600만 달러
- 주요 활용분야는 운반관리, 팔레타이징(Palletizing) 및 테스트 분야
- 인간이 연간 20개 정도의 화학제품을 분석할 수 있는데 반해, 로봇은 일주일 만에 약 1만 개의 화학제품 분석이 가능해 작업의 효율성을 높임.
- 인구 고령화에 따른 제약관련 수요 증가에 힘입어 화학분야 로봇 수요도 지속 증가해 2016년에는 시장규모가 1억1600만 달러에 달할 전망
○ (분야별 현황 #5) 전기전자분야 로봇
- 2011년 기준 전기전자분야 로봇시장 규모는 8100만 달러
- 주로 조립용 로봇이 사용되며 컴퓨터와 관련 장비, 엔터테인먼트 장비, 생활가전, 통신장비, 광학장비,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됨.
- 특히, 높은 수준의 위생상태가 요구되는 무진실(Cleanroom)에서 민감한 부품을 조립하는데 활발히 사용됨.
- 전기전자분야 로봇 수요는 향후 연평균 4.1% 성장해 2016년에는 시장 규모가 1억 달러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됨.
□ 정부정책: 로봇산업 육성정책(National Robotics Initiative; NRI)
오바마 행정부는 지난 2011년 6월에 발표한 ‘첨단제조업 육성정책(Advanced Manufacturing Partnership)’의 일환으로 '로봇산업 육성정책(National Robotics Initiative)'을 추진 중 |
○ (추진 배경) 차세대 로봇개발을 통한 제조업 등 주요 산업의 경쟁력 제고
- 차세대 로봇개발 및 보급 확대를 통해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첨단 로봇산업 분야에서의 미국의 글로벌 경쟁력 유지·발전
○ (주요 내용) ‘Co-Robot*' 개발을 통한 인간과 로봇과의 협업 증대
- 인간과의 협업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차세대 로봇 모델인 ‘Co-Robot' 핵심기술 개발에 7000만 달러를 투자해 아래 분야에 적용
* Co-Robot이란?: 지금까지의 로봇은 큰 사이즈, 높은 작업처리 속도, 위험도 때문에 인간과 분리돼 '완전 고립형(Completely Isolated)'으로 사용돼 왔는데, ‘Co-Robot'은 이와 달리 인간의 바로 옆에서 협업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생산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인간-로봇 간 협업모델을 의미
분야 | 주요 내용 |
제조업 | Co-Robot 활용을 통해 제조업 분야의 노동생산성 제고 |
항공우주 | 고위험, 고비용 우주탐사 활동에 나선 우주인 보호 |
보건/의료 | 신약 및 난치성 질환 치료제(Life-saving drug) 개발 지원 |
식품 | 식품류의 미세오염 신속 감지를 통한 식품 안전성 제도 |
자료원: 백악관(White House), www.whitehouse.gov/blog/2011/06/24/developing-next-generation-robots
○ (추진 체계) 4개 연방 정부기관이 차세대 로봇 R &D 사업 주도
- 참여기관: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항공우주국(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농무부(U.S. Department of Agriculture)
- 상기 4개 기관이 공동으로 7000만 달러의 R &D 예산을 조성해 민간(주로 학계) 부문의 연구계획서를 접수해 선정된 기관에 예산 지원
□ 주요 (제조)기업 현황
1) Intuitive Surgical Incorporated
○ 회사 개요
항목 | 내용 |
주소 | 1266 Kifer Rd, Sunnyvale, CA 94086 |
전화번호 | 1-480-523-2100 |
홈페이지 | |
설립연도 | 1995년 |
매출액 | 21억8000만 달러(2012년 기준) |
직원 수 | 2362명(2012년 기준) |
특화 분야 | 수술용 로봇 |
○ 참고사항
- 이 회사의 대표적인 제품은 외과의사가 확대된 HD급 3차원 영상(Insite)을 통해 로봇팔(Endowrist)을 조종함으로써 더욱 정밀한 수술을 가능케 하는 ‘Da Vinci’ 로봇
- 미국 이외에도 멕시코, 스위스, 케이만, 프랑스, 독일, 벨기에, 영국, 싱가포르, 홍콩, 일본, 브라질, 스웨덴, 중국, 한국에 자회사 보유
