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가 아직도 섬유산업에 투자하는 이유
이탈리아가 아직도 섬유산업에 투자하는 이유
- 세계 섬유시장, 인구증가로 꾸준히 확장 -
- 천연섬유 시장의 3배 규모 가진 화학 섬유 -
- R &D 투자 통한 고기능·고부가가치 제품 생산해야 -
□ 꾸준히 성장하는 글로벌 섬유시장
○ 증가하는 세계 섬유 소비
- 세계 섬유 소비는 인구증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
- 면과 모 중심의 천연 섬유 소비는 2000년대 초반까지 증가세를 보였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 소폭 감소추세
세계 인구 및 섬유 소비 추세
(단위: 백만 유로, %)
자료원: Lenzing AG, CIRFS
○ 화학섬유 생산과 소비, 폭발적 증가
- 1990년 1인당 섬유 생산량은 3.5㎏에서 2012년 7.7㎏으로 두 배 이상 증가
- 화학섬유 소비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해 1960년 전체 섬유 시장의 22.5%에 불과했던 화학 섬유 비중은 1980년 48%, 2010년에는 60% 이상을 차지함.
화학섬유, 천연섬유 생산량 동향
(단위: 천 톤)
자료원: Ass○fibre Federchimica
○ 세계 섬유시장, 굳어지는 중국의 독주 체제
- 중국은 전 세계 화학섬유 생산의 59%를 차지하며 1위 생산국 지위를 굳힘.
- 유럽은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의 화학섬유 생산 지역이나 생산량은 감소 추세에 있음.
- 3위는 인도와 미국이며 인도의 화학섬유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당분간은 중국의 독주 체제가 지속될 전망
- 한국은 대만과 함께 각각 3.0%, 4.1%를 점유하며 중위권
지역별 화학섬유 생산 현황(2011년)
(단위: %)
자료원: Federchimica, CIRFS
□ 이탈리아 화학 섬유시장
○ 화학 강국이자 섬유 강국 이탈리아가 만드는 화학 섬유
- 이탈리아가 생산하는 화학 제품은 전체 유럽 생산의 10.1%를 차지하며 독일과 프랑스에 이어 유럽 내 3대 화학산업 강국
- 이탈리아는 EU 27개국 섬유·의류산업에서 매출 기준으로 약 31%를 차지하며, 전체 관련 기업 중 27.6%가 이탈리아에 위치할 정도로 세계적인 섬유 강국임.
- 2013년에 발표된 이탈리아 화학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화학 섬유는 이탈리아 전체 화학제품시장의 2%를 차지하며, 이는 유럽 화학 섬유시장의 전반적 축소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0.2% 증가한 수치임.
이탈리아 화학 제품시장에서 화학섬유 비중
자료원: The chemical industry in Italy 2013 보고서
○ 뛰어난 품질과 가격경쟁력으로 홀로 성장하는 이탈리아산 화학 섬유
- 2013년 1분기 이탈리아 화학 섬유산업은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한 1억1800만 유로의 수출액 기록
- 지속적인 원가절감 노력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의 가격경쟁력을 이루어낸 것이 수출 증가의 주 원인으로 분석됨.
이탈리아산 화학섬유 가격 동향
자료원: Sistema M○da Italia
○ 이탈리아산 화학 섬유 선호하는 EU 소비자
- 이탈리아 화학 섬유의 지역별 수출 비중은 EU 내에서는 70.5%, EU 외에서는 29.5%임.
- 국가별로는 전년 동기 대비 무려 41.7% 증가한 스페인이 점유율 17.4%로 1위이고 뒤를 이어 독일, 프랑스, 루마니아, 터키 순
이탈리아산 화학 섬유의 국가별 수출 현황
(단위: 천 유로, %)
|
수출액(2013년 1분기) |
증감률 |
점유율 |
합계 |
118,055 |
9.4 |
100 |
EU 외 |
83,288 |
9.1 |
70.5 |
EU |
34,767 |
10.3 |
29.5 |
스페인 |
20,594 |
41.7 |
17.4 |
독일 |
14,248 |
-8.7 |
12.1 |
프랑스 |
12,697 |
1.2 |
10.8 |
루마니아 |
9,370 |
7.5 |
7.9 |
터키 |
5,506 |
52.2 |
4.7 |
영국 |
4,832 |
1.8 |
4.1 |
포르투갈 |
4,382 |
-13.3 |
3.7 |
불가리아 |
4,304 |
26.6 |
3.6 |
폴란드 |
2,985 |
24.2 |
2.5 |
스위스 |
2,766 |
-19.0 |
2.3 |
자료원: Sistema M○da Italia, ISTAT
□ 시사점
○ 인구 증가와 구매력 상승으로 전 세계 섬유 소비 꾸준히 증가
- 화학 섬유의 생산과 소비는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어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
- 세계 화학 섬유시장에서 중국은 부동의 1위 자리를 고수하고 있으나 품질을 앞세운 유럽 역시 세계 화학 섬유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활약 중
○ 섬유 강국 이탈리아, 화학 섬유에서도 강세 이어나갈까
- 2011년 유럽 재정위기 직격탄을 맞아 유럽 섬유·의류시장이 급격히 위축됐으나 이탈리아는 다년간 축적된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품질로 위기를 헤쳐가는 중
- Made in Italy로 상징되는 이탈리아 섬유·의류제품은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 소비자한테 꾸준한 사랑을 받음. 섬유·의류산업은 이탈리아의 위기극복에 큰 힘을 보탤 전망
- 기술력이 중요한 화학섬유에서 이탈리아의 비중은 점차 높아지고 있어 수출 역시 호조세
○ 섬유산업, 사양산업이 아닌 고부가가치 기술집약산업
- 섬유 강국 이탈리아 사례에서 보듯 섬유산업은 과거 산업이 아닌 고부가가치 기술집약 산업으로 변신 중
- 화학산업 등 연관산업 기술력이 바탕이 돼야 하는 화학 섬유는 오늘날 섬유산업 기술력의 척도가 되며 섬유산업의 기술화를 뒷받침
- 화학 섬유는 강력한 화학산업을 보유한 우리 업계가 도전할 만한 분야임. 고기능·고부가가치 섬유에 대한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과감한 투자가 뒷받침돼야 함.
자료원: Sistema Moda Italia, Assofibre Federchimica,KOTRA 밀라노 무역관 자체분석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이탈리아가 아직도 섬유산업에 투자하는 이유)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우즈베키스탄, 정부 주도의 건설·플랜트시장 지속 성장 | 우즈베키스탄 | 2013-08-08 |
2 | 이탈리아 섬유, 사양산업에서 창조경제 주역으로? | 이탈리아 | 2013-09-14 |
3 | 이탈리아 섬유·패션 산업 현황 | 이탈리아 | 2015-03-05 |
4 | 패션제국 이탈리아의 불황돌파 경영 전략 | 이탈리아 | 2012-02-29 |
5 | 이탈리아 패션산업의 빛과 그림자 | 이탈리아 | 2014-06-30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