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우디 보건산업의 두 가지 키워드 '민영화와 디지털화'
- 사우디 보건부(MOH)는 보건산업 발전을 위해 의료기관 민영화, 디지털 인프라 구축, 병상 확대 등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보건산업 현황, 정부 주요 정책, 외국기업 진출 동향 등을 통해 사우디 보건산업의 전망을 알아보고자 한다.
- 사우디아라비아
- 리야드무역관
- 2020-12-31
-
- 두바이, 연말맞이 관광∙소비 활발
- 두바이는 관광 성수기인 겨울과 연말을 맞아 대규모 할인행사와 각종 관광지 개장 소식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관광객 유치와 소비 촉진에 힘쓰고 있어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을 검토 중인 한국의 연말 분위기와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크리스마스와 연말을 맞아 활기를 찾고 있는 두바이의 관광, 소비 산업을 살펴보고자 한다.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 2020-12-31
- 추천 : 2
-
- 헝가리 스마트폰 시장 흐름 읽기
-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불확실성 확대, 이에 따른 소비성향 축소, 헝가리 소비자의 높은 가격 민감도 등에 힘입어 헝가리의 휴대폰 판매량은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대비 1% 감소에 그쳤다. 헝가리 스마트폰 시장 전반, 소비자들의 특성, 유통구조 그리고 관련 규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헝가리
- 부다페스트무역관
- 2020-12-30
-
- 중국 자동차 시장, 회복을 넘어 성장으로 전환기대
- 중국 자동차시장이 안정적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4월 증가율이 플러스로 전환되면서 월간 판매량이 200만 대를 넘어섰다. 5월부터는 연속 7개월 두 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시장은 '회복을 넘어서 다시 성장세로 전환'을 기대한다.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0-12-29
-
- 코로나 시대 중국의 사치품 소비가 급등한 이유
-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세계 사치품 시장은 전년 대비 23% 위축된 가운데, 중국내 사치품 소비는 40%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BAIN & COMPANY와 알리바바의 패션 명품 판매 채널인 '티몰 럭셔리'는 올해 중국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한 사치품 소비시장이라고 진단했다.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0-12-29
- 추천 : 1
-
- 꾸준히 성장 중인 중국 반려동물 식품시장
- 1~2인 가구의 수의 증가로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식품시장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반려동물 식품 구매시 가격보다 영양, 건강에 더 관심을 두기 시작함에 따라 건강한 간식과 건강 보조 식품 시장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국내외 브랜드의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중국 로컬 브랜드가 적극적으로 시장공략에 나서고 있다.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0-12-29
-
- 코로나로 인해 수요 증가가 기대되는 미얀마 조리기기 시장
- 코로나의 확산으로 인해 집에만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인터넷 사용 증가, 생활용품 수요 증가, 건강 및 위생 관련 제품 수요가 증가하였다. 특히 음식 배달 문화와 함께 집에서 식사와 간식을 직접 요리해 먹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온라인 요리 학원 수강 및 조리기구 구매도 증가하였다.
- 미얀마
- 양곤무역관
- 2020-12-29
-
- UAE ‘선구매 후결제(BNPL)’ 서비스에 주목하라
- BNPL이란, ‘Buy Now Pay Later’의 준말로 ‘선구매 후결제’를 의미하며 이용자에게 무이자 혹은 저비용으로 제공되는 일종의 할부 구매 서비스이다. 현금 없는 사회로 점차 전환되는 세계적인 추세 속 BNPL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으며, 코로나19로 고용과 수입이 불안정해 매달 발생하는 고정지출 비용 외 갑작스러운 지출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가 증가함에 따라 BNPL 핀테크 산업이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 2020-12-29
-
- 수요 증가가 기대되는 페루의 굴착기 시장
- 페루에서는 최근 건설 및 광산업이 다시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굴착기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페루 굴착기 시장 동향과 앞으로의 전망을 알아본다.
- 페루
- 리마무역관
- 2020-12-29
-
- 코트디부아르 모바일머니 사용 동향 및 시사점
- 코트디부아르에서는 은행 거래 대신 휴대폰 사용률 증가에 따른 모바일머니 활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현금 대신 결제는 물론 국내외 송금, 공과금 납부 등 은행 계좌 없이도 금융 거래를 이용할 수 있어 은행보다는 모바일 뱅킹과 모바일머니에 대한 선호도가 확대되고 있어 관련된 다양한 핀테크 기업들에 시장 진출의 기회가 되고 있다.
- 코트디부아르
- 아비장무역관
- 202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