- 2012년 기준 Intuitive Surgical사의 해외 매출은 4억5190만 달러로 전체 매출의 21% 차지
2) iRobot Corporation
○ 회사 개요
항목 | 내용 |
주소 | 8 Crosby Dr., Bedford, MA 01730 |
전화번호 | 1-781-430-3000 |
홈페이지 | |
설립연도 | 1990년 |
매출액 | 4억3624만 달러(2012년 기준) |
직원 수 | 534명(2012년 기준) |
특화 분야 | 서비스 로봇 |
○ 참고사항
- 청소용 로봇이 주력 상품. 2012년 기준 청소용 로봇 매출액은 회사 전체 매출의 80%이상(3억5680만 달러) 차지
- 청소용 로봇 외에 정찰 및 폭탄제거 로봇과 같은 국방용 로봇을 미국 및 해외에 납품하는데, 2012년 국방용 로봇 매출액은 7943만 달러
- 2012년 전체 매출액의 57.3%는 해외 매출액인데 특히, 일본과 유럽에 판매된 가정용 로봇의 매출이 가장 큰 비중 차지(전체 매출의 30.6%)
3) Adept Technology
○ 회사 개요
항목 | 내용 |
주소 | 5960 Inglewood Dr, Pleasanton, CA 94588 |
전화번호 | 1-925-245-3400 |
홈페이지 | |
설립연도 | 1983년 |
매출액 | 6622만 달러(2012년 기준) |
직원 수 | 183명(2012년 기준) |
특화 분야 | 산업용 로봇 |
○ 참고사항
- 미국 최대 규모의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로 지능형 생산 자동화 설비와 소프트웨어가 주력 품목
- 이 회사의 로봇 시스템은 포장재, 생명과학, 디스크드라이브, 전자기기, 반도체, 태양광, 기계, 자동차부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음.
- 2012년 기준 회사 전체 매출액의 72%(4896만 달러)가 해외 매출인데, 전체 매출액 중 유럽 매출 비중이 49%로 가장 크고 아시아(19%), 기타(4%) 순
4) 기타 기업
○ (산업용 로봇기업) Bloomberg에서 제공하는 아래 기업 리스트 참조
- http://www.bloomberg.com/markets/companies/industrial-automat-robot/
○ (의료용 로봇기업) Accurary, Aethon, Hansen Medical, MAKO Surgical Corp, Vecna Robotics 등
□ 시사점
○ (정부) 미국 연방정부의 로봇산업 육성정책 벤치마킹
- 오바마 행정부는 ‘로봇산업 육성정책(National Robotics Initiative)’ 추진에 있어 ‘Co-Robot'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2011년 10월부터 산·학·연으로부터 제조업, 항공우주, 헬스케어, 농업 등 다양한 분야의 신규 연구과제 제안서를 접수받아 심사 후 프로젝트 예산 지원
- 우리 정부도 이러한 오바마 행정부가 추진하는 로봇사업 육성정책의 주요 내용 및 추진 체계를 벤치마킹해 국내 로봇산업 육성에 주력할 필요가 있음.
○ (기업) 지능형 로봇인 ‘Co-Robot' 분야 기술개발 강화
- 최근 로봇의 개념은 과거처럼 단순히 인간이 하기에 어려운 일이나 위험한 일을 대신해주는 기계가 아닌 인간과 상호작용을 인간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Co-Robot'으로 바뀌고 있음.
- 국내 기업도 이러한 세계적인 트렌드 변화를 감안해 과감한 R &D 투자를 통해 향후 글로벌 로봇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Robotic Industries Association, Freedonia Group, 백악관, 현지 언론 보도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로봇산업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독일, 로봇산업 동향 | 독일 | 2014-04-16 |
2 | 중국, 로봇산업발전계획 | 중국 | 2016-09-09 |
3 | 미국 산업용 로봇시장이 변화한다 | 미국 | 2013-02-11 |
4 | 일본, 로봇산업 현황과 전망 | 일본 | 2007-07-12 |
5 | 미국 서비스 로봇 시장동향 | 미국 | 2018-05-12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