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일본, 단백질에서 건강의 열쇠를 찾다
- 스포츠 열풍, 몸 가꾸기 트렌드 영향으로 단백질 관련 상품의 수요도 증가 -
- 여성과 액티브시니어를 타깃으로 한 아이디어 상품 주목 -
□ 시장 동향
ㅇ 확대하는 단백질 보급 식품 시장
- 후지 경제에 따르면 일본의 단백질 보급식품 시장은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2019년은 전년 대비 10.6% 증가한 1,453억엔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함.
- 2020년까지 1,558억엔으로 성장하고 2030년에는 1,908억엔까지 시장이 확대될 전망임.
단백질 보급 식품 시장 규모(단위: 억 엔)
자료: 후지경제
ㅇ 2030부터 남녀남소, 폭 넓은 소비층의 다양한 니즈 발생
- 단백질 보충제는 근력운동을 하는 남성층이 주 소비층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2030세대부터 고령자까지 영양 결핍 예방이나 건강식단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소비자층이 확대됨.
- 최근 젊은 여성들 사이에 불고있는 피트니스 붐과 단백질 섭취에 대한 의식이 변화한 것도 시장 확대에 영향을 끼쳤음.
- 원플레이트 단백질 요리를 개발한 'Mr.FARMER' 오모테산도점의 T씨는 니혼TV NEWS24의 취재를 통해 ‘여성들의 단백질 섭취 목적에 변화가 보인다. 머리카락이나 손톱에 미(美)를 추구하는 사람은 단백질 섭취의 중요성을 인지하기 시작했다’고 말함.
ㅇ 일본의 스포츠 열풍이 수요를 견인
- 식품상사A사 담당자는 ‘럭비 월드컵 2019 일본대회 및 2020년 도쿄올림픽・패럴림픽 개최를 앞두고 스포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단백질 관련 상품의 수요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요인을 분석함.
- 2020년 이후에는 시장 둔화세가 예상되지만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영향을 받아 스포츠에 대한 관심과 참가 의욕이 높아지면서 이에 따른 스포츠 인구의 증가 등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
□ 제품 트렌드
ㅇ 목적에 따라서 스포츠 용도형과 영양보급형으로 나뉨
- 스포츠 용도형의 수요는 2000년대 중반까지 운동선수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평소에 운동을 즐겨 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단백질 섭취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임.
파우더(분말) 형태 프로틴 시장 규모
2018년 |
2019년 전망 |
19/18 |
|
스포츠 용도형 |
295억엔 |
329억엔 |
11.5% |
영양 보급형 |
161억엔 |
166억엔 |
3.1% |
총 합계 |
456억엔 |
495억엔 |
8.6% |
자료: 후지경제
- 영양 보급형은 건강 관리 및 영양소 보급을 목적으로 하는 중·장년층 여성의 사용률이 높음. 최근에는 프로틴 붐이 일면서 가까운 슈퍼나 편의점, 드럭스토어 및 통신 판매가 주로 이뤄지고 있음.
슈퍼마켓 라이프(ライフ)에 진열된 프로틴 드링크 제품
자료: 오사카무역관 촬영
ㅇ 섭취 방법의 변화
- 2014년은 파우더(분말) 형태의 프로틴을 비롯한 서플리먼트(건강보조식품)가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
- 2017년 이후에는 샐러드 닭 가슴살, 치쿠와(구멍이 뚫린 어묵), 소시지와 같은 가공식품, 프로틴 드링크, 프로틴 젤리 등 단백질 함유 음료 및 디저트 시장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특히 음료나 바 형의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상품이 시장을 견인하고 있음.
스포츠를 좋아하는 사람을 위한 단백질 보급식품 ‘스포치쿠(スポちく)’
자료: ICHIMASA KAMABOKO
음료형 제품과 파우더형 제품
자료: 식품산업신문사
ㅇ 여성과 액티브시니어를 타깃한 제품의 출시
- Meiji사의 스포츠 보충제 브랜드인 ‘SAVAS’는 여성을 타깃한 ‘SAVAS MILK PROTEIN’ 시리즈를 출시하여 2019년 매출액은 86억엔을 기록하여 전년대비 45% 확대되었음.
- 아울러 건강한 노년층인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를 타깃하여 관절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글루코사민을 배합한 프로틴 제품을 출시하였음.
- Meiji사 외에도 Suntory Wellness, 이토추식품의 건강식품 브랜드 카라다스위치 등이 노년층을 위한 제품을 발매하고 있음.
먹기 편한 형태의 제품이 시장을 견인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및 Amazon, Rakuten
□ 시사점
ㅇ 단백질보급식품 시장 2025년까지 약 1800억엔 규모로 성장 전망
-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일본은 건강관리 대한 의식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
- 럭비 월드컵 등 세계 경기를 개최에 힘입어 스포츠 인구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스포츠 용도형 프로틴을 중심으로 시장확대는 이어질 것으로 보임.
- 식품산업신문사에 의하면 2019년 미국의 단백질 제품 시장규모는 6천5백억 엔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10~15년까지는 성장시장으로 전망하고 있음.
- 일본 고령층 및 건강한 삶을 지향하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일본의 단백질 식품 시장은 필수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ㅇ 남녀노소에 상관없이 단백질 섭취가 생활화됨에 따라 다양한 소비자층을 공략하는 신제품 개발이 필요함.
- 다이어트 트렌드 변화 및 미용에 관심 많은 여성도 단백질 보급 식품 시장 성장에 기여
- 과도한 식단 조절과 무리한 운동으로 살은 빼는 방식보다 끼니를 때우지 않으며 적당한 운동을 통해서 건강하게 살을 빼는 다이어트 방식이 트렌드가 되고 있음.
- 다이어트 시에 섭취하는 보조식품으로써 단백질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프로틴 드링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단백질이 함유된 새로운 간편 식품 개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
자료: 후지경제, 닛케이 XTREND, 일본식량신문사, 각 기업 홈페이지, 니혼TV NEWS24, Amazon, Rakuten, KOTRA 오사카무역관 자체 자료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KOTRA의 저작물인 (고령화 일본, 단백질에서 건강의 열쇠를 찾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번호 | 제목 | 국가 | 작성일자 |
---|---|---|---|
1 | 일본, 5G 도입으로 조명받는 앱 기반 무전기 | 일본 | 2019-12-06 |
2 | [기고] 태국 건강기능식품 식약청 승인 | 태국 | 2019-11-08 |
3 | 中 샤먼에서 의류 무역업의 길을 묻다, J-KHAN 대표 현장 인터뷰 | 중국 | 2019-11-29 |
4 | [기고] 인도네시아 할랄 보장법 시행에 따른 이해와 준비 | 인도네시아 | 2019-11-19 |
5 | 2019 일본 특허정보 박람회 참관기 | 일본 | 2019-11-21 |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